닫기
Current Issue
Features
  • - Special Feature
  • - Public & Tech
Artists
Exhibitions
  • - Art Log
  • - Art World
  • - Preview
  • - Review
Key Work
Shop
About
New Hero
Newsletter
Notice | Q&A
Contact
구독 신청 광고 문의

카테고리

검색
    • 6월호
    • 미디어
    • 고고학
    • 뉴히어로
    • 단원미술제
    • 우고 론디노네
    • 프리즈
    • 단색화

    검색결과()건

    뒤로가기

    • Articles
    • Products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고려대학교 박물관 현대미술전시실 개관 50주년 기념 특별전
      품절
      Key Work
      • a
      고려대학교 박물관 현대미술전시실 개관 50주년 기념 특별전
      Issue 201, Jun 2023
      고려대학교 박물관 현대미술전시실 개관 50주년 기념 특별전
    • 70년만의 해후: 이응노와 박승무
      품절
      Preview
      • a
      70년만의 해후: 이응노와 박승무
      Issue 201, Jun 2023
      70년만의 해후: 이응노와 박승무
      2023.4.25 - 2023.8.13 이응노미술관
    • 무릉도원보다 지금 삶이 더 다정하도다
      품절
      Preview
      • a
      무릉도원보다 지금 삶이 더 다정하도다
      Issue 201, Jun 2023
      무릉도원보다 지금 삶이 더 다정하도다
      2023.5.5 - 2023.8.23 제주도립미술관
    • 변대용_달빛산책
      품절
      Preview
      • a
      변대용_달빛산책
      Issue 201, Jun 2023
      변대용_달빛산책
      2023.5.5 - 2023.8.23 이상원미술관
    • 제24회 단원미술제
      품절
      Key Work
      • a
      제24회 단원미술제
      Issue 201, Jun 2023
      제24회 단원미술제
    • 한 점 하늘_김환기
      품절
      Art Log
      • a
      한 점 하늘_김환기
      Issue 201, Jun 2023
      한 점 하늘_김환기
      2023.5.18 - 2023.9.10 호암미술관
    • 예술 입은 한복
      품절
      Art Log
      • a
      예술 입은 한복
      Issue 201, Jun 2023
      예술 입은 한복
      2023.5.4 - 2023.7.30 사비나미술관
    • 김현석 Kim Hyunseok
      품절
      Artist
      • a
      김현석 Kim Hyunseok
      Issue 201, Jun 2023
      김현석
      Kim Hyunseok
      PUBLIC ART NEW HERO 2023 퍼블릭아트 뉴히어로 대상 디지털적 대상의 현시(顯示): 열화-환영-보간-물질 ● 안진국 미술평론가 ● 이미지 작가 제공 'ASSY 컴퓨터' 2021 혼합재료(개조된 매킨토시 / 키보드, 마우스, 컴퓨터 책상, 의자, 잉크젯 프린터) 가변 크기 © 작가
    • 김준권 Kim Joonkwon
      품절
      Artist
      • a
      김준권 Kim Joonkwon
      Issue 201, Jun 2023
      김준권
      Kim Joonkwon
      산수로 지은 우리 삶의 서사시-김준권의 산수 연작에 깃든 ‘조형 유전자’ ● 정민영 미술출판인 ● 이미지 작가 제공 '산의 노래' 2021 채묵목판 84.5×158.5cm
    • 우고 론디노네 Ugo Rondinone
      품절
      Artist
      • a
      우고 론디노네 Ugo Rondinone
      Issue 201, Jun 2023
      우고 론디노네
      Ugo Rondinone
      이분법을 조화시키며 내놓는 최상의 결과물 ● 이나연 콘텐츠 큐레이터 제주도립미술관장 ● 이미지 작가, 국제갤러리 제공 'vocabulary of solitude' 설치 전경 2022 타마요 미술관, 멕시코 시티 Courtesy of studio rondinone and Museo Tamayo 이미지 제공: 국제갤러리 사진: Gerardo Landa and Eduardo López (GLR Estudio)
    • 로랑 그라소_아니마
      품절
      Review
      • a
      로랑 그라소_아니마
      Issue 201, Jun 2023
      로랑 그라소_아니마
      2023.5.4 - 2023.6.17 페로탕 도산파크
    • 개척자들 박현기, 육태진, 김해민
      품절
      Review
      • a
      개척자들 박현기, 육태진, 김해민
      Issue 201, Jun 2023
      개척자들 박현기, 육태진, 김해민
      2023.5.2 - 2023.10.9 대전시립미술관
    • 180도 달라진, 360도 달라진 절묘한 삼각관계
      품절
      Review
      • a
      180도 달라진, 360도 달라진 절묘한 삼각관계
      Issue 201, Jun 2023
      김동희 Hall2
      2023.4.27 - 2023.5.28 Hall1
    • Issue 201, Jun 2023
      Issue 201, Jun 2023
      • 15,000원
      Issue 201, Jun 2023
      2023년 6월호
      퍼블릭아트 2023년 6월호입니다.
    • 미술의 새로운 키워드
      품절
      Special Feature
      • a
      미술의 새로운 키워드
      Issue 200, May 2023
      미술의 새로운 키워드
      New Keywords on Art ● 기획 · 진행 편집부 Anicka Yi 'Late Classical XVIII' 2022 Tempura fried flowers, resin, plexiglas, stainless steel shelves, chrome plated dumbbells 121.9×81.3×25.4cm Courtesy of the artist and Gladstone Gallery
    • 울산시립미술관 소장 결과보고
      품절
      Key Work
      • a
      울산시립미술관 소장 결과보고
      Issue 200, May 2023
      울산시립미술관 소장 결과보고 <백남준: 달은 가장 오래된 텔레비전이다>
    • 기록과 예술이 함께하는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 개관
      품절
      Key Work
      • a
      기록과 예술이 함께하는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 개관
      Issue 200, May 2023
      기록과 예술이 함께하는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 개관
    • 히스테리아: 동시대 리얼리즘 회화
      품절
      Preview
      • a
      히스테리아: 동시대 리얼리즘 회화
      Issue 200, May 2023
      히스테리아: 동시대 리얼리즘 회화
      2023.4.14 - 2023.6.25 일민미술관
    • 구름의 노래
      품절
      Preview
      • a
      구름의 노래
      Issue 200, May 2023
      구름의 노래
      2023.4.8 - 2023.6.18 닻미술관
    • 기억·공간
      품절
      Preview
      • a
      기억·공간
      Issue 200, May 2023
      기억·공간
      2023.4.14 - 2023.7.23 아르코미술관
    • 에드워드 호퍼_길 위에서
      품절
      Art Log
      • a
      에드워드 호퍼_길 위에서
      Issue 200, May 2023
      에드워드 호퍼_길 위에서
      2023.4.21 - 2023.8.20 서울시립미술관
    • 아시아의 또 다른 바다
      품절
      Art Log
      • a
      아시아의 또 다른 바다
      Issue 200, May 2023
      아시아의 또 다른 바다
      2023.4.11 - 2023.7.16 전남도립미술관
    • 이예승 YeSeung LEE
      품절
      Artist
      • a
      이예승 YeSeung LEE
      Issue 200, May 2023
      이예승
      YeSeung LEE
      극세사와 무한 사이 ● 곽영빈 미술평론가 ● 이미지 작가 제공 '1024번째 조우 그리고 그후' 2022 3D 애니메이션, 모션그래픽 3분 10초
    • 심영철_춤추는 정원
      품절
      Review
      • a
      심영철_춤추는 정원
      Issue 200, May 2023
      심영철_춤추는 정원
      2023.3.31 - 2023.4.29 선화랑
    • 팬텀센스
      품절
      Review
      • a
      팬텀센스
      Issue 200, May 2023
      팬텀센스
      2023.3.24 - 2023.6.28 플랫폼엘 컨템포러리 아트센터
    • 2023 SMA 공간연구: 사이의 리듬들
      품절
      Review
      • a
      2023 SMA 공간연구: 사이의 리듬들
      Issue 200, May 2023
      2023 SMA 공간연구: 사이의 리듬들
      2023.3.30 - 2023.6.3 성북구립 최만린미술관
    • 파르테논 신전의 현대화
      품절
      Art World
      • a
      파르테논 신전의 현대화
      Issue 200, May 2023
      파르테논 신전의 현대화
      Australia 2022 NGV Architecture Commission Adam Newman and Kelvin Tsang Temple of Boom 2022.11.22-2023.10.1 멜버른, 빅토리아 국립미술관 ● 김남은 호주통신원 ● 이미지 National Gallery of Victoria 제공 Installation view of the '2022 NGV Architecture Commission: Temple of Boom' designed by Adam Newman and Kelvin Tsang on display at NGV International, Melbourne from 22 November 2022 - 1 October 2023 Photo: Sean Fennessy
    • 미술은행
      품절
      Special Feature
      • a
      미술은행
      Issue 199, Apr 2023
      미술은행
      Art BANK ● 기획 · 진행 김미혜 기자 '공공×김보희' 상영 장면 이미지 제공: 국립현대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프로젝트
    • 함경아 Ham Kyungah
      품절
      Artist
      • a
      함경아 Ham Kyungah
      Issue 199, Apr 2023
      함경아
      Ham Kyungah
      가상으로의 통로 ● 이수연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 이미지 작가 제공 ‘당신이 보는 것은 보이지 않는 것이다 / 다섯 도시를 위한 샹들리에’ 시리즈 설치 전경 carlier | gebauer, Berlin, 2017 이미지 제공: carlier | gebauer 사진: Gunter Lepkowski
    • 프루던스 플린트 Prudence Flint
      품절
      Artist
      • a
      프루던스 플린트 Prudence Flint
      Issue 199, Apr 2023
      프루던스 플린트
      Prudence Flint
      방 안의 멜랑콜리 ● 이민주 미술비평가 ● 이미지 작가, Fine Arts, Sydney 제공 Exhibition view of 'Conditions for Sprouting Seeds' at Fine Arts, Sydney 2022 Courtesy of the artist and Fine Arts, Sydney
    • 조선의 백자_군자지향(君子志向)
      품절
      Art Log
      • a
      조선의 백자_군자지향(君子志向)
      Issue 199, Apr 2023
      조선의 백자_군자지향(君子志向)
      2023.2.28 - 2023.5.28 리움미술관
    • 정물도시
      품절
      Art Log
      • a
      정물도시
      Issue 199, Apr 2023
      정물도시
      2023.3.7 - 2023.6.30 세화미술관
    • 울리 지그 중국현대미술 컬렉션전
      품절
      Art Log
      • a
      울리 지그 중국현대미술 컬렉션전
      Issue 199, Apr 2023
      울리 지그 중국현대미술 컬렉션전
      2023.3.10 - 2023.5.20 송은
    • 2023 화랑미술제
      품절
      Art Log
      • a
      2023 화랑미술제
      Issue 199, Apr 2023
      2023 화랑미술제
      2023.4.13 - 2023.4.16 코엑스
    • 방정아_욕망의 거친 물결
      품절
      Review
      • a
      방정아_욕망의 거친 물결
      Issue 199, Apr 2023
      방정아_욕망의 거친 물결
      2023.3.9 - 2023.4.16 신세계갤러리 센텀시티
    • 신정균_라스트 오브 어스
      품절
      Review
      • a
      신정균_라스트 오브 어스
      Issue 199, Apr 2023
      신정균_라스트 오브 어스
      2023.3.3 - 2023.2.19 상업화랑 을지로
    • 끝에서 두 번째 세계
      품절
      Review
      • a
      끝에서 두 번째 세계
      Issue 199, Apr 2023
      끝에서 두 번째 세계
      2022.12.3 - 2023.2.12 하이트컬렉션
    • 2023년 국공립미술관 협력사업 이응노 탄생 120주년 기념 특별전 &amp; 국제학술대회
      품절
      Key Work
      • a
      2023년 국공립미술관 협력사업 이응노 탄생 120주년 기념 특별전 &amp; 국제학술대회
      Issue 199, Apr 2023
      2023년 국공립미술관 협력사업 이응노 탄생 120주년 기념 특별전 & 국제학술대회
    • ‘제20회 에르메스 재단 미술상’ 작가 김희천 최종 수상
      품절
      Key Work
      • a
      ‘제20회 에르메스 재단 미술상’ 작가 김희천 최종 수상
      Issue 199, Apr 2023
      ‘제20회 에르메스 재단 미술상’ 작가 김희천 최종 수상
    • 미술은행·정부미술은행 작품구입 공모 4월 14일까지 접수
      품절
      Key Work
      • a
      미술은행·정부미술은행 작품구입 공모 4월 14일까지 접수
      Issue 199, Apr 2023
      미술은행·정부미술은행 작품구입 공모 4월 14일까지 접수
    • 2023 소장품전: 잘 지내나요?
      품절
      Preview
      • a
      2023 소장품전: 잘 지내나요?
      Issue 199, Apr 2023
      2023 소장품전: 잘 지내나요?
      2023.3.16 - 2024.2.12 경기도미술관
    • 2023 금호영아티스트 1부: 김원진_무용한 무용
      품절
      Preview
      • a
      2023 금호영아티스트 1부: 김원진_무용한 무용
      Issue 199, Apr 2023
      2023 금호영아티스트 1부: 김원진_무용한 무용
      2023.3.17 - 2023.4.23 금호미술관
    • Issue 199, Apr 2023
      Issue 199, Apr 2023
      • 12,000원
      • 10,000원
      Issue 199, Apr 2023
      2023년 4월호
      퍼블릭아트 2023년 4월호입니다.
    • 피카소와 20세기 거장들
      품절
      Preview
      • a
      피카소와 20세기 거장들
      Issue 198, Mar 2023
      피카소와 20세기 거장들
      2023.3.24 - 2023.8.27 마이아트뮤지엄
    • 시의 정원
      품절
      Art Log
      • a
      시의 정원
      Issue 198, Mar 2023
      시의 정원
      2023.2.21 - 2023.6.4 전남도립미술관
    • 웰컴 홈_개화(開花)
      품절
      Art Log
      • a
      웰컴 홈_개화(開花)
      Issue 198, Mar 2023
      웰컴 홈_개화(開花)
      2023.2.21 - 2023.5.28 대구미술관
    • 조각·공간·퍼즐
      품절
      Art Log
      • a
      조각·공간·퍼즐
      Issue 198, Mar 2023
      조각·공간·퍼즐
      2023.3.3 - 2023.5.7 대전시립미술관
    • 국립근대미술관 유치 학술세미나
      품절
      Key Work
      • a
      국립근대미술관 유치 학술세미나
      Issue 198, Mar 2023
      국립근대미술관 유치 학술세미나
    • 아무것도 아닌 듯… 성능경의 예술 행각
      품절
      Key Work
      • a
      아무것도 아닌 듯… 성능경의 예술 행각
      Issue 198, Mar 2023
      아무것도 아닌 듯… 성능경의 예술 행각
    • ‘수림미술상 2023’ 3월 19일까지 공모 접수
      품절
      Key Work
      • a
      ‘수림미술상 2023’ 3월 19일까지 공모 접수
      Issue 198, Mar 2023
      ‘수림미술상 2023’ 3월 19일까지 공모 접수
    • 미술과 세금
      품절
      Special Feature
      • a
      미술과 세금
      Issue 198, Mar 2023
      미술과 세금
      Art and Taxes ● 기획 · 진행 편집부 데이비드 호크니(David Hockney) [Pictures at an Exhibition] 2018 Photographic drawing printed on 8 sheets of paper, mounted on 8 sheets of Dibond 2.7× 8.7m Edition 10 of 12 © David Hockney, assisted by Jonathan Wilkinson
    • 정희민 Chung Heemin
      품절
      Artist
      • a
      정희민 Chung Heemin
      Issue 198, Mar 2023
      정희민
      Chung Heemin
      정희민의 그림 물질을 더듬어 회화를 다듬기 ● 김진주 미술 연구·기획 ● 이미지 작가 제공 [V8] 전시 전경 2022 N/A
    • 곽수 Su Kwak
      품절
      Artist
      • a
      곽수 Su Kwak
      Issue 198, Mar 2023
      곽수
      Su Kwak
      곽수 추상화의 시각적 통합 ● 이정실 신시내티대학 한국미술사 겸임교수 ● 이미지 작가 제공 [우주의 빛 #36(Cosmic Light #36)] 2015 캔버스에 아크릴릭 102×152cm
    • 오웬 라이언 Eoghan Ryan
      품절
      Artist
      • a
      오웬 라이언 Eoghan Ryan
      Issue 198, Mar 2023
      오웬 라이언
      Eoghan Ryan
      뒷걸음질 치며 ● 이가진 미술 저널리스트 ● 이미지 작가 제공 [A Sod State] 2021 Film Still © the artist
    • 우정은 창조의 힘?
      품절
      Art World
      • a
      우정은 창조의 힘?
      Issue 198, Mar 2023
      우정은 창조의 힘?
      Switzerland Acts of Friendship Act 1 & 2 2023.1.28-2023.5.28 취리히, 미그로스 현대미술관 Ragnar Kjartansson The Visitors 2023.1.28-2023.5.28 취리히, 미그로스 현대미술관 ● 김유진 스위스통신원 ● 이미지 Migros Museum für Gegenwartskunst 제공 Ragnar Kjartansson [The Visitors] 2012 9-channel video projection (color, sound) Dimensions variable 64min 51sec Sammlung Migros Museum für Gegenwartskunst Still by Elisabet Davids Courtesy Ragnar Kjartansson
    • 위대한 유산_싱가포르 아트사이언스 뮤지엄의 현재와 미래
      품절
      Art World
      • a
      위대한 유산_싱가포르 아트사이언스 뮤지엄의 현재와 미래
      Issue 198, Mar 2023
      위대한 유산_싱가포르 아트사이언스 뮤지엄의 현재와 미래
      Singapore The Great Heritage ● 이대형 콘텐츠 큐레이터 · Hzone 대표 ● 이미지 ArtScience Museum 제공 Animaris Sabulosa in the first gallery of Wind Walkers © Marina Bay Sands
    • 고흐 가족에게 전하는 무한한 감사
      품절
      Art World
      • a
      고흐 가족에게 전하는 무한한 감사
      Issue 198, Mar 2023
      고흐 가족에게 전하는 무한한 감사
      Netherlands Choosing Vincent 2023.2.14-2023.4.10 암스테르담, 반 고흐 미술관 ● 윤지수 네덜란드통신원 ● 이미지 Van Gogh Museum 제공 Campaign Image of [Choosing Vincent] Van Gogh Museum, Amsterdam
    • 무라카미 다카시 무라카미좀비
      품절
      Review
      • a
      무라카미 다카시 무라카미좀비
      Issue 198, Mar 2023
      무라카미 다카시 무라카미좀비
      2023.1.26 - 2023.3.12 부산시립미술관
    • 2022 청년작가 초대전 김설아_숱한 산들이 흩어질 때
      품절
      Review
      • a
      2022 청년작가 초대전 김설아_숱한 산들이 흩어질 때
      Issue 198, Mar 2023
      2022 청년작가 초대전 김설아_숱한 산들이 흩어질 때
      2022.11.16 - 2023.3.12 광주시립미술관 하정웅미술관
    • Issue 198, Mar 2023
      Issue 198, Mar 2023
      • 12,000원
      • 10,000원
      Issue 198, Mar 2023
      2023년 3월호
      퍼블릭아트 2023년 3월호입니다.
    • 이천시립월전미술관 2023 띠그림전 토끼
      품절
      Preview
      • a
      이천시립월전미술관 2023 띠그림전 토끼
      Issue 197, Feb 2023
      이천시립월전미술관 2023 띠그림전 토끼
      2023.1.19 - 2023.3.19 이천시립월전미술관
    • 뮈에인, 내 마음속의 오목렌즈
      품절
      Preview
      • a
      뮈에인, 내 마음속의 오목렌즈
      Issue 197, Feb 2023
      뮈에인, 내 마음속의 오목렌즈
      2023.1.13 - 2023.3.5 서울대학교미술관
    • 뉴 스타일, 이응노
      품절
      Preview
      • a
      뉴 스타일, 이응노
      Issue 197, Feb 2023
      뉴 스타일, 이응노
      2023.1.17 - 2023.4.2 이응노미술관
    • 오래된 미래
      품절
      Key Work
      • a
      오래된 미래
      Issue 197, Feb 2023
      오래된 미래
    • 『한국 미술 다시 보기 1-3』
      품절
      Key Work
      • a
      『한국 미술 다시 보기 1-3』
      Issue 197, Feb 2023
      『한국 미술 다시 보기 1-3』
    • 2023 대구포럼Ⅱ_물, 불, 몸
      품절
      Art Log
      • a
      2023 대구포럼Ⅱ_물, 불, 몸
      Issue 197, Feb 2023
      2023 대구포럼Ⅱ_물, 불, 몸
      2023.1.13 - 2023.5.14 대구미술관
    • 신소장품
      품절
      Art Log
      • a
      신소장품
      Issue 197, Feb 2023
      신소장품
      2023.1.3 - 2023.3.26 전남도립미술관
    • 일인가구
      품절
      Art Log
      • a
      일인가구
      Issue 197, Feb 2023
      일인가구
      2022.1.17 - 2023.4.9 오산시립미술관
    • 마우리치오 카텔란_WE
      품절
      Art Log
      • a
      마우리치오 카텔란_WE
      Issue 197, Feb 2023
      마우리치오 카텔란_WE
      2023.1.31 - 2023.7.16 리움미술관
    • 메타모더니즘
      품절
      Special Feature
      • a
      메타모더니즘
      Issue 197, Feb 2023
      메타모더니즘
      Metamodernism ● 기획 · 진행 김미혜 기자 아담 밀러(Adam Miller) 'Quebec' (detail) 2016 105×118cm
    • 미칼렌 토마스: 블랙은 아름답다
      품절
      Art World
      • a
      미칼렌 토마스: 블랙은 아름답다
      Issue 197, Feb 2023
      미칼렌 토마스: 블랙은 아름답다
      France Mickalene Thomas_Avec Monet 2022.10.13-2023.2.6 파리, 오랑주리 미술관 ● 김진 프랑스통신원 ● 이미지 Musée de l’Orangerie 제공 ['Le Déjeuner sur l’herbe: les trois femmes noires avec Monet] 2022 Color photograph, mixed media paper and rhinestones on hot press paper mounted on dibond © Mickalene Thomas and Adagp, Paris, 2022
    • 너와 나의 연결고리. AI의 꿈을 목격하다
      품절
      Art World
      • a
      너와 나의 연결고리. AI의 꿈을 목격하다
      Issue 197, Feb 2023
      너와 나의 연결고리. AI의 꿈을 목격하다
      U.S.A. Refik Anadol_Unsupervised 2022.11.19-2023.3.5 뉴욕, 뉴욕 현대미술관 ● 정재연 미국통신원 ● 이미지 The Museum of Modern Art 제공 Sample data visualization of 'Unsupervised - Machine Hallucinations - MoMA' 2022 Data sculpture: custom software, generative algorithm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I), real time digital animation on LED screen, sound Dimensions variable The Museum of Modern Art, New York © Refik Anadol Studio
    • 대체불가현실 □☞∴∂★∽콜렉티브
      품절
      Review
      • a
      대체불가현실 □☞∴∂★∽콜렉티브
      Issue 197, Feb 2023
      대체불가현실 □☞∴∂★∽콜렉티브
      2022.12.28 - 2023.1.28 씨알콜렉티브
    • 박민준_X
      품절
      Review
      • a
      박민준_X
      Issue 197, Feb 2023
      박민준_X
      2022.12.21 - 2023.2.5 갤러리현대
    • 요나스 메카스+백남준_나의 친애하는 친구들에게
      품절
      Review
      • a
      요나스 메카스+백남준_나의 친애하는 친구들에게
      Issue 197, Feb 2023
      요나스 메카스+백남준_나의 친애하는 친구들에게
      2022.11.29 - 2023.2.28 광주시립미술관
    • Issue 197, Feb 2023
      Issue 197, Feb 2023
      • 12,000원
      • 10,000원
      Issue 197, Feb 2023
      2023년 2월호
      퍼블릭아트 2023년 2월호입니다.
    • 보이지 않는 말들의 풍경
      품절
      Preview
      • a
      보이지 않는 말들의 풍경
      Issue 196, Jan 2023
      보이지 않는 말들의 풍경
      2022.12.15 - 2023.3.19 광주시립미술관
    • 한국 헝가리 수교 33주년 특별전: ANIMEYED
      품절
      Preview
      • a
      한국 헝가리 수교 33주년 특별전: ANIMEYED
      Issue 196, Jan 2023
      한국 헝가리 수교 33주년 특별전: ANIMEYED
      2022.11.30 - 2023.2.26 사비나미술관
    • 2022 경기작가집중조명: 달 없는 밤
      품절
      Preview
      • a
      2022 경기작가집중조명: 달 없는 밤
      Issue 196, Jan 2023
      2022 경기작가집중조명: 달 없는 밤
      2022.11.24 - 2023.2.12 경기도미술관
    • 무브망-조각의 선
      품절
      Art Log
      • a
      무브망-조각의 선
      Issue 196, Jan 2023
      무브망-조각의 선
      2022.11.29 - 2023.5.28 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
    • 현대미술이란 무엇인가
      품절
      Key Work
      • a
      현대미술이란 무엇인가
      Issue 196, Jan 2023
      현대미술이란 무엇인가
    • 미술사 연대기
      품절
      Key Work
      • a
      미술사 연대기
      Issue 196, Jan 2023
      미술사 연대기
    • 넥스트코드 2023
      품절
      Key Work
      • a
      넥스트코드 2023
      Issue 196, Jan 2023
      넥스트코드 2023
    • 제22회 송은미술대상전
      품절
      Art Log
      • a
      제22회 송은미술대상전
      Issue 196, Jan 2023
      제22회 송은미술대상전
      2022.12.21 - 2023.2.18 송은
    • 모던 데자인: 생활, 산업, 외교하는 미술로
      품절
      Preview
      • a
      모던 데자인: 생활, 산업, 외교하는 미술로
      Issue 196, Jan 2023
      모던 데자인: 생활, 산업, 외교하는 미술로
      2022.11.23 - 2023.3.26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 우리는 달린다 WWW
      품절
      Preview
      • a
      우리는 달린다 WWW
      Issue 196, Jan 2023
      우리는 달린다 WWW
      2022.12.16 - 2023.2.5 대전창작센터
    • 미술의 존엄과 공공성
      품절
      Special Feature
      • a
      미술의 존엄과 공공성
      Issue 196, Jan 2023
      미술의 존엄과 공공성
      The Dignity & Publicness in Art ● 기획 · 진행 김미혜 기자 ‘지미 카 예술을 파괴하다’에서 작품들이 불태워지고 있다(Artworks are burnt on Jimmy Carr Destroys Art) Photo: Ajmain
    • 제여란 Je Yeoran
      품절
      Artist
      • a
      제여란 Je Yeoran
      Issue 196, Jan 2023
      제여란
      Je Yeoran
      극(極)의 유희 무한히 생성되는 세계 ● 홍예지 미술비평가 ● 이미지 작가, 스페이스K 제공 '로드 투 퍼플' 전시 전경 2022-2023 스페이스K 서울
    • 안리 살라 Anri Sala
      품절
      Artist
      • a
      안리 살라 Anri Sala
      Issue 196, Jan 2023
      안리 살라
      Anri Sala
      음악은 현실이 사라진 후에도 존재한다 ● 이가진 미술 저널리스트 ● 이미지 작가, Hauser & Wirth, Pinault Collection 제공 Installation view of 'Time No Longer' 2021 Bourse de Commerce - Pinault Collection Photo: Andrea Rossetti
    • 기억의 자서전-부드러운 집
      품절
      Art World
      • a
      기억의 자서전-부드러운 집
      Issue 196, Jan 2023
      기억의 자서전-부드러운 집
      Japan Do Ho Suh 2022.11.4-2023.2.26 시드니, 시드니현대미술관 ● 김남은 호주통신원 ● 이미지 Museum of Contemporary Art Australia 제공 Installation view of ‘Hub’ series Museum of Contemporary Art Australia, Sydney 2022 Polyester fabric, stainless steel Courtesy the artist and Museum of Contemporary Art Australia © Do Ho Suh Photo: Anna Kučera
    • 유연한 무대가 체현하는 다원적 목소리
      품절
      Art World
      • a
      유연한 무대가 체현하는 다원적 목소리
      Issue 196, Jan 2023
      유연한 무대가 체현하는 다원적 목소리
      Japan Wendelien van Oldenborgh unset on-set 2022.11.12-2023.2.19 도쿄, 도쿄도현대미술관 ● 권상해 일본통신원 ● 이미지 Museum of Contemporary Art Tokyo 제공 Exhibition view of 'Wendelien van Oldenborgh, unset on-set' November 12 2022 - February 19 2023 Museum of Contemporary Art Tokyo Photo: Kenji Morita
    • 황란_Becoming Again
      품절
      Review
      • a
      황란_Becoming Again
      Issue 196, Jan 2023
      황란_Becoming Again
      2022.11.2 - 2023.1.8 베이커 뮤지엄(The Baker Museum)
    • 김복진과 한국 근현대 조각가들
      품절
      Review
      • a
      김복진과 한국 근현대 조각가들
      Issue 196, Jan 2023
      김복진과 한국 근현대 조각가들
      2022.11.10 - 2023.1.29 청주시립미술관
    • 백남준 효과
      품절
      Review
      • a
      백남준 효과
      Issue 196, Jan 2023
      백남준 효과
      2022.11.10 - 2023.2.26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 2022 금강자연미술비엔날레
      품절
      Review
      • a
      2022 금강자연미술비엔날레
      Issue 196, Jan 2023
      2022 금강자연미술비엔날레
      2022.8.27 - 2022.11.30 연미산자연미술공원 외
    • 일시적 개입
      품절
      Review
      • a
      일시적 개입
      Issue 196, Jan 2023
      일시적 개입
      2022.11.18 - 2023.1.21 아르코미술관, 스페이스필룩스
    • 2022 청년미술프로젝트: 경계점
      품절
      Review
      • a
      2022 청년미술프로젝트: 경계점
      Issue 196, Jan 2023
      2022 청년미술프로젝트: 경계점
      2022.11.24 - 2022.11.27 대구 엑스코
    • Issue 196, Jan 2023
      Issue 196, Jan 2023
      • 12,000원
      • 10,000원
      Issue 196, Jan 2023
      2023년 1월호
      퍼블릭아트 2023년 1월호입니다.
    • 것들, 흔적 기억
      품절
      Art Log
      • a
      것들, 흔적 기억
      Issue 195, Dec 2022
      것들, 흔적 기억
      2022.10.28 - 2023.1.24 청주시립대청호미술관
    • 생생화화_사이의 언어
      품절
      Art Log
      • a
      생생화화_사이의 언어
      Issue 195, Dec 2022
      생생화화_사이의 언어
      2022.11.29 - 2023.1.29 김홍도미술관
    • 청년예술인
      품절
      Special Feature
      • a
      청년예술인
      Issue 195, Dec 2022
      청년예술인
      Dear Young Artist ● 기획 · 진행 편집부 오묘초 'Nudi hallucination' 2022 유리, 스테인리스, 은, 서지컬체인, 인공식물, 레진, 피그먼트 가변 크기 이미지 제공: 국립현대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고양레지던시 18기 입주 작가
    • 불꽃, 더 큰 빛이 되다
      품절
      Key Work
      • a
      불꽃, 더 큰 빛이 되다
      Issue 195, Dec 2022
      불꽃, 더 큰 빛이 되다
    • 넥스트코드 2022
      품절
      Art Log
      • a
      넥스트코드 2022
      Issue 195, Dec 2022
      넥스트코드 2022
      2022.11.29 - 2023.1.29 대전시립미술관
    • 김설아_숱한 산들이 흩어질 때
      품절
      Preview
      • a
      김설아_숱한 산들이 흩어질 때
      Issue 195, Dec 2022
      김설아_숱한 산들이 흩어질 때
      2022.11.16 - 2023.3.12 광주시립미술관 하정웅미술관
    • 2022 올해의 청년작가: 김은혜·홍혜림
      품절
      Preview
      • a
      2022 올해의 청년작가: 김은혜·홍혜림
      Issue 195, Dec 2022
      2022 올해의 청년작가: 김은혜·홍혜림
      2022.11.1 - 2022.12.18 천안시립미술관
    • 강용면_땅에 울림
      품절
      Preview
      • a
      강용면_땅에 울림
      Issue 195, Dec 2022
      강용면_땅에 울림
      2022.10.25 - 2023.2.5 군산근대미술관
    • 구름산책자
      품절
      Review
      • a
      구름산책자
      Issue 195, Dec 2022
      구름산책자
      2022.9.2 - 2023.1.8 리움미술관
    • 반디산책: 지구와 화해하는 발걸음
      품절
      Review
      • a
      반디산책: 지구와 화해하는 발걸음
      Issue 195, Dec 2022
      반디산책: 지구와 화해하는 발걸음
      2022.9.1 - 2022.12.25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이기봉_Where You Stand
      품절
      Review
      • a
      이기봉_Where You Stand
      Issue 195, Dec 2022
      이기봉_Where You Stand
      2022.11.17 - 2022.12.31 국제갤러리 서울 K1, K2, 부산
    • 우연을 기대
      품절
      Review
      • a
      우연을 기대
      Issue 195, Dec 2022
      우연을 기대
      2022.10.18 - 2022.11.19 d/p
    • 박은태 Park Euntae
      품절
      Artist
      • a
      박은태 Park Euntae
      Issue 195, Dec 2022
      박은태
      Park Euntae
      몫 없는 이들의 목소리 ●안진국 미술평론가 ●이미지 작가, 경기도미술관 제공 '녹색모듈2' (부분) 2021 캔버스에 아크릴릭 250×324cm
    • 제주비엔날레&amp;창원조각비엔날레&amp;부산비엔날레
      품절
      Public & Tech
      • a
      제주비엔날레&amp;창원조각비엔날레&amp;부산비엔날레
      Issue 195, Dec 2022
      제주비엔날레&창원조각비엔날레&부산비엔날레
      적어도 편집부에게 대한민국 곳곳에 펼쳐지는 비엔날레는 애증의 대상이다. 산더미처럼 쌓인 업무를 미뤄놓고 며칠을 투자해 직접 보자니 부담스럽고 그렇다고 아예 안 볼 수는 없는 대형 전시이기 때문이다. 비엔날레를 통해 또렷한 기획과 정체성을 확인하고 그 지역의 풍광도 즐길 수 있다면 좋겠지만, 더러 굉장히 실망스러운 행사도 존재하는 까닭에 각 도시에서 비엔날레가 개최되는 시즌이 돌아오면 살짝 겁까지 나는 게 사실이다. 한데 올 가을 열린 비엔날레들은 진심으로 볼만하다. 지역이 주최하는 대형 행사를 초월해, 기획이 추구하는 방향은 물론 찬란한 비전도 선보인다. 이제 막 개막한 비엔날레부터 성료한 비엔날레까지, 편집부가 직접 돌아본 그것들을 여기 소개한다. ● 기획 · 진행 편집부 ‘2022 제3회 제주비엔날레’ 박지혜 '세 개의 문과 하나의 거울 1' 2022 싱글채널 4K 비디오, 컬러, 사운드 12분 34초
    • 도시의 높이
      품절
      Art World
      • a
      도시의 높이
      Issue 195, Dec 2022
      도시의 높이
      U.S.A. Edward Hopper’s New York 10.19-2023.3.5 뉴욕, 휘트니 미술관 ● 권자현 미국통신원 ● 이미지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제공 'The Sheridan Theatre' 1937 Oil on canvas 43.5×64.1cm Newark Museum of Art, NJ; Felix Fuld Bequest Fund © 2022 Heirs of Josephine N. Hopper/Licensed by Artists Rights Society (ARS), New York Image courtesy Art Resource
    • 유근택_대화
      품절
      Art Log
      • a
      유근택_대화
      Issue 194, Nov 2022
      유근택_대화
      2022.11.1 - 2023.1.15 대구미술관
    • 예술과 산업
      품절
      Art Log
      • a
      예술과 산업
      Issue 194, Nov 2022
      예술과 산업
      2022.10.6 - 2023.1.29 울산시립미술관
    • 곽인탄_팔레트
      품절
      Review
      • a
      곽인탄_팔레트
      Issue 194, Nov 2022
      곽인탄_팔레트
      2022.10.5 - 2022.11.5 공근혜갤러리
    • 이건용_Reborn
      품절
      Review
      • a
      이건용_Reborn
      Issue 194, Nov 2022
      이건용_Reborn
      2022.8.25 - 2022.10.29 리안갤러리 서울
    • 다다익선
      품절
      Special Feature
      • a
      다다익선
      Issue 194, Nov 2022
      다다익선
      The More The Better ● 기획 · 진행 편집부 '다다익선: 즐거운 협연' 전시 전경 이미지 제공: 국립현대미술관
    • 태미 응우옌 Tammy Nguyen
      품절
      Artist
      • a
      태미 응우옌 Tammy Nguyen
      Issue 194, Nov 2022
      태미 응우옌
      Tammy Nguyen
      O ● 이가진 미술 저널리스트 ● 이미지 Lehmann Maupin 제공 'Jesus is laid in the tomb' of 'Stations of the Cross' 2022 Watercolor, vinyl paint, pastel, and metal leaf on paper stretched over panel 14 panels 167.64×139.7cm Courtesy the artist and Lehmann Maupin, New York, Hong Kong, Seoul, and London Photo: Izzy Leung
    • 이응노 마스터피스
      품절
      Preview
      • a
      이응노 마스터피스
      Issue 194, Nov 2022
      이응노 마스터피스
      2022.10.4 - 2022.12.18 이응노미술관
    • 흑(黑)대서양 우화
      품절
      Art World
      • a
      흑(黑)대서양 우화
      Issue 194, Nov 2022
      흑(黑)대서양 우화
      Australia Kara Walker 2022.8.13 - 2023.2.5 캔버라, 호주국립미술관 ● 김남은 호주통신원 ● 이미지 National Gallery of Australia 제공 Installation view of ‘Your World is About to Change’ 2019 National Gallery of Australia, Kamberri/Canberra, purchased with the assistance of the Poynton Bequest in celebration of the National Gallery of Australia’s 40th anniversary, 2022 © Kara Walker
    • 아트경기: 미술품 창작과 유통, 소비의 순환고리
      품절
      Public & Tech
      • a
      아트경기: 미술품 창작과 유통, 소비의 순환고리
      Issue 194, Nov 2022
      아트경기: 미술품 창작과 유통, 소비의 순환고리
      art gyeonggi 공공문화재단으로는 선도적으로, 1997년 설립된 경기문화재단은 도립 박물관과 미술관을 통합 운영하는 문화예술 전문조직으로 지역문화의 정체성과 독창성에 기반을 둔 여러 사업을 수행해오고 있다. 그중 지역 예술가들의 지속적인 창작활동과 미술시장 진입을 돕는 ‘경기 미술품 활성화 사업(이하 아트경기)’은 예술인 복지 측면뿐 아니라 예술 산업으로 그 영역을 확장하며 문화예술지원의 선순환 방안을 제시하고 재단의 역할과 역량 강화를 도모하고 있다. 올해는 경기도에서 활동하는 현대미술 작가 50명을 선정했고 일 년간 미술품 유통 전문 사업자 6곳, 제휴사와 협력해 온·오프라인을 넘나들며 미술품 전시·판매 사업을 선보인다. ● 기획 편집부 ● 진행 김미혜 기자 ‘2022 아트경기’ 미술장터 전시 전경 9.16-9.19 아트조선스페이스
    • Issue 194, Nov 2022
      Issue 194, Nov 2022
      • 12,000원
      • 10,000원
      Issue 194, Nov 2022
      2022년 11월호
      퍼블릭아트 2022년 11월호입니다.
    • 인간의 고귀함을 지킨 화가_조르주 루오
      품절
      Art Log
      • a
      인간의 고귀함을 지킨 화가_조르주 루오
      Issue 193, Oct 2022
      인간의 고귀함을 지킨 화가_조르주 루오
      2022.10.6 - 2023.1.29 전남도립미술관
    • 없음으로부터 있음까지
      품절
      Art Log
      • a
      없음으로부터 있음까지
      Issue 193, Oct 2022
      없음으로부터 있음까지
      2022.8.30 - 2022.10.16 천안시립미술관
    • 구름산책자
      품절
      Art Log
      • a
      구름산책자
      Issue 193, Oct 2022
      구름산책자
      2022.9.2 - 2023.1.8 리움미술관
    • 제23회 단원미술제 선정작가전
      품절
      Preview
      • a
      제23회 단원미술제 선정작가전
      Issue 193, Oct 2022
      제23회 단원미술제 선정작가전
      2022.9.30 - 2022.11.5 김홍도미술관 1관
    • 도성욱_EMOTION
      품절
      Preview
      • a
      도성욱_EMOTION
      Issue 193, Oct 2022
      도성욱_EMOTION
      2022.10.21 - 2022.12.22 우종미술관
    • 미지의 걸작
      품절
      Art Log
      • a
      미지의 걸작
      Issue 193, Oct 2022
      미지의 걸작
      2022.7.26 - 2022.11.20 세화미술관
    • 땅속 그물 이야기
      품절
      Review
      • a
      땅속 그물 이야기
      Issue 193, Oct 2022
      땅속 그물 이야기
      2022.8.11 - 2022.10.23 아르코미술관 제1·2전시실 외
    • 2022 달성 대구현대미술제미술의 공진화
      품절
      Review
      • a
      2022 달성 대구현대미술제미술의 공진화
      Issue 193, Oct 2022
      2022 달성 대구현대미술제미술의 공진화
      2022.9.2 - 2022.10.3 강정보 디아크 광장 일원
    • 김수자 Kim Sooja
      품절
      Artist
      • a
      김수자 Kim Sooja
      Issue 193, Oct 2022
      김수자
      Kim Sooja
      사잇길로 넘나든 경계 ● 이선영 미술평론가 ● 이미지 김수자 스튜디오 제공 'To Breathe' 2022 Permanent stained glass installation commissioned on the occasion of the 800th anniversary of the Cathédrale Saint-Étienne de Metz, France Courtesy of Kimsooja Studio Photo: Jaeho Chong
    • 예술이 말하는 상상과 실제의 간극
      품절
      Art World
      • a
      예술이 말하는 상상과 실제의 간극
      Issue 193, Oct 2022
      예술이 말하는 상상과 실제의 간극
      France Hyperréalisme. Ceci n’est pas un corps 2022.9.8-2023.3.5 파리, 마이욜 미술관 ● 김진 프랑스통신원 ● 이미지 Musée Maillol 제공 Duane Hanson 'Two Workers' 1993 Bronze, polychromed in oil, mixed media, with accessories Figure1 standing: 190×167×66cm Figure2 sitting: 130×68×75cm ladder arranged: 200×125×59cm © Estate of Duane Hanson / VG Bild-Kunst, Bonn 2022 Photo: Axel Thünker(Foto), Stiftung Haus der Geschichte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Courtesy of Institute for Cultural Exchange, Tübingen
    • 다양성의 예술
      품절
      Special Feature
      • a
      다양성의 예술
      Issue 193, Oct 2022
      다양성의 예술
      Diversity in Art ● 기획 · 진행 편집부 로버트 콜스콧(Robert Colescott) 'George Washington Carver Crossing the Delaware: Page from an American History Textbook' 1975 Acrylic on canvas 199.4×249.6cm Lucas Museum of Narrative Art, Los Angeles, 2021.45.1. © 2022 The Robert H. Colescott Separate Property Trust / Artists Rights Society (ARS), New York
    • 추상과 환상: 이지적인 조형 질서 실험
      품절
      Public & Tech
      • a
      추상과 환상: 이지적인 조형 질서 실험
      Issue 193, Oct 2022
      추상과 환상: 이지적인 조형 질서 실험
      Abstract and Illusion An Intellectual Formative Rule Experiment LEE SEUNG JIO 9.1-10.30 국제갤러리 K1, K2, K3 ● 기획· 진행 편집부 ● 글 안진국 미술비평가 'Nucleus 85-21' 1985 캔버스에 유채 199×299.5cm 이미지 제공: 국제갤러리 Courtesy of the artist’s estate and Kukje Gallery
    • Issue 193, Oct 2022
      Issue 193, Oct 2022
      • 12,000원
      • 10,000원
      Issue 193, Oct 2022
      2022년 10월호
      퍼블릭아트 2022년 10월호입니다.
    • 김보희_the Days
      품절
      Preview
      • a
      김보희_the Days
      Issue 192, Sep 2022
      김보희_the Days
      2022.8.9 - 2022.10.30 제주현대미술관
    • 2022 금강자연미술비엔날레
      품절
      Preview
      • a
      2022 금강자연미술비엔날레
      Issue 192, Sep 2022
      2022 금강자연미술비엔날레
      2022.8.27 - 2022.11.30 연미산자연미술공원 외
    • 無用의 用
      품절
      Preview
      • a
      無用의 用
      Issue 192, Sep 2022
      無用의 用
      2022.8.10 - 2022.11.13 오산시립미술관
    • 겹으로 형으로
      품절
      Art Log
      • a
      겹으로 형으로
      Issue 192, Sep 2022
      겹으로 형으로
      2022.8.4 - 2022.10.16 청주시립미술관 오창전시관
    • 미술관의 입구_생태통로
      품절
      Art Log
      • a
      미술관의 입구_생태통로
      Issue 192, Sep 2022
      미술관의 입구_생태통로
      2022.8.30 - 2022.10.10 경기도미술관
    • 춤추는 낱말
      품절
      Art Log
      • a
      춤추는 낱말
      Issue 192, Sep 2022
      춤추는 낱말
      2022.9.1 - 2022.11.20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
    • 인생, 예술
      품절
      Key Work
      • a
      인생, 예술
      Issue 192, Sep 2022
      인생, 예술
    • 예술경영지원센터 한국 작가 알리는 삼박자 프로모션 진행
      품절
      Key Work
      • a
      예술경영지원센터 한국 작가 알리는 삼박자 프로모션 진행
      Issue 192, Sep 2022
      예술경영지원센터 한국 작가 알리는 삼박자 프로모션 진행
    • 미술과 시장
      품절
      Special Feature
      • a
      미술과 시장
      Issue 192, Sep 2022
      미술과 시장
      Art & Market ● 기획 · 진행 편집부 리우 웨이(Liu Wei) Courtesy Art Basel
    • 한국의 채색화 특별전: 생의 찬미
      품절
      Review
      • a
      한국의 채색화 특별전: 생의 찬미
      Issue 192, Sep 2022
      한국의 채색화 특별전: 생의 찬미
      2022.6.1 - 2022.9.25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 김지아나_CONATUS
      품절
      Review
      • a
      김지아나_CONATUS
      Issue 192, Sep 2022
      김지아나_CONATUS
      2022.8.25 - 2022.9.18 가나부산
    • 대전과학예술비엔날레 2022: 미래도시
      품절
      Review
      • a
      대전과학예술비엔날레 2022: 미래도시
      Issue 192, Sep 2022
      대전과학예술비엔날레 2022: 미래도시
      2022.8.2 - 2022.10.30 대전시립미술관 외
    • 버질 아블로와 함께한 아름다운 생성과 소멸, 그 시간의 궤적을 걷다
      품절
      Art World
      • a
      버질 아블로와 함께한 아름다운 생성과 소멸, 그 시간의 궤적을 걷다
      Issue 192, Sep 2022
      버질 아블로와 함께한 아름다운 생성과 소멸, 그 시간의 궤적을 걷다
      U.S.A. Virgil Abloh “Figures of Speech” 2022.7.1-2023.1.29 뉴욕, 브루클린 미술관 ● 정재연 미국통신원 ● 이미지 Brooklyn Museum 제공 Installation view of 'Virgil Abloh: Figures of Speech' Brooklyn Museum, July 1, 2022 - January 29, 2023 Photo: Danny Perez, Brooklyn Museum
    • 예술로 상상하는 팬데믹 이후 삶 꼴
      품절
      Art World
      • a
      예술로 상상하는 팬데믹 이후 삶 꼴
      Issue 192, Sep 2022
      예술로 상상하는 팬데믹 이후 삶 꼴
      Japan Listen to the Sound of the Earth Turning Our Wellbeing since the Pandemic 2022.6.29-2022.11.6 도쿄, 모리미술관 ● 권상해 일본통신원 ● 이미지 Mori Art Museum 제공 Wolfgang Laib installing 'Pollen from Hazelnut' at Toyota Municipal Museum of Art, Aichi, 2003Courtesy of Kenji Taki Gallery, Nagoya/Tokyo Photo: Ito Tetsuo Referential image
    • 미술관의 어둠 Void의 가능성 실현 프로그램
      품절
      Public & Tech
      • a
      미술관의 어둠 Void의 가능성 실현 프로그램
      Issue 192, Sep 2022
      미술관의 어둠 Void의 가능성 실현 프로그램
      Darkness of Museum Void’s Possibilities Realization Program ● 기획· 진행 김미혜 기자 ● 글 주예린 미술비평가 ‘Sun Sets’ at The Cantor Roof Garden, Metropolitan Museum Photo: Paula Lobo
    • Issue 192, Sep 2022
      Issue 192, Sep 2022
      • 12,000원
      • 10,000원
      Issue 192, Sep 2022
      2022년 9월호
      퍼블릭아트 2022년 9월호입니다.
    • 선인장이 자라는 박물관
      품절
      Key Work
      • a
      선인장이 자라는 박물관
      Issue 191, Aug 2022
      선인장이 자라는 박물관
    • CICA 2023 하반기 현대미술 작가 개인전 시리즈
      품절
      Key Work
      • a
      CICA 2023 하반기 현대미술 작가 개인전 시리즈
      Issue 191, Aug 2022
      CICA 2023 하반기 현대미술 작가 개인전 시리즈
    • 파리의 마에스트로 이응노 &amp; 이성자
      품절
      Preview
      • a
      파리의 마에스트로 이응노 &amp; 이성자
      Issue 191, Aug 2022
      파리의 마에스트로 이응노 & 이성자
      2022.7.19 - 2022.9.18 이응노미술관
    • 예술인 지원 프로그램Ⅱ
      품절
      Special Feature
      • a
      예술인 지원 프로그램Ⅱ
      Issue 191, Aug 2022
      예술인 지원 프로그램Ⅱ
      Artist Support Program ● 기획 편집부 · 진행 김미혜 기자 아이린 아그리비나(Irene Agrivina)+하리오 휴토모(M.Haryo Hutomo) '알리신의 미시적인 힘(Microscopic Power of Allicin)' '2021 ACC_R 레지던시 결과발표전: 바이오필리아, 그 너머' 전시 전경 2022 국립아시아문화전당 2021 ACC_R 레지던시 크리에이터스
    • 인사이트: 갤러리 디렉터
      품절
      Public & Tech
      • a
      인사이트: 갤러리 디렉터
      Issue 191, Aug 2022
      인사이트: 갤러리 디렉터
      Insight of Gallery Directors ● 기획 정일주 편집장 ● 진행 정일주 편집장, 이한빛 콘텐츠 큐레이터 키스 타이슨(Keith Tyson) 'Still Life Floating in Space' 2020 Oil on aluminium 183×137×2.2cm Courtesy the artist and Hauser & Wirth © the artist Photo: Peter Mallet
    • 대전과학예술비엔날레 2022_미래도시
      품절
      Art Log
      • a
      대전과학예술비엔날레 2022_미래도시
      Issue 191, Aug 2022
      대전과학예술비엔날레 2022_미래도시
      2022.8.2 - 2022.10.30 대전시립미술관
    • 다니엘 뷔렌
      품절
      Preview
      • a
      다니엘 뷔렌
      Issue 191, Aug 2022
      다니엘 뷔렌
      2022.7.12 - 2023.1.29 대구미술관
    • 내일의 미술가들-누구에겐 그럴 수 있는
      품절
      Preview
      • a
      내일의 미술가들-누구에겐 그럴 수 있는
      Issue 191, Aug 2022
      내일의 미술가들-누구에겐 그럴 수 있는
      2022.6.30 - 2022.10.10 청주시립미술관
    • 아트경기
      품절
      Preview
      • a
      아트경기
      Issue 191, Aug 2022
      아트경기
      2022.5.26 - 2022.12.31 각 행사 진행 일대
    • 허수영 Heo Suyoung
      품절
      Artist
      • a
      허수영 Heo Suyoung
      Issue 191, Aug 2022
      허수영
      Heo Suyoung
      PUBLIC ART NEW HER 2022 퍼블릭아트 뉴히어로 In-Dividual Paintings-허수영의 작업에 대한 노트 “항상 역사화하라!(Always historicize!)” 프레드릭 제임슨(Fredric Jameson)이 『정치적 무의식(The Political Unconscious)』(1981)에서 천명한 이래, 항상 가장 납작한 방식으로 오독되는 이 유명한 공리를 나는 학생들에게 다음과 같이 수정해 공유하곤 한다. “항상 가장 그럴듯해 보이는 독해들에서 출발하라!” 아무리 변주하고 변신한다 해도, 자신의 작업과 독해가 그렇게 ‘그럴듯해 보이’거나 들리는 견해들로 귀결되거나 빨려들면 끝이기 때문이다. ● 곽영빈 미술평론가 ● 이미지 작가 제공 '허수영 개인전' 전시 전경 2016-2017 학고재 갤러리
    • 의미 있는 타자
      품절
      Art World
      • a
      의미 있는 타자
      Issue 191, Aug 2022
      의미 있는 타자
      Australia Rauschenberg & Johns: Significant Others 2022.6.11-2022.10.30 캔버라, 호주국립미술관 ● 김남은 호주통신원 ● 이미지 National Gallery of Australia 제공 Jasper Johns, Gemini G.E.L. 'Color numerical series' 1968 National Gallery of Australia, Kamberri/Canberra © Jasper Johns/Copyright Agency, 2022 © Gemini Ltd/Kenneth E. Tyler
    • 추상의 도착
      품절
      Art World
      • a
      추상의 도착
      Issue 191, Aug 2022
      추상의 도착
      U.S.A. At the Dawn of a New Age: Early Twentieth-Century American Modernism 2022.5.7-2023.2.26 뉴욕, 휘트니 미술관 ● 권자현 미국통신원 ● 이미지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제공 Installation view of 'At the Dawn of a New Age: Early Twentieth-Century American Modernism'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New York, May 4, 2022-January 2023 From left to right: Georgia O’Keeffe 'Black and White' 1930; William Zorach 'Woods in Autumn' 1913; Agnes Pelton 'Sea Change' 1931; Henrietta Shore 'Trail of Life' 1923 Photo: Ron Amstutz
    • 황영자_돈키호테
      품절
      Review
      • a
      황영자_돈키호테
      Issue 191, Aug 2022
      황영자_돈키호테
      2022.7.12 - 2022.8.13 UM갤러리
    • 허그: 부유하는 세계를 껴안다
      품절
      Preview
      • a
      허그: 부유하는 세계를 껴안다
      Issue 190, Jul 2022
      허그: 부유하는 세계를 껴안다
      2022.5.27 - 2022.7.31 제주현대미술관
    • 히토 슈타이얼_데이터의 바다
      품절
      Review
      • a
      히토 슈타이얼_데이터의 바다
      Issue 190, Jul 2022
      히토 슈타이얼_데이터의 바다
      2022.4.29 - 2022.9.18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 두 번째 봄
      품절
      Review
      • a
      두 번째 봄
      Issue 190, Jul 2022
      두 번째 봄
      2022.4.26 - 2022.7.10 광주시립미술관
    • 민성홍_보임의 보임
      품절
      Review
      • a
      민성홍_보임의 보임
      Issue 190, Jul 2022
      민성홍_보임의 보임
      2022.5.19 - 2022.7.1 갤러리조선
    • 심승욱_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익숙함
      품절
      Review
      • a
      심승욱_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익숙함
      Issue 190, Jul 2022
      심승욱_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익숙함
      2022.6.9 - 2022.7.3 수애뇨339
    • 애도: 상실의 끝에서
      품절
      Art Log
      • a
      애도: 상실의 끝에서
      Issue 190, Jul 2022
      애도: 상실의 끝에서
      2022.6.30 - 2022.9.12 전남도립미술관
    • 추상, 무한의 자유
      품절
      Art Log
      • a
      추상, 무한의 자유
      Issue 190, Jul 2022
      추상, 무한의 자유
      2022.6.30 - 2022.8.7 김홍도미술관
    • 장마리아 Iridescent
      품절
      Review
      • a
      장마리아 Iridescent
      Issue 190, Jul 2022
      장마리아 Iridescent
      2022.6.9 - 2022.6.26 가나아트센터
    • 김원진 Kim Wonjin
      품절
      Artist
      • a
      김원진 Kim Wonjin
      Issue 190, Jul 2022
      김원진
      Kim Wonjin
      PUBLIC ART NEW HERO 2022 애도를 위한 절멸의 기예 ● 남웅 미술비평가 ● 이미지 작가 제공 'Melting Strata Project – Day1' 2020 잉크, 밀랍, 파라핀, 발열전구, 철 75×150×73cm 3-1
    • 지금, 여기, 예술 공간
      품절
      Special Feature
      • a
      지금, 여기, 예술 공간
      Issue 190, Jul 2022
      지금, 여기, 예술 공간
      ART SPACE NOW ● 기획 · 진행 정일주 편집장, 김미혜 기자 ST SONGEUN Building © Jihyun Jung All rights reserved
    • 기후 파업에 교섭하는 디자이너들의 협상 카드
      품절
      Art World
      • a
      기후 파업에 교섭하는 디자이너들의 협상 카드
      Issue 190, Jul 2022
      기후 파업에 교섭하는 디자이너들의 협상 카드
      Netherlands IT’S OUR F***ING BACKYARD Designing Material Futures 2022.5.26-2022.9.4 암스테르담, 암스테르담 시립미술관 ● 윤지수 네덜란드통신원 ● 이미지 Stedelijk Museum 제공 Yves Béhar & The Ocean Cleanup 'The Ocean Cleanup Glasses' 2021 Recycled plastic, metal Designed in California by Yves Béhar and made in Italy by Safilo
    • 진동하는 컬러, 유영국의 회화
      품절
      Public & Tech
      • a
      진동하는 컬러, 유영국의 회화
      Issue 190, Jul 2022
      진동하는 컬러, 유영국의 회화
      Colors of Yoo Youngkuk 2022.6.9-2022.8.21 국제갤러리 K1, K2, K3 ● 기획 · 진행 편집부 ● 글 김주원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연구실장 국제갤러리 2관(K2) 유영국 20주기 기념전 'Colors of Yoo Youngkuk' 전시 전경 이미지 제공: 국제갤러리
    • Issue 190, Jul 2022
      Issue 190, Jul 2022
      • 12,000원
      • 10,000원
      Issue 190, Jul 2022
      2022년 7월호
      퍼블릭아트 2022년 7월호입니다.
    • 하태임_행위의 흔적으로 구축된 색 공간
      품절
      Preview
      • a
      하태임_행위의 흔적으로 구축된 색 공간
      Issue 189, Jun 2022
      하태임_행위의 흔적으로 구축된 색 공간
      2022.5.21 - 2022.6.26 영은미술관
    • 올 어바웃 러브 곽영준&amp;장세진(사라 반 데어 헤이드)
      품절
      Preview
      • a
      올 어바웃 러브 곽영준&amp;장세진(사라 반 데어 헤이드)
      Issue 189, Jun 2022
      올 어바웃 러브 곽영준&장세진(사라 반 데어 헤이드)
      2022.5.19 - 2022.7.17 아르코미술관
    • 영감의 원천 - 윤동주가 사랑한 한글
      품절
      Key Work
      • a
      영감의 원천 - 윤동주가 사랑한 한글
      Issue 189, Jun 2022
      영감의 원천 - 윤동주가 사랑한 한글
    • 지금, 미술관 투어
      품절
      Special Feature
      • a
      지금, 미술관 투어
      Issue 189, Jun 2022
      지금, 미술관 투어
      MUSEUM TOUR NOW ● 기획 · 진행 정일주 편집장, 김미혜 기자 '다니엘 뷔렌. 아이의 놀이처럼, 인 시튜 작업(Daniel Buren. Comme un jeu d'enfant, travaux in situ)' 전시 전경 2014-2015 Musée d'Art moderne et contemporain, Strasbourg © Daniel Buren/ADAGP, Paris
    • 국립현대미술관 ‘프로젝트 해시태그 2022’ 로스트에어, 크립톤 최종 선정
      품절
      Key Work
      • a
      국립현대미술관 ‘프로젝트 해시태그 2022’ 로스트에어, 크립톤 최종 선정
      Issue 189, Jun 2022
      국립현대미술관 ‘프로젝트 해시태그 2022’ 로스트에어, 크립톤 최종 선정
    • 황용엽 Hwang YongYop
      품절
      Artist
      • a
      황용엽 Hwang YongYop
      Issue 189, Jun 2022
      황용엽
      Hwang YongYop
      생의 가치를 직시하는 황용엽의 ‘인간’ “내일을 예측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오늘 여기 생존하고 있었을 뿐이니까요. (중략) 태양이 뜨면 가늠하기 어려운 희망과 절망과 혼돈의 연속이었습니다. 이 같은 낯선 사회에서도 생존을 위한 절규 그리고 현실에 적응하기 힘들었던 일들, 이런 것들이 나의 삶의 밑거름이 된 거지요.”1) ● 최윤정 미술비평가·문화비축기지 전시기획 담당 주무관 ● 이미지 작가, 국립현대미술관, 대전시립미술관 제공 '황용엽: 인간의 길' 전시 전경 2015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이미지 제공: 국립현대미술관
    • 어린이 체험전: 색색, 쓱쓱, 깔깔
      품절
      Preview
      • a
      어린이 체험전: 색색, 쓱쓱, 깔깔
      Issue 189, Jun 2022
      어린이 체험전: 색색, 쓱쓱, 깔깔
      2022.5.3 - 2022.7.3 이응노미술관
    • 명품 판타지
      품절
      Preview
      • a
      명품 판타지
      Issue 189, Jun 2022
      명품 판타지
      2022.4.26 - 2022.7.31 오산시립미술관
    • 페이지 너머
      품절
      Review
      • a
      페이지 너머
      Issue 189, Jun 2022
      페이지 너머
      2022.2.22 - 2022.5.8 대전창작센터
    • 아이 엠 그라운드
      품절
      Review
      • a
      아이 엠 그라운드
      Issue 189, Jun 2022
      아이 엠 그라운드
      2022.4.30 - 2022.6.8 더현대 서울 알트원(ALT.1)
    • 이민선, 이신애 롱디의 맛
      품절
      Review
      • a
      이민선, 이신애 롱디의 맛
      Issue 189, Jun 2022
      이민선, 이신애 롱디의 맛
      2022.5.7 - 2022.5.22 중간지점
    • Issue 189, Jun 2022
      Issue 189, Jun 2022
      • 12,000원
      • 10,000원
      Issue 189, Jun 2022
      2022년 6월호
      퍼블릭아트 2022년 6월호입니다.
    • ‘지역, 시대. 세상을 연결하는 열린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비전 및 중점방향 발표
      품절
      Key Work
      • a
      ‘지역, 시대. 세상을 연결하는 열린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비전 및 중점방향 발표
      Issue 188, May 2022
      ‘지역, 시대. 세상을 연결하는 열린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비전 및 중점방향 발표
    • ‘제23회 단원미술제 선정작가 공모’ 6월 17일부터 26일까지 접수
      품절
      Key Work
      • a
      ‘제23회 단원미술제 선정작가 공모’ 6월 17일부터 26일까지 접수
      Issue 188, May 2022
      ‘제23회 단원미술제 선정작가 공모’ 6월 17일부터 26일까지 접수
    • 김을파손죄
      품절
      Preview
      • a
      김을파손죄
      Issue 188, May 2022
      김을파손죄
      2022.4.7 - 2022.6.4 OCI 미술관
    • 강운_운운하다
      품절
      Art Log
      • a
      강운_운운하다
      Issue 188, May 2022
      강운_운운하다
      2022.4.12 - 2022.6.12 전남도립미술관
    • 불보다 뜨겁게 바람보다 서늘하게
      품절
      Art Log
      • a
      불보다 뜨겁게 바람보다 서늘하게
      Issue 188, May 2022
      불보다 뜨겁게 바람보다 서늘하게
      2022.3.29 - 2022.5.15 대전시립미술관
    • 안창홍-유령패션
      품절
      Review
      • a
      안창홍-유령패션
      Issue 188, May 2022
      안창홍-유령패션
      2022.2.23 - 2022.5.29 사비나미술관
    • 차와 커피의 시간
      품절
      Review
      • a
      차와 커피의 시간
      Issue 188, May 2022
      차와 커피의 시간
      2022.3.11 - 2022.6.19 아세안문화원
    • 이안 쳉_세계건설
      품절
      Review
      • a
      이안 쳉_세계건설
      Issue 188, May 2022
      이안 쳉_세계건설
      2022.3.2 - 2022.7.3 리움미술관
    • 히토 슈타이얼 데이터의 바다
      품절
      Art Log
      • a
      히토 슈타이얼 데이터의 바다
      Issue 188, May 2022
      히토 슈타이얼
      데이터의 바다
      2022.4.29 - 2022.9.18 국립현대미술관
    • 두 번째 봄
      품절
      Preview
      • a
      두 번째 봄
      Issue 188, May 2022
      두 번째 봄
      2022.4.26 - 2022.7.10 광주시립미술관
    • 김운기 사진전: 봄날의 기억
      품절
      Preview
      • a
      김운기 사진전: 봄날의 기억
      Issue 188, May 2022
      김운기 사진전: 봄날의 기억
      2022.3.24 - 2022.6.5 청주시립미술관
    • 김보희 Kim Bohie
      품절
      Artist
      • a
      김보희 Kim Bohie
      Issue 188, May 2022
      김보희
      Kim Bohie
      김보희의 제주 풍경 - 정원과 바다 김보희의 제주 그리기는 삶이 된 지 오래다. 2003년, 제주 서귀포시 하원동 마을의 조용한 곳, 바다가 시야에 들어오는 터에 작업실을 짓고, 주변에 온갖 식물을 심어 지금의 정원이 완성되기까지 일상은 늘 자연과 함께였다. 귤나무, 워싱턴야자, 카나리아야자, 월계수, 고무나무, 로즈마리, 셀륨, 소철, 용설란, 보검선인장 그리고 다양한 씨앗과 수많은 꽃까지 매일같이 마주하는 모든 풍경이 자연스럽게 그림의 소재가 되었다. ● 변종필 제주현대미술관 관장 ● 이미지 작가 제공 [김보희_Towards] 전시 전경 2020 금호미술관 이미지 제공: 금호미술관
    • 우르스 피셔 Urs Fischer
      품절
      Artist
      • a
      우르스 피셔 Urs Fischer
      Issue 188, May 2022
      우르스 피셔
      Urs Fischer
      평화로운 나라의 이상한 피셔 지난 1월, 드디어 파리 중심가에 부르스 드 코메르스(Bourse de Commerce)가 문을 열었을 때, 프랑수아 피노(François Pinault) 회장의 쟁쟁한 소장품 중에서도 가장 화제를 모은 작품은 단연 우르스 피셔(Urs Fischer)의 왁스 조각이었다. ● 이가진 미술 저널리스트 ● 이미지 Sadie Coles HQ 제공 [Big Clay #4] 2013-2014 Cast aluminum, stainless steel, stainless steel bolts, wax coating, anchor bolts, stainless steel washers, stainless steel nuts, stainless steel lock washers, PVC washers, copper lightning rods 1,300×840×520cm Installation view of [Big Clay #4], 2013-2014 Piazza della Signoria, Musei Firenze, Florence, 22 September 2017 - 21 January 2018 Courtesy Sadie Coles HQ, London © the artist Photo: Silvia Mannino
    • 드로잉 나우
      품절
      Preview
      • a
      드로잉 나우
      Issue 187, Apr 2022
      드로잉 나우
      2022.3.11 - 2022.7.24 소마미술관
    • 박형렬_땅, 사람, 관계탐구
      품절
      Preview
      • a
      박형렬_땅, 사람, 관계탐구
      Issue 187, Apr 2022
      박형렬_땅, 사람, 관계탐구
      2022.4.1 - 2022.6.5 성곡미술관
    • 2022 뉴 라이징 아티스트: 탐색자
      품절
      Preview
      • a
      2022 뉴 라이징 아티스트: 탐색자
      Issue 187, Apr 2022
      2022 뉴 라이징 아티스트: 탐색자
      2022.3.4 - 2022.5.15 제주현대미술관
    • 미술품 대여·전시 기획 단체 4월 18일까지 공모 접수
      품절
      Key Work
      • a
      미술품 대여·전시 기획 단체 4월 18일까지 공모 접수
      Issue 187, Apr 2022
      미술품 대여·전시 기획 단체 4월 18일까지 공모 접수
    • 2022 미술은행 공모제 2022 정부미술은행 공모제 개최
      품절
      Key Work
      • a
      2022 미술은행 공모제 2022 정부미술은행 공모제 개최
      Issue 187, Apr 2022
      2022 미술은행 공모제
      2022 정부미술은행 공모제 개최
    • 아트스펙트럼 2022
      품절
      Art Log
      • a
      아트스펙트럼 2022
      Issue 187, Apr 2022
      아트스펙트럼 2022
      2022.3.2 - 2022.7.3 리움미술관
    • 감각의 시어
      품절
      Art Log
      • a
      감각의 시어
      Issue 187, Apr 2022
      감각의 시어
      2022.4.12 - 2022.7.9 성북구립 최만린미술관
    • 제19회 이동훈미술상 특별상 수상작가전_노상희·박태영
      품절
      Art Log
      • a
      제19회 이동훈미술상 특별상 수상작가전_노상희·박태영
      Issue 187, Apr 2022
      제19회 이동훈미술상 특별상 수상작가전_노상희·박태영
      2022.3.15 - 2022.5.15 대전시립미술관
    • 신이피 Sin Ifie
      품절
      Artist
      • a
      신이피 Sin Ifie
      Issue 187, Apr 2022
      신이피
      Sin Ifie
      위로 솟는, 건너 뛰는 “사체가 퍽 소리와 함께 땅 위로 솟았다.” (2020)의 마지막 텍스트. 신이피의 작업이 작동하는 방식을 닮은 문장이라고 생각했다. 살살 움직이는 영상 위에 시적인 텍스트가 턱턱 달라붙는 신이피의 작업에서 과거의 사건들은, 그렇게 갑자기 표면 위에 올라와 당혹감을 준다. ● 권태현 미술비평가 ● 이미지 작가 제공 '죽은 산의 냉철한 새 #01,02, 휘앙 새' 설치 전경 2020 송은아트스페이스
    • 윤상렬 Yoon Sangyuel
      품절
      Artist
      • a
      윤상렬 Yoon Sangyuel
      Issue 187, Apr 2022
      윤상렬
      Yoon Sangyuel
      매끄러운 표면을 활주하는 선들 2019년 데이트 갤러리에서 전시된 윤상렬의 작품들은 ‘보이지 않는…(Invisible…)’이라는 개인전 제목처럼 가늘게 그어진 선들로 가득했다. 보이지 않는 것을 위한 시각예술의 방식은 무엇일까 ● 이선영 미술평론가 ● 이미지 작가 제공 '침묵'(부분) 2018 종이에 샤프심, 아크릴에 디지털 프린트 121.5×91.5cm
    • 로컬 프로젝트 2022: Floating-경계를 넘어선 자유
      품절
      Preview
      • a
      로컬 프로젝트 2022: Floating-경계를 넘어선 자유
      Issue 187, Apr 2022
      로컬 프로젝트 2022: Floating-경계를 넘어선 자유
      2022.4.21 - 2022.6.5 청주시립미술관
    • 2022 화랑미술제
      품절
      Review
      • a
      2022 화랑미술제
      Issue 187, Apr 2022
      2022 화랑미술제
      2022.3.17 - 2022.3.20 SETEC
    • 고니_노란 카나리아
      품절
      Review
      • a
      고니_노란 카나리아
      Issue 187, Apr 2022
      고니_노란 카나리아
      2022.3.4 - 2022.3.27 페이지룸8
    • 태양에서 떠나올 때
      품절
      Review
      • a
      태양에서 떠나올 때
      Issue 187, Apr 2022
      태양에서 떠나올 때
      2021.11.30 - 2022.3.27 전남도립미술관
    • 이상용 초대전
      품절
      Review
      • a
      이상용 초대전
      Issue 187, Apr 2022
      이상용 초대전
      2022.3.1 - 2022.3.31 갤러리 전
    • 집합 욕망: 라키비움과 미술관
      품절
      Public & Tech
      • a
      집합 욕망: 라키비움과 미술관
      Issue 187, Apr 2022
      집합 욕망: 라키비움과 미술관
      Larchiveum & Museum 2010년도 초반부터 ‘라키비움(Larchiveum)’이라는 단어가 국내에서 회자되기 시작했다. 단어는 아주 명확하게 세 가지 의미를 품는다. 도서관(library), 기록관(archive), 박물관(museum). 미국 텍사스 대학의 메건 윈젯(Megan Winget) 교수가 처음 제안한 이 합성어는 학생들이 서로 다른 공간에서 정보를 찾아야 하는 수고 앞에서 정보 제공의 통합을 요구한다. 다소 구체적인 의미를 가리키는 단어임에도 불구하고, 라키비움에 관한 논의는 여전히 ‘복합문화공간’ 정도로 이해되고 있다. 도서관과 기록, 박물관을 합쳐놓은 이 공간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 글은 흩어지는 자료들을 하나의 이름으로 묶어놓으려는 욕망과 당대 미술 생태계에서 라키비움의 의미 그리고 미술관과의 관계를 살펴본다. ● 기획 · 진행 김미혜 기자 ● 글 이민주 미술비평가 Museum aan de Stroom's Antwerpen, Belgium Kijkdepot +2 Photo: Filip Dujardin
    • Issue 187, Apr 2022
      Issue 187, Apr 2022
      • 12,000원
      • 10,000원
      Issue 187, Apr 2022
      2022년 4월호
      퍼블릭아트 2022년 4월호입니다.
    • 허달재 Huh Daljae
      품절
      Artist
      • a
      허달재 Huh Daljae
      Issue 186, Mar 2022
      허달재
      Huh Daljae
      정신성과 회화성이 조화되는 현대 문인화 직헌 허달재의 직관과 관조 회화 세계 직헌 허달재의 회화는 수묵화의 오랜 전통에 바탕을 둔 현대 문인화다. 소재의 외형보다는 마음속에 비친 그 반향을 화폭에 펼쳐내니 담담한 함축과 그윽한 향취가 배어난다. 더러는 화사한 색이나 금빛을 바탕에 깔기도 하지만 감각적 화려함이나 기교적 붓 놀이 대신 단색조 화면에 재해석한 사군자류나 포도송이들로 담먹의 마음점들을 풀어낼 뿐이다. 그것은 현대사회의 숨 가쁜 변화나 시각 매체의 자극들과는 다른 고요와 사유가 깃든 심상 관조의 세계다. ● 조인호 광주미술문화연구소 대표 ● 이미지 작가, 의재미술관 제공 '홍매' 2020 한지에 수묵 채색 금니 178×128cm
    • 안창홍_유령패션
      품절
      Art Log
      • a
      안창홍_유령패션
      Issue 186, Mar 2022
      안창홍_유령패션
      2022.2.23 - 2022.5.29 사비나미술관
    • 대지의 시간
      품절
      Review
      • a
      대지의 시간
      Issue 186, Mar 2022
      대지의 시간
      2021.11.25 - 2022.3.27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 미래의 역사 쓰기: ZKM 베스트 컬렉션
      품절
      Review
      • a
      미래의 역사 쓰기: ZKM 베스트 컬렉션
      Issue 186, Mar 2022
      미래의 역사 쓰기: ZKM 베스트 컬렉션
      2021.12.7 - 2022.4.3 광주시립미술관
    • 모던 라이프
      품절
      Review
      • a
      모던 라이프
      Issue 186, Mar 2022
      모던 라이프
      2021.10.19 - 2022.3.27 대구미술관
    • 저작권과 NFT
      품절
      Special Feature
      • a
      저작권과 NFT
      Issue 186, Mar 2022
      저작권과 NFT
      Copyright and NFT 세계적 감독 쿠엔틴 타란티노(Quentin Tarantino)는 자신의 영화 [펄프 픽션(Pulp Fiction)](1994)에 포함되지 않았던 7개의 장면 대본을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이하 NFT) 경매에 부칠 계획을 밝혔다가 법적 공방에 휩싸였다. 제작사 미라맥스(Miramax)가 타란티노 감독이 저작권을 침해하고 권리와 관련한 계약을 위반했다며 미국 캘리포니아 연방지방법원에 소송을 제기한 것이다. 그런가 하면 한창 상승 곡선을 달리던 한 유튜버는 논란의 중심에 섰다. 그간 착용했던 옷과 액세서리 등에 가품 의혹이 불거지자 그는 “디자이너의 창작물 침해 및 저작권에 대한 무지로 인해 발생한 모든 상황들에 대해 다시 한 번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논란 일부를 인정했다. ● 기획 · 진행 편집부 예브게니 바쉬타(Evgenii Bashta) 이미지 제공: bashta/Shutterstock.com
    • Issue 186, Mar 2022
      Issue 186, Mar 2022
      • 12,000원
      • 10,000원
      Issue 186, Mar 2022
      2022년 3월호
      퍼블릭아트 2022년 3월호입니다.
    • MZ세대의 후기 아날로그적 경향들
      품절
      Preview
      • a
      MZ세대의 후기 아날로그적 경향들
      Issue 185, Feb 2022
      MZ세대의 후기 아날로그적 경향들
      2022.1.18 - 2022.4.17 오산시립미술관
    • 밤을 넘는 아이들
      품절
      Preview
      • a
      밤을 넘는 아이들
      Issue 185, Feb 2022
      밤을 넘는 아이들
      2022.1.13 - 2022.3.13 서울대학교미술관
    • 탄생100주년 특별전:홍종명_내면의 형상화
      품절
      Preview
      • a
      탄생100주년 특별전:홍종명_내면의 형상화
      Issue 185, Feb 2022
      탄생100주년 특별전:홍종명_내면의 형상화
      2022.1.25 - 2022.4.17 제주도립미술관
    • 한 도시의 급진성 혹은 진정성
      품절
      Key Work
      • a
      한 도시의 급진성 혹은 진정성
      Issue 185, Feb 2022
      한 도시의 급진성 혹은 진정성
    • 그래서 널 먹겠어
      품절
      Key Work
      • a
      그래서 널 먹겠어
      Issue 185, Feb 2022
      그래서 널 먹겠어
    • 최호철_보步보步시是걸음걸음마다 보는 풍경
      품절
      Review
      • a
      최호철_보步보步시是걸음걸음마다 보는 풍경
      Issue 185, Feb 2022
      최호철_보步보步시是걸음걸음마다 보는 풍경
      2021.12.17 - 2022.1.9 인디프레스
    • 2022 아르코 스크리닝 프로그램 ‘직면하는 이동성: 횡단/침투/정지하기’
      품절
      Key Work
      • a
      2022 아르코 스크리닝 프로그램 ‘직면하는 이동성: 횡단/침투/정지하기’
      Issue 185, Feb 2022
      2022 아르코 스크리닝 프로그램 ‘직면하는 이동성: 횡단/침투/정지하기’
    • ‘제21회 송은미술대상’ 대상 수상자 작가 권아람 선정
      품절
      Key Work
      • a
      ‘제21회 송은미술대상’ 대상 수상자 작가 권아람 선정
      Issue 185, Feb 2022
      ‘제21회 송은미술대상’ 대상 수상자 작가 권아람 선정
    • 나를 만나는 계절
      품절
      Art Log
      • a
      나를 만나는 계절
      Issue 185, Feb 2022
      나를 만나는 계절
      2022.1.25 - 2022.5.29 대구미술관
    • 미술로, 세계로
      품절
      Art Log
      • a
      미술로, 세계로
      Issue 185, Feb 2022
      미술로, 세계로
      2022.1.20 - 2022.6.12 국립현대미술관 청주
    • 빛_영국 테이트미술관 특별전
      품절
      Art Log
      • a
      빛_영국 테이트미술관 특별전
      Issue 185, Feb 2022
      빛_영국 테이트미술관 특별전
      2021.12.1 - 2022.5.8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 2021 청년작가초대전: 이인성_아이엠 그라운드
      품절
      Preview
      • a
      2021 청년작가초대전: 이인성_아이엠 그라운드
      Issue 185, Feb 2022
      2021 청년작가초대전: 이인성_아이엠 그라운드
      2021.12.14 - 2022.3.20 광주시립미술관 분관 하정웅미술관
    • 이상용 Lee Sangyong
      품절
      Artist
      • a
      이상용 Lee Sangyong
      Issue 185, Feb 2022
      이상용
      Lee Sangyong
      한 비범한 이야기꾼이 들려주는 유장한 서사의 강 ● 윤진섭 미술평론가 ● 이미지 작가 제공 '운명(Fate)' 2019 혼합재료 93×70cm
    • 기차 타고 파리로 간, 러시아 형제들
      품절
      Art World
      • a
      기차 타고 파리로 간, 러시아 형제들
      Issue 185, Feb 2022
      기차 타고 파리로 간, 러시아 형제들
      France La Collection Morozov Icônes de l’art moderne 2021.9.22-2.22 파리, 루이 비통 재단 미술관 ● 김진 미술 저널리스트 ● 이미지 Fondation Louis Vuitton 제공 Auguste Renoir 'Portrait of the Actress Jeanne Samary' 1877 Oil on canvas 56×47cm Pushkin Museum, Moscow
    • 공예와 미술
      품절
      Special Feature
      • a
      공예와 미술
      Issue 185, Feb 2022
      공예와 미술
      CRAFT AND ART 공예는 입고, 먹고, 마시는 것과 같은 실생활에서 기능을 가진 물체를 손을 이용해 생산하는 장르를 지칭한다. 단어 자체가 일이나 기능을 뜻하는 ‘공(工)’, 기술이나 재주라는 뜻의 ‘예(藝)’를 품고 있듯, 공예는 인류 역사와 가장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그 발전을 함께 해왔다. 예술의 영역에서 공예를 바라보는 관점은 과거 회화나 조각 등과는 달랐으나, 20세기 들어 공예와 순수미술의 경계는 점차 모호해지기 시작했고 공예의 관행을 예술 영역에서 실험하는 시도 역시 늘어나게 되었다. ● 기획 · 진행 김미혜 기자 김헌철 '시간의 흐름' 2020 유리, 조명, 스테인리스 와이어 서울공예박물관 안내동 천장
    • 지속 가능한 미술관
      품절
      Public & Tech
      • a
      지속 가능한 미술관
      Issue 185, Feb 2022
      지속 가능한 미술관
      미술관 지속성을 위한 국제적·제도적 실천 사회적으로 대두되는 그린 뉴딜의 움직임 속, 미술계에도 ‘지속 가능성’을 중심에 둔 운영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전시 참여 작가와 작품, 외부 관람객의 누적 이동 거리와 같은 요인을 고려할 때 전시를 통해 친환경을 실천하는 것은 구조적 난제다. 아직 국내외 여러 도시에서도 박물관과 미술관의 탄소배출 규제를 법제화하지 않았고, 기관별 ‘지속 가능성’ 인식 수준과 실천 방식 또한 모두 상이하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2010년대 이후부터 최근까지 국내외 미술관에서 ‘지속 가능성’을 다룬 현황을 크게 ‘건축과 운영’, ‘전시 및 연계 프로그램’의 두 가지 방식으로 나누어 살펴볼 것이다. ● 기획 · 진행 · 인터뷰 김미혜 기자 ● 글 주예린 미술비평가 MUSE - Science Museum of Trento, Trento, Italy 이미지 제공: lorenza+panizza/Shutterstock.com
    • Issue 185, Feb 2022
      Issue 185, Feb 2022
      • 12,000원
      • 10,000원
      Issue 185, Feb 2022
      2022년 2월호
      퍼블릭아트 2022년 2월호입니다.
    • 칸딘스키, 말레비치 &amp; 러시아 아방가르드: 혁명의 예술展
      품절
      Preview
      • a
      칸딘스키, 말레비치 &amp; 러시아 아방가르드: 혁명의 예술展
      Issue 184, Jan 2022
      칸딘스키, 말레비치 & 러시아 아방가르드: 혁명의 예술展
      2021.12.31 - 2022.4.17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 로컬 프로젝트 2021: 장백순_空(공)
      품절
      Preview
      • a
      로컬 프로젝트 2021: 장백순_空(공)
      Issue 184, Jan 2022
      로컬 프로젝트 2021: 장백순_空(공)
      2021.12.2 - 2022.2.6 청주시립미술관
    • 스포츠×아트 스테이션
      품절
      Preview
      • a
      스포츠×아트 스테이션
      Issue 184, Jan 2022
      스포츠×아트 스테이션
      2021.12.21 - 2022.2.27 소마미술관
    • 넥스트코드 2021
      품절
      Review
      • a
      넥스트코드 2021
      Issue 184, Jan 2022
      넥스트코드 2021
      2021.10.13 - 2021.11.21 대전시립미술관
    • 이지연: Stain-Rainbow Forest
      품절
      Review
      • a
      이지연: Stain-Rainbow Forest
      Issue 184, Jan 2022
      이지연: Stain-Rainbow Forest
      2021.12.8 - 2021.12.12 더레퍼런스
    • 광대하고 느리게: 권혜원, 박은태, 조은지
      품절
      Review
      • a
      광대하고 느리게: 권혜원, 박은태, 조은지
      Issue 184, Jan 2022
      광대하고 느리게: 권혜원, 박은태, 조은지
      2021.11.11 - 2022.2.27 경기도미술관
    • 논캡션 인터뷰
      품절
      Review
      • a
      논캡션 인터뷰
      Issue 184, Jan 2022
      논캡션 인터뷰
      2021.12.9 - 2021.12.16 의외의조합
    • 빌리 장게와: 혈육
      품절
      Review
      • a
      빌리 장게와: 혈육
      Issue 184, Jan 2022
      빌리 장게와: 혈육
      2021.11.18 - 2022.1.15 리만머핀 서울
    • 생생화화: 현시적 전경
      품절
      Preview
      • a
      생생화화: 현시적 전경
      Issue 184, Jan 2022
      생생화화: 현시적 전경
      2021.12.8 - 2022.2.27 단원미술관
    • 크리스티앙 볼탕스키: 4.4
      품절
      Review
      • a
      크리스티앙 볼탕스키: 4.4
      Issue 184, Jan 2022
      크리스티앙 볼탕스키: 4.4
      2021.10.15 - 2022.3.27 부산시립미술관
    • 미술품 감정 및 유통기반 구축 컨퍼런스
      품절
      Key Work
      • a
      미술품 감정 및 유통기반 구축 컨퍼런스
      Issue 184, Jan 2022
      미술품 감정 및 유통기반 구축 컨퍼런스
    • 그들이 하면, 기준이 된다
      품절
      Art World
      • a
      그들이 하면, 기준이 된다
      Issue 184, Jan 2022
      그들이 하면, 기준이 된다
      U.S.A. Rubell Museum in Miami If they do, it becomes standard 바젤에 바이엘러가 있다면 마이애미엔 루벨이 있다. ● 이한빛 콘텐츠 큐레이터 ● 이미지 Rubell Museum 제공 Installation view of 'Collection Highlights' Left: Kehinde Wiley 'Sleep'(2008) Right: Gilbert & George 'Finding God'(1982)
    • 낯선 세계의 아름다움
      품절
      Art World
      • a
      낯선 세계의 아름다움
      Issue 184, Jan 2022
      낯선 세계의 아름다움
      Australia Jeffrey Smartl 2021.12.11-3.15 캔버라, 호주국립미술관 미술사에 이름을 남긴 대가들의 작품을 복제품으로 보는 데 지친 한 청년은 그들의 대작을 현장에서 직접 보고야 말겠다는 야심 찬 희망을 품고 유럽으로 떠났다. 수많은 미술관을 여행하며 오랜 시간 쌓아두었던 예술적 갈증이 어느 정도 해소되자 그는 점차 유럽의 예술적 유산과 생활방식, 색다른 언어와 음식에 빠져들고 말았다. 결국 토스카나 지방의 아레초(Arezzo)에 정착한 그는 그곳에서 인생을 마무리할 때까지 매일 아침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그림을 그리는 성실하고 부지런한 화가의 삶을 살았다. ● 김남은 호주통신원 ● 이미지 National Gallery of Australia 제공 'Holiday'(Detail) 1971 Private Collection Courtesy of Menzies Art Brands © The Estate of Jeffrey Smart
    • 마르셀 드자마 Marcel Dzama
      품절
      Artist
      • a
      마르셀 드자마 Marcel Dzama
      Issue 184, Jan 2022
      마르셀 드자마
      Marcel Dzama
      뷰티풀 카오스 마르셀 드자마(Marcel Dzama)의 스튜디오에서 찍은 영상을 본 적이 있다. 여느 아티스트의 작업실과 크게 다르진 않았지만 유독 눈에 띄는 점이 있었다. 미셸 공드리(Michel Gondry)류의 상상력 넘치는 영화에나 나올법한 잡동사니로 가득했다는 것. 아니나 다를까 드자마는 “아무래도 저한테 호더(hoarder, 물건을 버리지 못하고 모아두는 사람) 기질이 있는 것 같아요”라고 말하며 쑥스럽게 웃었다. 커다란 야수 가면을 쓰고 진지한 소개를 하다 이내 벗어버리고, 쓱쓱 그림을 그리는 그의 표정은 더없이 평화로워 보였다. ● 이가진 미술 저널리스트 ● 이미지 Sies + Höke Galerie 제공 Installation View of 'Tonight We Dance' Sara Hildén Art Museum, Tampere 2021 Photo: Jussi Koivunen
    • 미술 유튜버의 세계
      품절
      Public & Tech
      • a
      미술 유튜버의 세계
      Issue 184, Jan 2022
      미술 유튜버의 세계
      The World of Art YouTubers 당신(You)과 텔레비전(Tube)의 합성어 유튜브(YouTube). 2005년 2월 페이팔(PayPal) 직원이었던 채드 헐리(Chad Hurley)와 스티브 첸(Steve Chen), 조드 카림(Jawed Karim)이 친구들에게 파티 비디오를 배포하기 위해 ‘모두가 쉽게 비디오 영상을 공유할 수 있는 기술’을 고안했고 이것이 유튜브의 시초가 되었다. 그로부터 17년이 흐른 지금, 유튜브 플랫폼의 존재감은 그때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막강해졌다. 지난달 통계청이 발표한 「한국의 사회동향 2021」에 따르면 유튜브와 같은 OTT 서비스 이용 비중은 2018년 42.7%에서 2020년 66.3%로 가파르게 상승했고, 이중 유튜브 이용률은 62.3%로 2018년 대비 23.9% 증가한 수치를 기록했다. 디지털 플랫폼과 알고리즘의 특성을 넘어 하나의 문화로 정착한 유튜브. 다양한 세계가 존재하는 거대한 흐름 속에서 미술이라는 배를 타고 순항 중인 6인의 크리에이터를 만나본다. ● 기획 · 진행 · 인터뷰 김미혜 기자
    • 상어, 새로이 일주하다
      품절
      Art Log
      • a
      상어, 새로이 일주하다
      Issue 184, Jan 2022
      상어, 새로이 일주하다
      2021.10.19 - 2022.2.27 세화미술관
    • 제21회 송은미술대상전
      품절
      Art Log
      • a
      제21회 송은미술대상전
      Issue 184, Jan 2022
      제21회 송은미술대상전
      2021.12.10 - 2022.2.12 송은
    • 아이 웨이웨이_인간미래
      품절
      Art Log
      • a
      아이 웨이웨이_인간미래
      Issue 184, Jan 2022
      아이 웨이웨이_인간미래
      2021.12.3 - 2022.4.17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 태양에서 떠나올 때
      품절
      Art Log
      • a
      태양에서 떠나올 때
      Issue 184, Jan 2022
      태양에서 떠나올 때
      2021.11.30 - 2022.3.27 전남도립미술관
    • Issue 184, Jan 2022
      Issue 184, Jan 2022
      • 12,000원
      • 10,000원
      Issue 184, Jan 2022
      2022년 1월호
      퍼블릭아트 2022년 1월호입니다.
    • 하상림 Ha Sang Rim
      품절
      Artist
      • a
      하상림 Ha Sang Rim
      Issue 81, Jun 2013
      하상림
      Ha Sang Rim
      자연의 선을 뽑아 축조한 세계 2010년에서 2012년 사이에 발표된 하상림의 최근작들은 작가 말대로 ‘선과 어디까지 놀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장이다. 선이 두드러지기 위해서는 색 또한 중요하고, 선과 색이라는 조형적 언어의 근거가 되는 참조대상, 즉 자연이 중요해진다. 형태를 이루는 선과 바탕이 강한 대조를 이룰 때는 물론 비슷한 계열로 배색된 은은한 작품들조차, 선이 평면을 튀어 나올 듯한 강렬한 움직임을 저지하지 못한다. 환영에 불과했던 선과 색은 자신의 경계를 넘어서 활개 친다. 평면회화에서 이러한 생생한 느낌이 가능한 것은 인공적인 조형언어의 힘이 극대화되었을 뿐 아니라, 자칫 정제된 형식이나 구조로 굳어질 수 있는 언어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독특한 대상과의 만남에서 비롯된다. 형식이냐 내용이냐 하는 문제는 하상림의 작품에서 문제될 게 없다. 양자는 뫼비우스 띠처럼 하나가 된 표면과 이면을 통해 연동되기 때문이다. 그녀의 작품은 자연적 대상을 투명하게 재현하는 중성적 언어, 그리고 참조 대상으로부터 완전히 자율적인 언어라는 양극에 치우치지 않는다. 관객에게 어떤 핵심적 진리를 알려줄 수단으로서의 재현도 아니고, 내용이 소거된 아름다운 무늬도 아닌 하상림의 작품은 추상적 언어의 힘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참조대상을 괄호 쳐야 한다는 모더니즘의 미학적 전략이나, 관객에게 보여주고 알려주고 싶은 어떤 대상이나 메시지를 실어 나르는 투명한 도구로서의 그림이라는 전통적 해결책, 그 무익한 양자택일을 빠져나간다. ● 이선영 미술평론가 ● 사진 서지연 Untitled-R1126-1129 Acrylic on Canvas 180×340cm 2011
    • 소통과 참여, 전이의 예술 ②
      품절
      Public & Tech
      • a
      소통과 참여, 전이의 예술 ②
      Issue 76, Jan 2013
      소통과 참여, 전이의 예술 ②
      Typology of community art 커뮤니티아트의 유형학을 세울 것 : 공동체적 전망 이 글을 위해 주어진 질문은 다음과 같은 것이었다. “커뮤니티아트의 형식적 방법과 과정을 ‘작품’으로 부를 수 있는지?” 즉, 커뮤니티아트의 형식과 그 과정이 예술적 작품이라는 규정 안에서 이해될 수 있는가하는 것인데, 이것은 분명 아주 오래된 논의에서 한 발짝도 벗어나지 못하는 질문이 될 것이다. 다시 말해, 따옴표 안의 작품은 이미 경화된 프레임 안에서 이해되는 작품이라는 뜻을 함의하며, 예술작품이란 무엇인가라는 동어반복적 논의를 계속하게 한다는 혐의에서 자유롭지 않다. 또한 과정과 그 과정에서 요구되는 방법적 개입이 예술의 영토 안에서 승인된지 이미 오래되었다는 것을 생각한다면 이러한 질문이 다소 소비적인 논의처럼 여겨지는 것도 사실이다. ● 기획·진행 이정헌 기자 ● 글 현지연 미학자 허태원 '말들의 정원' 2012
    • 소통과 참여, 전이의 예술 ③
      품절
      Public & Tech
      • a
      소통과 참여, 전이의 예술 ③
      Issue 77, Feb 2013
      소통과 참여, 전이의 예술 ③
      커뮤니티아트라는 필드 합의가 아닌 공감으로 “언어가 경직되고 논의도 관행화되고 있다.” 한 포럼의 커뮤니티아트 관련 정책 담당자가 한 말이다. 기대와 우려에 찬 시선이 국내 공공미술의 갖가지 시도를 바라보며 교차하고 있다. 지역 문화재단을 중심으로 벌어지는 국내 커뮤니티아트는 어느 정도 실효성을 가지고 있는 것일까. 시작부터 관의 행정적 지원을 포함해 작가와 주민 사이의 불협화음도 없지 않은 게 사실이다. 이 장르와 관련된 행정 요소의 발전 양상을 살펴보고, 경직되지 않은 유연한 사고와 행정을 위해서 선행되어야 하는 것들은 무엇인지, 이제 태어난 이 장르를 다루는 이들이 생각해봐야 될 점은 어떤 게 있는지 살펴보자. ● 기획·글 이정헌 기자 런던 코인스트리트 광경
    • 공공미술 사후관리 계명
      품절
      Public & Tech
      • a
      공공미술 사후관리 계명
      Issue 78, Mar 2013
      공공미술 사후관리 계명
      The Commandments of Public Art Restoration 보는 이가 절로 인상을 찌푸리게 하는 공공미술 작품들이 있다. 못나기로 작정한 작품이 어디 있을까. 관리 소홀로 흉물스럽게 변모한 작품을 반기는 이 또한 없을 테다. 더군다나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공공미술이라면 더욱 그러하다. 공공미술 작품의 사후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자칫 작품을 설치·제작할 때만큼이나 거액의 예산이 철거 비용으로 들 수도 있다. 공공미술 작품의 실질적인 관리 방안과 현재의 행정 실태를 살펴보고, 가장 기본적인 응급처치법은 무엇인지 확인해 보았다. ● 기획·글 이정헌 기자 세척 중인 광화문 이순신 장군상
    • 마을미술프로젝트-서귀포 행복프로젝트
      품절
      Public & Tech
      • a
      마을미술프로젝트-서귀포 행복프로젝트
      Issue 79, Apr 2013
      마을미술프로젝트-서귀포 행복프로젝트
      유토피아로 가는 험난한 길 마을미술프로젝트-서귀포 행복프로젝트 천혜의 자연환경을 가진 제주. 그 가운데 서귀포시는 한때 한국과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로 선정되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 3년간 시의 산업자원인 농업과 관광산업이 예전만 못해 인구는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제주 이주’라는 유행으로 1년 사이 시민이 조금 늘었을 뿐, 서귀포시의 공동화현상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이곳에 마을미술프로젝트 작가들이 뛰어들었다. 2012년 마을미술프로젝트의 행복프로젝트 사업은, ‘작가의 일거리 창출’ 뿐 아니라 이번엔 ‘지역 경제 활성화’라는 목표를 설정해 적극적인 관광상품 프로모션에 나섰다. 하지만 목표달성을 위해서 지자체의 부실한 행정처리 등이 걸림돌이 되고 있다. 해외 사례처럼 공공미술과 관광이 만나는 성과를 관주도형 프로젝트에서 이룩해낼 수 있을까. ● 기획·글 이정헌 기자 전종철 '경계선 사이에서' 혼합재료 4200×700×300cm 2013
    • 담벼락 꽃의 생명력
      품절
      Public & Tech
      • a
      담벼락 꽃의 생명력
      Issue 80, May 2013
      담벼락 꽃의 생명력
      The vitality of murals 공공미술에서 환경조형물 다음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장르가 벽화다. 몇 년 전만 해도 벽화조성사업은 주로 국가와 관주도형이 대부분이었지만, 최근에는 민·관·학·기업이 나서 소외지역 생활환경 개선의 일환으로 사업을 벌이고 있다. 미관 개선 등 벽화의 긍정적인 효과도 많지만, ‘일방통행’나 ‘시각적 공해’ 등 좋지 않은 의미로도 받아들여지게 사실. 각 지자체에서 여전히 확산되고 있는 벽화조성사업의 면면을 통해 순기능과 역기능을 살폈다. ● 기획·글 이정헌 기자 다니엘 카노가(Daniel Canogar) 'Constelaciones' 마드리드
    • 공공미술 비하인드 스토리 ①
      품절
      Public & Tech
      • a
      공공미술 비하인드 스토리 ①
      Issue 81, Jun 2013
      공공미술 비하인드 스토리 ①
      NY battery park city 뉴욕 배터리 파크 시티 뉴욕에서 길을 가던 뉴요커를 붙잡고 가볼 만한 곳을 물어 본다면, 대부분 하나같이 로워 맨하튼(Lower Manhattan)에 위치한 배터리 파크 시티(Battery park city)의 에스플라나드(esplanade)를 추천한다. 80년대 맨하튼의 낙후 지역을 민-관 협력을 통해 성공적으로 재생시켰다고 평가받는 배터리 파크 시티. 허드슨 강변을 따라 길게 나있는 아름다운 산책로와, 최고 수준의 공공미술 작품들은 프로젝트의 ‘화룡점정'이다. 대규모 자본과 합리적인 마스터플랜에 의거하여 진행된 배터리 파크 시티의 공공미술(디자인)은 기존의 도시 조경, 건축과 미술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뉴요커의 초이스, 걷고 싶은 거리인 에스플라나드 또한 메리 미스의 공공미술 프로젝트 의 한 부분이다. ● 기획·글 안대웅 기자 '사우스 코브(South Cove)'의 야경
    • 공공미술 비하인드 스토리 ②
      품절
      Public & Tech
      • a
      공공미술 비하인드 스토리 ②
      Issue 82, Jul 2013
      공공미술 비하인드 스토리 ②
      Chicano Mural Movement 치카노 벽화 운동 “쓸 데 없는 벽화 같은 것 말고~” 요즘 공공미술을 말할 때 심심치 않게 툭 하고 튀어나오는 말이다. ‘벽화는 구석기 시대부터 존재해왔다’는 거창한 말을 들이밀지 않더라도, (알타미라 벽화를 생각해 보라!) 예로부터 체제 저항이나 공공 환경 조성의 가장 요긴한 매체 중 하나로 계속 쓰여왔는데, 요즘은 찬밥 신세가 말이 아니다. 아마 본지 5월호에서 이미 다룬 바 있듯이 주민과 동기화가 되지 않거나, 사후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클 것이다. 하지만 성공적인 사례도 분명 존재한다. 예를 들어 국내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치카노 벽화 운동. 이 운동은 1960년대 멕시칸-아메리칸 계열의 아이덴티티 폴리틱의 일환으로 미국 남서부지역에서 촉발되어, 이후 미국 전역에 영향을 미쳤던 자생적 공공벽화 운동이다. 이번 달에는 공공 벽화에 대한 선입견을 재고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라면서 치카노 벽화 운동의 면모에 대해서 살펴봤다. ● 기획·글 안대웅 기자 이스트 로스 스트리트스케이퍼즈(East Los Streetscapers) 좌: 신부와 신랑(The Bride and Groom) 우: 새로운 불(El Nuevo Fuego)> 24×25m 1985 Victor Closing Company Building, 242 South Broadway, LA
    • 공공미술 비하인드 스토리 ③
      품절
      Public & Tech
      • a
      공공미술 비하인드 스토리 ③
      Issue 83, Aug 2013
      공공미술 비하인드 스토리 ③
      Münster Sculpture Project 1977 뮌스터 조각 프로젝트 1977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가 이제 가시 거리로 성큼(!) 다가왔다. 이에 안양프로젝트의 롤모델이기도 한 뮌스터 조각 프로젝트, 그중에서도 ‘뮌스터 조각 프로젝트’란 정식 이름을 미처 달지 못했던 첫 번째 전시 의 ‘프로젝트 부문’을 살펴봤다. 독일 카톨릭의 3대 본산 중 하나인 뮌스터는 조용하고 보수적인 중산층의 종교 도시다. 유서 깊은 신학 대학들이 엄숙하고도 학구적인 분위기를 형성하고 있으며, 자전거 도로가 잘 정비가 되어 있어 다른 대중교통이 필요 없을 만큼 대단히 정서적으로 여유롭다. 카톨릭 성당을 비롯하여 도시 곳곳에 잔잔히 퍼져있는 예스러움은 도시의 역사를 반영하면서도 그들의 진부한 기질을 반영하기도 한다. 사실 어떤 사람은 뮌스터를 보수적인 시골 부르주아의 도시라고 비아냥거리기도 하니까. 2차세계대전 당시 폭격으로 인해 대부분의 기능을 잃은 카셀과 비교해 봤을 때, 카셀이 산업화와 도시화를 받아들인 반면, 뮌스터는 예전의 모습을 무식하게(?) 모조리 복원시켰다는 점에서도 그들의 태생적 보수성을 짐작할 수 있다. ● 기획·글 안대웅 기자 Mike Kelley 'Petting Zoo (Streichelzoo)' Foto: Roman Mensing
    • 공공미술 비하인드 스토리 ④
      품절
      Public & Tech
      • a
      공공미술 비하인드 스토리 ④
      Issue 84, Sep 2013
      공공미술 비하인드 스토리 ④
      Places with a Past: New Site-Specific Art in Chaleston 과거가 있는 장소: 새로운 장소 특정적 미술 최근 한국의 공공미술 영역 안에서 각 지역의 독특한 정체성을 회복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역성을 강조한 장소 특정적 미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장소의 특성을 강조한 공공미술은 각 지역의 차이를 강조하고 그 동안 잃어버렸던 개별적 장소만의 고유성을 불어넣으면서, 장소의 차별성과 지역의 정체성을 제공하는 유용한 공공 장치로 활용된다. 즉, 지역성을 강조하는 공공미술은 그들 고유의 화법을 통해 지역 공동체의 문제를 드러내고 소통을 가능케 한다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이는 지난 호에서 다룬 독일 지역의 [뮌스터 조각 프로젝트(Münster Sculpture Project)]로부터 시작되었다. 여기에서 영향을 받아 미국에서도 지역성을 강조한 공공미술이 발생하는데, 찰스턴(Chaleston)에서 발생하고 메리 제인 제이콥(Marry Jane Jacob)이 기획한 [과거가 있는 장소: 새로운 장소 특정적 미술 (Places with a Past: New Site-Specific Art in Chaleston)] 프로젝트가 바로 그것이다. ● 기획·글 문선아 기자 David Hammon 'House of Future' 1991 'Places with a Past: New Site-Specific Art in Chaleston' 'Spoleto Festival USA' 1991 Courtesy of photo John McWilliams
    • 회고담: “흐르고 흘러, 다시 공공미술이로세”
      품절
      Public & Tech
      • a
      회고담: “흐르고 흘러, 다시 공공미술이로세”
      Issue 85, Oct 2013
      회고담: “흐르고 흘러, 다시 공공미술이로세”
      SUSPICIOUS ARGUMENT 질문. 한국미술계에서 스스로를 ‘공공미술가’라고 단번에 말할 수 있는 예술가가 얼마나 될까? 공공미술이란 말을 사용하는 데 대한, 이 ‘주저함’은 도대체 무엇을 의미하는가? 소위 공공미술의 ‘황금기’라 불렸던 참여정부 시절이 지나간 이후, 공공미술계(?)의 어떤 소강상태,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오염되고 남용되고 있는 ‘공공’의 개념들은 너도 나도 공공미술가이면서 또 한편으론 그렇지 않은 현실을 절감케 한다. 공공미술이란 재고돼야 하는 것일까? 그렇다면 어떻게? 이렇듯 복잡다단한 궁금증에 대해 속 시원히 풀어줄 사람이 필요하다. 「퍼블릭아트」는 창간특집호를 맞아 전문가들을 초대했다. 공공미술 1세대라 불리는 박찬국(68년생), 이섭(60년생), 박삼철(64년생)이 그 주인공이다. 박찬국은 잘 알려졌다시피 공공미술 작가 겸 기획자로 꾸준히 제 영역에서 활동하는 우리나라 공공미술계의 대선배. 한편, 이섭과 박삼철은 한국 공공미술의 비전을 제시한 바 있는 아트컨설팅서울(ACS)의 주역으로서 현재 각각 이론과 행정 쪽에서 제 임무를 열심히 수행 중인 인물이다. 이들에게 물었다. “한국 공공미술, 앞으로 어떻게 될까요?”. ● 기획·진행 안대웅 기자, 이정헌 객원기자 ● 정리 최 선 인턴기자 ● 장소협찬 블루스퀘어 네모 최정화 '꽃나무' 2004. 리옹, 프랑스
    • 공공미술 2.0, 남은 것을 지키기 위해 뭘 해야 하는가
      품절
      Public & Tech
      • a
      공공미술 2.0, 남은 것을 지키기 위해 뭘 해야 하는가
      Issue 86, Nov 2013
      공공미술 2.0, 남은 것을 지키기 위해 뭘 해야 하는가
      What will it take to save what remains? “햄버거 2.0 사업”, “부모 2.0 사업” 눈에 보이는 모든 명사에 2.0을 붙여버릴 작정인 것일까. 바야흐로 ‘2.0’이 유행이다. 이런 사업은 보통 전통산업에 ‘웹 2.0’ 개념이 결합되어 탄생한다. 이 가공할 명칭의 속뜻은 저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사업의 주체가 생산자에서 사용자로 바뀌었다는 뜻으로, ‘한층 진보적이다’라는 뭉뚱그려진 의미를 갖는다. 그래서 유행이다. 미술계에도 이 현상을 볼 수 있게 됐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추진하고 있는 지역 맞춤형 공공미술 사업 ‘공공미술 2.0’이 그것이다. 공공미술, 이 문제적 장르가 그 이름에 걸맞게 변모할 수 있을까? 먼저 선택적 기금제 도입 후 누적된 “공공미술 진흥기금”의 운용 내용과 문제를 짚어보고, 다음 달 같은 지면에는 이 사업을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 기획 안대웅 기자 ● 글 이정헌 객원기자 최정화 '꽃나무' 2004. 리옹, 프랑스
    • 공공미술 2.0 : 누가 공공미술을 구원할 것인가
      품절
      Public & Tech
      • a
      공공미술 2.0 : 누가 공공미술을 구원할 것인가
      Issue 87, Dec 2013
      공공미술 2.0 : 누가 공공미술을 구원할 것인가
      Who's gonna save public art 지난 10월 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국정감사장에서 문화예술진흥기금이 2016년 고갈될 위기에 놓였다는 지적이 나왔다. 통계 수치상의 예상이지만, 만일 그렇게 된다면 기존에 문화예술진흥기금으로 추진했던 사업들을 여타 국비로 진행해야 한다. 선택적 기금제에 의해 모인 ‘공공미술 진흥기금’ 또한 문화예술진흥기금의 일부. 그렇다면 걱정이 두 배가 되는 건 아닐까. 당초 예상과 달리 적게 누적된 공공미술 진흥기금으로 진행하던 공공미술 시범사업, 교육과 홍보, 아카이브들의 안위가 걱정이다. 관주도의 공공미술이 거의 전부라 볼 수 있는 한국 공공미술은 분명 전에 없던 시련을 겪게 될 수도 있다. 2014년에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주관하는 공공미술 시범사업 ‘공공미술 2.0’이 한창 준비 중이다. 그렇다면, 이 프로젝트는 그간 ‘커뮤니티아트’, ‘소외지역 및 지역경제 활성화’, ‘관광자원 개발’ 등으로 설명되는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정치적 정당성을 표해야 하는 걸까, 아니면 반대로 기존 공공미술을 특정하던 목적에서 한 발 벗어나, ‘2.0’이 말하듯 발전적 성향을 띄어야 할까. ● 기획·진행 안대웅 기자 ● 글 이정헌 객원기자 Andreas Siekmann 'Trickle down Der offentliche Raum im Zeitalter seiner Privatisierung' Skulptur Projekte Munster 07
    • 메리 코스_빛을 담은 회화
      품절
      Preview
      • a
      메리 코스_빛을 담은 회화
      Issue 183, Dec 2021
      메리 코스_빛을 담은 회화
      2021.11.2 - 2022.2.20 아모레퍼시픽미술관
    • 박인경_내 방 창 너머
      품절
      Preview
      • a
      박인경_내 방 창 너머
      Issue 183, Dec 2021
      박인경_내 방 창 너머
      2021.10.29 - 2021.12.19 이응노 미술관
    • 대지의 시간
      품절
      Preview
      • a
      대지의 시간
      Issue 183, Dec 2021
      대지의 시간
      2021.11.25 - 2022.2.27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 인간, 일곱 개의 질문
      품절
      Review
      • a
      인간, 일곱 개의 질문
      Issue 183, Dec 2021
      인간, 일곱 개의 질문
      2021.10.8 - 2022.1.2 리움미술관
    • 이원호_오만가지
      품절
      Review
      • a
      이원호_오만가지
      Issue 183, Dec 2021
      이원호_오만가지
      2021.10.29 - 2021.11.30 자하미술관
    • 횡단하는 물질의 세계
      품절
      Review
      • a
      횡단하는 물질의 세계
      Issue 183, Dec 2021
      횡단하는 물질의 세계
      2021.9.17 - 2021.12.12 아르코미술관 내외부 등
    • 송필_Beyond the Withered
      품절
      Review
      • a
      송필_Beyond the Withered
      Issue 183, Dec 2021
      송필_Beyond the Withered
      2021.10.15 - 2021.11.13 호리아트스페이스
    • 미래의 역사쓰기_ZKM 베스트 컬렉션
      품절
      Art Log
      • a
      미래의 역사쓰기_ZKM 베스트 컬렉션
      Issue 183, Dec 2021
      미래의 역사쓰기_ZKM 베스트 컬렉션
      2021.12.17 - 2022.4.3 광주시립미술관
    • 신소장품 2020 &amp; 유희영 기증작품
      품절
      Art Log
      • a
      신소장품 2020 &amp; 유희영 기증작품
      Issue 183, Dec 2021
      신소장품 2020 & 유희영 기증작품
      2021.12.7 - 2022.2.20 대전시립미술관
    • 경로를 재탐색합니다
      품절
      Art Log
      • a
      경로를 재탐색합니다
      Issue 183, Dec 2021
      경로를 재탐색합니다
      2021.12.14 - 2022.3.6 서울시립미술관
    • 어윈 올라프: 완전한 순간-불완전한 세계
      품절
      Art Log
      • a
      어윈 올라프: 완전한 순간-불완전한 세계
      Issue 183, Dec 2021
      어윈 올라프: 완전한 순간-불완전한 세계
      2021.12.14 - 2022.3.20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
    • AES+F. 길잃은 혼종, 시대를 갈다
      품절
      Review
      • a
      AES+F. 길잃은 혼종, 시대를 갈다
      Issue 183, Dec 2021
      AES+F. 길잃은 혼종, 시대를 갈다
      2021.9.3 - 2021.12.26 전남도립미술관
    • 미술품 감정 및 유통기반 구축 컨퍼런스
      품절
      Key Work
      • a
      미술품 감정 및 유통기반 구축 컨퍼런스
      Issue 183, Dec 2021
      미술품 감정 및 유통기반 구축 컨퍼런스
    • 미술 속 부동산
      품절
      Special Feature
      • a
      미술 속 부동산
      Issue 183, Dec 2021
      미술 속 부동산
      Real Estate in Art 우리나라 뉴스와 SNS에 가장 빈번하게 등장하는 단어는 뭘까. 의심의 여지없이 언제나 핫하고 유효하며 집중적 관심을 받는 ‘부동산’은 선거에 돌입하고 있는 지금, 보다 더 주요하고 중요한 키워드로 부상했다. 특히 천정부지로 오르는 집값과 종부세 부담으로 무주택자, 1주택자, 다주택자 할 것 없이 모두가 손해를 보는 ‘마이너스 섬(minus sum)’에 빠졌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2021년 현재, 당장 나부터도 머리에 ‘부동산’을 새긴 채 도시 숲을 이룬 아파트를 바라보며 하염없이 한숨을 쉬게 된다. 사회, 경제, 문화 전반은 물론 개인의 삶 자체에 미시적 관계를 맺고 있는 부동산. 이는 과연 동시대 미술과 어떻게 연결돼 있을까. 이번 기획은 문화예술이 지역의 장소정체성과 긴밀하게 연결된다는 전제에서 출발해 도시문화정책을 통한 도시와 예술은 물론 그것과 부동산의 역학관계까지 알아본다. 이어 시대와 상황에 따라 변화를 거듭하는 부동산 정책과 현대미술의 상관관계를 톺고, 끝으로 근현대 미술작품에 재현된 집의 형태 변화를 추적함으로써 사회적 관계 양상을 살핀다. ● 기획 · 진행 정일주 편집장, 김미혜 기자 박찬민 'BL215375573126950232' 2015 디지털 피그먼트 프린트 121×156cm
    • 이민선 Lee Minsun
      품절
      Artist
      • a
      이민선 Lee Minsun
      Issue 183, Dec 2021
      이민선
      Lee Minsun
      PUBLIC ART NEW HERO 2021 느릿느릿 뒷걸음-치기 이민선의 작업은 예술에 대한 고정관념의 고리를 잘라낸다. 무엇보다 동시대 예술의 허영심, 특별함을 평범함으로 가장하는 예술세계의 모순을 그는 실컷 풍자한다. 풍자가 예술의 토양을 갈아엎을 수 있을지는 모르겠으나 작가는 상투적인 것들로 채워진 세계를 재현하고 그 안에서 새로운 자아를 생성한다. 고유한 정체성을 지향하던 시대는 점점 흐릿해지고 언젠가부터 다양한 존재의 형태가 동시대 문화에 정착되는 분위기다. 이민선의 작업은 예술의 문맥보다 현실의 맥락 속에서 작동한다. 일상적인 것이 미술적인 것보다 앞서 위치할 수 있다는 것은 동시대 시각예술의 시점으로 보면 결코 낯선 모습은 아니다. 무엇보다 이러한 매우 일상적인 것을 작업의 도구이자 미학적 장치로 활용하는 이유가 무엇인지를 알아보아야 할 것 같다. ● 정현 미술비평가·인하대학교 교수 ● 이미지 작가 제공 '사오정은 점점 미안해졌다' 2020 가변설치 '필사의 유머' 전시 전경 2020 탈영역우정국
    • PROJECT JEJU
      품절
      Public & Tech
      • a
      PROJECT JEJU
      Issue 183, Dec 2021
      PROJECT JEJU
      프로젝트 제주 우리 시대에_At the Same Time 시작의 가능성을 마련하다 제주로 가는 비행기 안은 언제나 들떠있다. 맑고 예쁜 섬에 발을 딛는단 사실만으로 사람들은 행복하고 흥분해있다. 코로나 이후 그 진가를 다시 한 번 증명하고 있는 섬, 제주엔 그야말로 일주일 상간에도 몇 만, 몇 십 만 명이 오고 그리고 간다. 그런 제주에 섬의 안팎을 아우르며 동시대 미술 흐름을 파악하는 ‘프로젝트 제주’ [우리 시대에_At the Same Time]이 지금 한창 선보이고 있다. 10월 12일부터 제주도립미술관을 중심으로 마련된 ‘프로젝트 제주’는 “소통과 공감을 담당하는 미술관은 ‘우리 시대에’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을까?”란 근본적 질문을 던진다. ● 기획 · 글 · 인터뷰 정일주 편집장 콜렉티브 웃 '디스턴스;99' 2021 인터랙티브 3채널 비디오, HD 비디오, 컬러, 사운드, 설치 4분
    • 시니어 예술
      품절
      Special Feature
      • a
      시니어 예술
      Issue 182, Nov 2021
      시니어 예술
      Art for Seniors ● 기획 · 진행 김미혜 기자 Happy Older People MDI Networking Event Photo: Pete Carr
    • 조해준 Jo Haejun
      품절
      Artist
      • a
      조해준 Jo Haejun
      Issue 182, Nov 2021
      조해준
      Jo Haejun
      월경의 서사, 혈연에서 역사로 ● 김주원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연구실장 ● 이미지 작가 제공 '곰과 아버지' 2021 흑백, 4K, DCP 파일 76분 40초 스틸 이미지
    • KIAF SEOUL 2021
      품절
      Review
      • a
      KIAF SEOUL 2021
      Issue 182, Nov 2021
      KIAF SEOUL 2021
      2021.10.15 - 2021.10.17 코엑스 A&B 홀
    • 몸이 선언이 될 때
      품절
      Review
      • a
      몸이 선언이 될 때
      Issue 182, Nov 2021
      몸이 선언이 될 때
      2021.10.13 - 2021.11.3 보안1942 아트스페이스 보안 3
    • 감각정원:  밤이 내리면, 빛이 오르고
      품절
      Review
      • a
      감각정원:  밤이 내리면, 빛이 오르고
      Issue 182, Nov 2021
      감각정원: 밤이 내리면, 빛이 오르고
      2021.9.1 - 2021.12.31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강요배, 카네이션-마음이 몸이 될 때
      품절
      Art Log
      • a
      강요배, 카네이션-마음이 몸이 될 때
      Issue 182, Nov 2021
      강요배, 카네이션-마음이 몸이 될 때
      2021.10.13 - 2022.1.9 대구미술관
    • 인간, 일곱 개의 질문
      품절
      Art Log
      • a
      인간, 일곱 개의 질문
      Issue 182, Nov 2021
      인간, 일곱 개의 질문
      2021.10.8 - 2022.1.2 리움미술관
    • ‘제22회 단원미술제’ 단원미술대상 최종 수상에 박준형 작가
      품절
      Key Work
      • a
      ‘제22회 단원미술제’ 단원미술대상 최종 수상에 박준형 작가
      Issue 182, Nov 2021
      ‘제22회 단원미술제’ 단원미술대상 최종 수상에 박준형 작가
    • 미술품 유통·감정 인식 개선 캠페인 ‘작품의 가치, 신뢰를 같이’
      품절
      Key Work
      • a
      미술품 유통·감정 인식 개선 캠페인 ‘작품의 가치, 신뢰를 같이’
      Issue 182, Nov 2021
      미술품 유통·감정 인식 개선 캠페인 ‘작품의 가치, 신뢰를 같이’
    • 민재영_생활의 발견
      품절
      Preview
      • a
      민재영_생활의 발견
      Issue 182, Nov 2021
      민재영_생활의 발견
      2021.10.7 - 2021.11.28 성곡미술관
    • 한글, 공감각을 깨우다: 눈, 코, 귀, 입, 몸으로 느끼는 우리말
      품절
      Preview
      • a
      한글, 공감각을 깨우다: 눈, 코, 귀, 입, 몸으로 느끼는 우리말
      Issue 182, Nov 2021
      한글, 공감각을 깨우다: 눈, 코, 귀, 입, 몸으로 느끼는 우리말
      2021.10.1 - 2021.12.23 사비나미술관
    • 2021 대구아트페어
      품절
      Preview
      • a
      2021 대구아트페어
      Issue 182, Nov 2021
      2021 대구아트페어
      2021.11.5 - 2021.11.7 대구 엑스코(EXCO)
    • Issue 182, Nov 2021
      Issue 182, Nov 2021
      • 12,000원
      • 10,000원
      Issue 182, Nov 2021
      2021년 11월호
      퍼블릭아트 2021년 11월호입니다.
    • 프로필을 설정하세요
      품절
      Preview
      • a
      프로필을 설정하세요
      Issue 181, Oct 2021
      프로필을 설정하세요
      2021.9.2 - 2021.11.27 코리아나미술관
    • 횡단하는 물질의 세계
      품절
      Preview
      • a
      횡단하는 물질의 세계
      Issue 181, Oct 2021
      횡단하는 물질의 세계
      2021.9.17 - 2021.12.12 아르코미술관
    • 조지 몰튼-클락, Myths, Heroes &amp; Mad Scientists
      품절
      Preview
      • a
      조지 몰튼-클락, Myths, Heroes &amp; Mad Scientists
      Issue 181, Oct 2021
      조지 몰튼-클락, Myths, Heroes & Mad Scientists
      2021.9.8 - 2021.11.28 구하우스미술관
    • 오연진, 허요 2인전 물질의 구름
      품절
      Review
      • a
      오연진, 허요 2인전 물질의 구름
      Issue 181, Oct 2021
      오연진, 허요 2인전 물질의 구름
      2021.9.1 - 2021.9.12 아트스페이스 영
    • 이혁발 몰랑몰랑 육감도
      품절
      Review
      • a
      이혁발 몰랑몰랑 육감도
      Issue 181, Oct 2021
      이혁발 몰랑몰랑 육감도
      2021.9.8 - 2021.9.12 갤러리 경북
    • 현남_무지개의 밑동에 굴을 파다
      품절
      Review
      • a
      현남_무지개의 밑동에 굴을 파다
      Issue 181, Oct 2021
      현남_무지개의 밑동에 굴을 파다
      2021.7.23 - 2021.10.3 아뜰리에 에르메스
    • 나도 잘 지냅니다
      품절
      Preview
      • a
      나도 잘 지냅니다
      Issue 181, Oct 2021
      나도 잘 지냅니다
      2021.8.27 - 2021.12.5 광주시립미술관
    • 더리뷰
      품절
      Preview
      • a
      더리뷰
      Issue 181, Oct 2021
      더리뷰
      2021.10.8 - 2021.10.17 조선일보미술관, 노블레스컬렉션
    • AES+F. 길잃은 혼종, 시대를 갈다
      품절
      Art Log
      • a
      AES+F. 길잃은 혼종, 시대를 갈다
      Issue 181, Oct 2021
      AES+F. 길잃은 혼종, 시대를 갈다
      2021.9.3 - 2021.12.26 전남도립미술관
    • 한국 서예의 거장_소전 손재형
      품절
      Art Log
      • a
      한국 서예의 거장_소전 손재형
      Issue 181, Oct 2021
      한국 서예의 거장_소전 손재형
      2021.9.1 - 2021.11.7 전남도립미술관
    • 빛으로 그리는 신세계
      품절
      Art Log
      • a
      빛으로 그리는 신세계
      Issue 181, Oct 2021
      빛으로 그리는 신세계
      2021.9.17 - 2021.12.19 청주시립미술관
    • 덕수궁 프로젝트 2021_상상의 정원
      품절
      Art Log
      • a
      덕수궁 프로젝트 2021_상상의 정원
      Issue 181, Oct 2021
      덕수궁 프로젝트 2021_상상의 정원
      2021.9.10 - 2021.11.28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
    • 모던 라이프
      품절
      Preview
      • a
      모던 라이프
      Issue 181, Oct 2021
      모던 라이프
      2021.10.19 - 2022.3.27 대구미술관
    • 미술 경매의 세계
      품절
      Special Feature
      • a
      미술 경매의 세계
      Issue 181, Oct 2021
      미술 경매의 세계
      Art Auction ‘불 마켓(Bull Market)’이란 황소가 뿔을 들어 올려 상대를 제압하듯 오랜 기간 상승세인 장을 일컫는 용어다. 현재 국내 미술 경매시장을 한마디로 표현한다면 바로 이 단어를 사용해야 할 듯하다. 한국미술시가감정협회가 발표한 「2021년 국내 미술품 경매시장의 상반기 결산」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미술품 경매시장 매출 규모는 1,483억 원으로 지난해 동기 거래액 490억 원보다 3배 이상 증가했고, 코로나19 확산 전인 2019년 상반기 826억 원, 2018년 상반기 1,030억 원에 비해서도 크게 늘었다. 연말까지 이러한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우리는 비평과 기획을 넘어 미술계 그리고 미술사 전반에 영향을 끼치는 미술품 경매를 살피고자 한다. 이 특집은 먼저 국내 미술품 경매시장의 특성과 매력, 경매 참여 시 유의해야 할 사항 등에 대해 전반적으로 알아보고 경매시장 생태계를 구성하는 요소와 현황, 그 구조를 톺는다. 그와 함께 옥션사에 종사하는 각 분야 스페셜리스트와 경매사의 인터뷰를 통해 우리가 미처 몰랐던 현장 이야기도 듣는다. 이제 경매의 매력으로 함께 빠져들어 보자. ● 기획 · 진행 편집부 ● 이미지 제공: 서울옥션 서울옥션 경매 현장 전경
    • 흑인 작가가 읽어낸 미국의 역사
      품절
      Art World
      • a
      흑인 작가가 읽어낸 미국의 역사
      Issue 181, Oct 2021
      흑인 작가가 읽어낸 미국의 역사
      U.S.A Mark Bradford Pickett’s Charge 2017.8- 워싱턴 D.C., 허쉬혼 미술관 ● 이한빛 콘텐츠 큐레이터·『헤럴드경제』 기자 ● 이미지 Hirshhorn Museum 제공 Installation view of 'Mark Bradford: Pickett’s Charge' at the Hirshhorn Museum and Sculpture Garden 2017 © the artist and Hauser & Wirth Photo: Cathy Carver
    • 곽인탄 Kwak Intan
      품절
      Artist
      • a
      곽인탄 Kwak Intan
      Issue 181, Oct 2021
      곽인탄
      Kwak Intan
      PUBLIC ART NEW HERO 2021 터지고 비어져 나오는 뒤죽박죽의 자유 곽인탄의 작업을 설명할 때 자주 쓰이는 단어가 있다. 강박 그리고 자유다. 반복되고 누적되는 고통스러운 강박과 강박에서 벗어나 자유로워지고자 하는 심리, 대치되는 두 가지 동력은 조각을 위한 발단이 되어 준다. 말하자면 강박과 자유 사이, 실존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조각이 배태된다는 것인데, 널리 알려졌듯 실존을 위한 인간의 의지는 근대 조각이 발아하기 위한 조건이기도 했다. 막대한 현실에서 강박을 경험하며, 작가는 고전적 주제를 거쳐 조각을 출발시킨다. ● 최태만 미술평론가 ● 이미지 작가 제공 '발작' 2020 레진, 퍼티, 시멘트, 철, 아이소 핑크, 우레탄 폼, 기존 조각의 파편물 73×40×40cm
    • 오원배 Oh Wonbae
      품절
      Artist
      • a
      오원배 Oh Wonbae
      Issue 181, Oct 2021
      오원배
      Oh Wonbae
      오원배의 형상, 인간으로부터 새하얀 북극에서 뛰노는 얼룩말, 작은 배를 타고 지중해를 항해하는 당나귀, 비행기에 몸을 실은 채 하늘을 나는 84마리의 금붕어, 도심 속에서 요가를 연습하고 공중곡예를 선보이는 북극곰 무리. 언뜻 익숙하고 친숙한 주체들에 마음을 빼앗기려는 순간, 이들이 응당 있어야 할 곳이 아닌, 어딘가 어색하고 낯선 공간에서 다분히 생경한 액션을 취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예술을 ‘불가능한 기적’이라 일컫는 파올라 피비(Paola Pivi)는 비현실적 요소들을 예술을 완성하는 재료로 십분 활용하며 실제 한 번도 일어나지 않은 다른 차원의 일상을 눈앞에 펼쳐 보인다. 이렇게 현실의 프리즘에 투사된 아이러니의 빛은 인식적 한계를 초월하고 이내 우리를 숨겨진 이면의 수수께끼 세상으로 이끈다. ● 최태만 미술평론가 ● 이미지 작가 제공 '무제' 2007 캔버스에 혼합재료 231×479cm
    • ‘제15회 태화강국제설치미술제’ 10월 14일부터 31일까지 펼쳐져
      품절
      Key Work
      • a
      ‘제15회 태화강국제설치미술제’ 10월 14일부터 31일까지 펼쳐져
      Issue 181, Oct 2021
      ‘제15회 태화강국제설치미술제’ 10월 14일부터 31일까지 펼쳐져
    • 제6회 서울은미술관 공공미술 컨퍼런스
      품절
      Key Work
      • a
      제6회 서울은미술관 공공미술 컨퍼런스
      Issue 181, Oct 2021
      제6회 서울은미술관 공공미술 컨퍼런스
    • Issue 181, Oct 2021
      Issue 181, Oct 2021
      • 12,000원
      • 10,000원
      Issue 181, Oct 2021
      2021년 10월호
      퍼블릭아트 2021년 10월호입니다.
    • 강용운, 나를 춤추다
      품절
      Review
      • a
      강용운, 나를 춤추다
      Issue 180, Sep 2021
      강용운, 나를 춤추다
      2021.6.29 - 2021.10.31 광주시립미술관
    • 로컬 프로젝트 2021: 박진명_잔상의 기록
      품절
      Review
      • a
      로컬 프로젝트 2021: 박진명_잔상의 기록
      Issue 180, Sep 2021
      로컬 프로젝트 2021: 박진명_잔상의 기록
      2021.6.17 - 2021.8.22 청주시립미술관
    • 장입규_누가 우리 귀여운 코끼리의 코를 잘랐나.
      품절
      Review
      • a
      장입규_누가 우리 귀여운 코끼리의 코를 잘랐나.
      Issue 180, Sep 2021
      장입규_누가 우리 귀여운 코끼리의 코를 잘랐나.
      2021.6.15 - 2021.7.29 씨알콜렉티브
    • 샌정_temporality
      품절
      Review
      • a
      샌정_temporality
      Issue 180, Sep 2021
      샌정_temporality
      2021.6.17 - 2021.9.3 우손갤러리
    • 바람보다 먼저
      품절
      Preview
      • a
      바람보다 먼저
      Issue 180, Sep 2021
      바람보다 먼저
      2021.8.18 - 2021.11.7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
    • [제19회 우민미술상]수상작가전 김상진 &#039;In the Penal Colony_유형지에서&#039;
      품절
      Key Work
      • a
      [제19회 우민미술상]수상작가전 김상진 &#039;In the Penal Colony_유형지에서&#039;
      Issue 180, Sep 2021
      [제19회 우민미술상]수상작가전 김상진 'In the Penal Colony_유형지에서'
    • 윤석원 Yoon Sukone
      품절
      Artist
      • a
      윤석원 Yoon Sukone
      Issue 180, Sep 2021
      윤석원
      Yoon Sukone
      PUBLIC ART NEW HERO 2021 퍼블릭아트 뉴히어로 그래도 살기 위해 노력한다 눈길을 사로잡았던 것은 수십 개의 화분이 놓인 풍경이었다. 개인적으로 분주하고 바쁜 와중에도, 그 그림 앞에서 멈추어 한참을 서 있을 수밖에 없었다. 콘크리트 벽돌 몇 개가 주춧돌이 되어 그 위에 근본 없이 다양한 화분들에 각종 식물들이 아무렇게나 자라고 있는 이 풍경은, 단순하지 않고 장대하다. 가로 선의 붓질은 시간이 흘러가듯 이 풍경을 흘깃 바라보라고 하는 것 같지만, 어쩐지 그 시간의 장막을 뚫고 그려진 것들을 자세히 들여다보게 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화면 속에는 꽃이 피거나 무성하게 자라고 있는 화분들도 있지만 앙상한 가지에 몇 개의 이파리만을 덜렁 달고 있는 것들도 있고, 빈 화분도 있다. 이 작품의 제목은 [계절(The Season)](2019)이다. ● 이윤희 수원시립미술관 학예과장 ● 이미지 작가 제공 '계절(The Season)' 2019 캔버스에 유채 162×227.3cm 이미지 제공: 갤러리바톤
    • 강문석 Kang Moonseok
      품절
      Artist
      • a
      강문석 Kang Moonseok
      Issue 180, Sep 2021
      강문석
      Kang Moonseok
      풍경을 매개하고 바람을 품는 입체 드로잉 강문석의 작품엔 재현과 표현이 공존하지만, 굳이 한 쪽에 힘을 실어 구분을 지어야 한다면 단연 표현이 압도적이다. 세상에 대한 묘사를 입체적 효과를 통과시켜 표현하는 데 관심이 많은 작가는 현대미술의 유행에 상관없이 본인이 잘하는 일을 안다. 철사를 이어 볼륨을 상상하게 하는 어떤 입체적 형상을 만들어내는 방식은 재현에 방점을 찍는 것 같아 보이지만 그 형상은 파편적이거나, 사라지거나, 비어있다. 재현이 목적이 아닌, 철사나 구리 선을 이용한 어떤 표현이 목적이라는 데 점차로 생각이 미치는 이유다. ● 이나연 제주도립미술관 관장 ● 이미지 작가 제공 '초원-달리다' 2019 동, 용접 170×2,260×70cm 5ea
    • DMZ 극장
      품절
      Art Log
      • a
      DMZ 극장
      Issue 180, Sep 2021
      DMZ 극장
      2021.8.20 - 2021.10.3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 이건희 컬렉션 특별전 고귀한 시간 위대한 선물
      품절
      Art Log
      • a
      이건희 컬렉션 특별전 고귀한 시간 위대한 선물
      Issue 180, Sep 2021
      이건희 컬렉션 특별전
      고귀한 시간 위대한 선물
      2021.9.1 - 2021.11.7 전남도립미술관
    • 퍼포먼스: 시대에 반응하는 예술
      품절
      Special Feature
      • a
      퍼포먼스: 시대에 반응하는 예술
      Issue 180, Sep 2021
      퍼포먼스: 시대에 반응하는 예술
      Performance: Art that Responds to the Times 행위의 시간적 과정을 중시하는 퍼포먼스 아트는 동시대 예술을 가장 자유롭게 표현하는 매체로 그 중요성 또한 날로 커지고 있다. 2019년 경기도미술관이 국내 최초로 퍼포먼스의 ‘개념’을 작품으로 수집, 소장한 것에 이어 국립현대미술관을 비롯 국공립 기관들도 그 소장의 기회를 넓히고 있다. 이렇듯 퍼포먼스 아트의 미술사적 가치는 물론 시장성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우리는 이에 관해 좀 더 심도 깊게 살피는 기획을 마련한다. ● 기획 윤진섭 미술평론가, 정일주 편집장 ● 진행 편집부 클레다 & 쁘띠피에르(Clédat & Petitpierre) 'Les baigneurs' 2017 © Yvan Clédat
    • 대구포럼Ⅰ: 시를 위한 놀이터
      품절
      Preview
      • a
      대구포럼Ⅰ: 시를 위한 놀이터
      Issue 180, Sep 2021
      대구포럼Ⅰ: 시를 위한 놀이터
      2021.6.15 - 2021.9.26 대구미술관
    • Issue 180, Sep 2021
      Issue 180, Sep 2021
      • 12,000원
      • 10,000원
      Issue 180, Sep 2021
      2021년 9월호
      퍼블릭아트 2021년 9월호입니다.
    • Form, Landscape, and Memories Lost
      품절
      Preview
      • a
      Form, Landscape, and Memories Lost
      Issue 179, Aug 2021
      Form, Landscape, and Memories Lost
      2021.7.23 - 2021.9.4 송은 아트스페이스
    • 밤에 해가 있는 곳
      품절
      Preview
      • a
      밤에 해가 있는 곳
      Issue 179, Aug 2021
      밤에 해가 있는 곳
      2021.7.27 - 2021.10.10 이응노미술관
    • 정재철_사랑과 평화
      품절
      Preview
      • a
      정재철_사랑과 평화
      Issue 179, Aug 2021
      정재철_사랑과 평화
      2021.7.1 - 2021.8.29 아르코미술관
    • 황재형: 회천回天
      품절
      Review
      • a
      황재형: 회천回天
      Issue 179, Aug 2021
      황재형: 회천回天
      2021.4.30 - 2021.8.22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 정정엽: 조용한 소란
      품절
      Review
      • a
      정정엽: 조용한 소란
      Issue 179, Aug 2021
      정정엽: 조용한 소란
      2021.4.20 - 2021.10.24 서울식물원
    • 미완의 역사로부터 미래를 거래하는 미술관 Bourse de Commerce
      품절
      Art World
      • a
      미완의 역사로부터 미래를 거래하는 미술관 Bourse de Commerce
      Issue 179, Aug 2021
      미완의 역사로부터 미래를 거래하는 미술관
      Bourse de Commerce
      France Ouverture -12.31 파리, 부르스 드 코메르스 파리의 2020년 12월 말, 코로나19로 문화행사가 멈춘 시점에 웅장한 한 건물 앞에 은빛 깃발이 들어섰다. 깃발은 피노 컬렉션(Pinault Collection)의 새 미술관인 부르스 드 코메르스(Bourse de Commerce) 앞에 설치된 것으로, 18세기 대리석 건물과는 상대적으로 버들거리는 물성으로 시선을 사로잡는다. 이는 미술관의 퍼니싱 디자인(furnishing design)을 맡은 로난 & 에르완 부훌렉(Ronan & Erwan Bouroullec) 형제의 작업으로, 미술관 주위 공공영역에서 시각적 구심 역할을 한다. ● 심소미 콘텐츠 큐레이터·독립 큐레이터 ● 이미지 Bourse de Commerce 제공 Urs Fischer 'Untitled' (detail) 2011 Wax, pigment, wicks, steel Giambologna: 630×147×147cm Rudi: 197×49×69cm Chair: 116×78×72cm Additional chairs produced for the exhibition, 2020: Three-legged chair (Ethiopia): 94×75×64cm Airplane seats: 120×140×66cm Long back chair (Africa): 137×65×49cm Studded chair (Ghana): 100×55×62cm Sling back chair (Burkina Faso): 90×122×27cm Monobloc chair: 92×64.2×63cm © the artist and Galerie Eva Presenhuber, Zurich Photo: Stefan Altenburger Bourse de Commerce - Pinault Collection © Tadao Ando Architect & Associates, Niney et Marca Architectes, Agence Pierre-Antoine Gatier
    • 2021 ‘00MHz: 진동하는 경계들’
      품절
      Key Work
      • a
      2021 ‘00MHz: 진동하는 경계들’
      Issue 179, Aug 2021
      2021 ‘00MHz: 진동하는 경계들’
    • ‘2021 미술주간’ 참여기관 VR전시 제작 지원 공모
      품절
      Key Work
      • a
      ‘2021 미술주간’ 참여기관 VR전시 제작 지원 공모
      Issue 179, Aug 2021
      ‘2021 미술주간’ 참여기관 VR전시 제작 지원 공모
    • 안현곤 Ahn Hyungon
      품절
      Artist
      • a
      안현곤 Ahn Hyungon
      Issue 179, Aug 2021
      안현곤
      Ahn Hyungon
      경계를 넘어 ● 김진엽 미술평론가 ● 이미지 작가 제공 ‘스튜디오 벽 드로잉 시리즈’ 2003-2004 각 100×100cm
    • 메타_가든
      품절
      Art Log
      • a
      메타_가든
      Issue 179, Aug 2021
      메타_가든
      2021.7.15 - 2021.10.31 광주시립미술관
    • 미술원, 우리와 우리 사이
      품절
      Art Log
      • a
      미술원, 우리와 우리 사이
      Issue 179, Aug 2021
      미술원, 우리와 우리 사이
      2021.7.13 - 2021.11.21 국립현대미술관 청주
    • 미술 기증Ⅱ: 국내 편
      품절
      Special Feature
      • a
      미술 기증Ⅱ: 국내 편
      Issue 179, Aug 2021
      미술 기증Ⅱ: 국내 편
      Art Donation “문화유산을 모으고 보존하는 일에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들어갈지라도 이는 인류문화의 미래를 위한 것으로, 우리 모두의 시대적 의무라고 생각한다.” 지난 2004년 삼성미술관 Leeum 개관식에서 당시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은 이같이 말했다. 그리고 작고 후 그의 수집품 중 문화재·미술품 2만 3,000여 점이 사회로 환원됐다. 기증된 작품들은 빠르게 공개되기 시작했고, 이에 대한 대중들 반응 역시 연일 계속되는 폭염처럼 뜨겁다. 미술계로 관심과 열기가 집중되고 있는 지금, 우리는 국내 미술 기증의 현주소를 훑음으로써 앞으로의 방향과 과제를 살피고자 한다. 지난달 체계적이고 뚜렷한 기증 프로그램을 마련해 이끌어가는 국외 상황을 살펴본 데 이어, 이달은 국내 편이다. 우리나라 미술 기증의 역사와 과정, 제도 현황을 정리한 후 국공립미술관장 4인의 인터뷰를 통해 이건희컬렉션을 비롯 미술 기증의 보다 내밀한 사실들을 전해 듣는다. ● 기획 · 진행 정일주 편집장, 김미혜 기자 국립현대미술관 청주 개방 수장고 전경 이미지 제공: 국립현대미술관
    • Issue 179, Aug 2021
      Issue 179, Aug 2021
      • 12,000원
      • 10,000원
      Issue 179, Aug 2021
      2021년 8월호
      퍼블릭아트 2021년 8월호입니다.
    • 제 23회 청담미술제
      품절
      Preview
      • a
      제 23회 청담미술제
      Issue 87, Dec 2013
      제 23회 청담미술제
      2013.11.29 - 2013.12.8 청담동 갤러리 일대
    • Nostalgia-향수 : 남도 작가 12인 특별전
      품절
      Preview
      • a
      Nostalgia-향수 : 남도 작가 12인 특별전
      Issue 87, Dec 2013
      Nostalgia-향수 : 남도 작가 12인 특별전
      2013.12.12 - 2013.12.22 광주시립미술관 상록전시관
    • 이미혜
      품절
      Preview
      • a
      이미혜
      Issue 86, Nov 2013
      이미혜
      2013.11.7 - 2013.11.27 스페이스 윌링앤딜링
    • 명화를 만나다 - 한국근현대회화 100선
      품절
      Preview
      • a
      명화를 만나다 - 한국근현대회화 100선
      Issue 86, Nov 2013
      명화를 만나다 - 한국근현대회화 100선
      2013.10.29 - 2014.3.30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 미술관
    • 맵핑 차이나(Mapping China)
      품절
      Preview
      • a
      맵핑 차이나(Mapping China)
      Issue 84, Sep 2013
      맵핑 차이나(Mapping China)
      2013.8.26 - 2013.9.13 스페이스K 과천 & 서울
    • 이응노, 세상을 넘어 시대를 그리다
      품절
      Preview
      • a
      이응노, 세상을 넘어 시대를 그리다
      Issue 83, Aug 2013
      이응노, 세상을 넘어 시대를 그리다
      2013.7.16 - 2013.10.27 이응노미술관
    • 넷이서 하나(All 4 You!)
      품절
      Preview
      • a
      넷이서 하나(All 4 You!)
      Issue 81, Jun 2013
      넷이서 하나(All 4 You!)
      2013.6.8 - 2013.8.24 한미사진미술관
    • 리암 길릭_다섯개의 구조와 뱃노래
      품절
      Preview
      • a
      리암 길릭_다섯개의 구조와 뱃노래
      Issue 80, May 2013
      리암 길릭_다섯개의 구조와 뱃노래
      2013.4.17 - 2013.5.22 갤러리인
    • HOW TO MAKE A BOOK WITH STEIDL
      품절
      Preview
      • a
      HOW TO MAKE A BOOK WITH STEIDL
      Issue 79, Apr 2013
      HOW TO MAKE A BOOK WITH STEIDL
      2013.4.11 - 2013.10.6 대림미술관
    • 에나 스완시_The Delight of Painting
      품절
      Preview
      • a
      에나 스완시_The Delight of Painting
      Issue 77, Feb 2013
      에나 스완시_The Delight of Painting
      2013.1.10 - 2013.2.20 313아트프로젝트
    • 중력과 시간_움직이는 조각
      품절
      Preview
      • a
      중력과 시간_움직이는 조각
      Issue 77, Feb 2013
      중력과 시간_움직이는 조각
      2013.2.8 - 2013.3.31 소마미술관
    • 히로시 스기모토 : 사유하는 사진
      품절
      Art Log
      • a
      히로시 스기모토 : 사유하는 사진
      Issue 87, Dec 2013
      히로시 스기모토 : 사유하는 사진
      2013.12.5 - 2014.3.23 리움미술관
    • 무브먼트 스틸 아트
      품절
      Art Log
      • a
      무브먼트 스틸 아트
      Issue 87, Dec 2013
      무브먼트 스틸 아트
      2013.10.10 - 2014.1.5 포항시립미술관
    • 함명수 - 회화의 욕망
      품절
      Art Log
      • a
      함명수 - 회화의 욕망
      Issue 87, Dec 2013
      함명수 - 회화의 욕망
      2013.11.20 - 2013.12.20 사비나미술관
    • 공간을 열다
      품절
      Art Log
      • a
      공간을 열다
      Issue 87, Dec 2013
      공간을 열다
      2013.11.21 - 2014.3.30 경기도미술관
    • 라이언 맥긴리-청춘, 그 찬란한 기록
      품절
      Art Log
      • a
      라이언 맥긴리-청춘, 그 찬란한 기록
      Issue 86, Nov 2013
      라이언 맥긴리-청춘, 그 찬란한 기록
      2013.11.7 - 2014.2.23 대림미술관
    • Nordic Passion : 북유럽 건축과 디자인
      품절
      Art Log
      • a
      Nordic Passion : 북유럽 건축과 디자인
      Issue 86, Nov 2013
      Nordic Passion : 북유럽 건축과 디자인
      2013.10.22 - 2014.2.16 서울시립미술관
    • 텔 미 허스토리 Tell Me Her Story
      품절
      Art Log
      • a
      텔 미 허스토리 Tell Me Her Story
      Issue 86, Nov 2013
      텔 미 허스토리 Tell Me Her Story
      2013.10.17 - 2013.12.14 코리아나 미술관
    • 카오스 투 테크네(Chaos to Techne)
      품절
      Art Log
      • a
      카오스 투 테크네(Chaos to Techne)
      Issue 85, Oct 2013
      카오스 투 테크네(Chaos to Techne)
      2013.10.1 - 2014.2.16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
    • Love Impossible
      품절
      Art Log
      • a
      Love Impossible
      Issue 85, Oct 2013
      Love Impossible
      2013.10.13 - 2013.11.24 서울대학교 미술관
    • 리얼리티, 재현과 자율 사이
      품절
      Art Log
      • a
      리얼리티, 재현과 자율 사이
      Issue 85, Oct 2013
      리얼리티, 재현과 자율 사이
      2013.9.5 - 2013.12.4 경남도립미술관
    • 만물상-사물에서 존재로
      품절
      Art Log
      • a
      만물상-사물에서 존재로
      Issue 85, Oct 2013
      만물상-사물에서 존재로
      2013.9.3 - 2013.11.10 광주시립미술관
    • 비디오 빈티지 : 1963~1983
      품절
      Art Log
      • a
      비디오 빈티지 : 1963~1983
      Issue 85, Oct 2013
      비디오 빈티지 : 1963~1983
      2013.10.2 - 2013.12.31 국립현대미술관
    • REVERSCAPE
      품절
      Art Log
      • a
      REVERSCAPE
      Issue 84, Sep 2013
      REVERSCAPE
      2013.8.29 - 2013.11.3 아모레퍼시픽미술관
    • 전광영
      품절
      Art Log
      • a
      전광영
      Issue 84, Sep 2013
      전광영
      2013.9.3 - 2013.12.29 서울대미술관
    • 휘황찬란輝煌燦爛_라이트 아트
      품절
      Art Log
      • a
      휘황찬란輝煌燦爛_라이트 아트
      Issue 83, Aug 2013
      휘황찬란輝煌燦爛_라이트 아트
      2013.7.25 - 2013.9.29 포항시립미술관
    • 올해의 작가상 2013
      품절
      Art Log
      • a
      올해의 작가상 2013
      Issue 83, Aug 2013
      올해의 작가상 2013
      2013.7.19 - 2013.10.20 국립현대미술관
    • Calder 움직이는 조각 알렉산더 칼더
      품절
      Art Log
      • a
      Calder 움직이는 조각 알렉산더 칼더
      Issue 83, Aug 2013
      Calder 움직이는 조각 알렉산더 칼더
      2013.7.18 - 2013.10.20 삼성미술관 Leeum
    • 힘, 아름다움은 어디에 있는가?
      품절
      Art Log
      • a
      힘, 아름다움은 어디에 있는가?
      Issue 83, Aug 2013
      힘, 아름다움은 어디에 있는가?
      2013.8.23 - 2013.9.22 소마미술관
    • 채프먼 형제:The Sleep of Reason
      품절
      Art Log
      • a
      채프먼 형제:The Sleep of Reason
      Issue 83, Aug 2013
      채프먼 형제:The Sleep of Reason
      2013.8.23 - 2013.12.7 송은 아트스페이스
    • ART in Motion
      품절
      Art Log
      • a
      ART in Motion
      Issue 83, Aug 2013
      ART in Motion
      2013.7.27 - 2013.8.25 단원미술관
    • 탁월한 협업자들
      품절
      Art Log
      • a
      탁월한 협업자들
      Issue 82, Jul 2013
      탁월한 협업자들
      2013.6.27 - 2013.8.25 일민미술관
    • 기계정원
      품절
      Art Log
      • a
      기계정원
      Issue 82, Jul 2013
      기계정원
      2013.7.17 - 2013.9.1 성북구립미술관
    • 돌아보다 바라보다
      품절
      Art Log
      • a
      돌아보다 바라보다
      Issue 82, Jul 2013
      돌아보다 바라보다
      2013.6.15 - 2013.8.25 고양아람누리 아람미술관
    • 김구림 초대전
      품절
      Art Log
      • a
      김구림 초대전
      Issue 82, Jul 2013
      김구림 초대전
      2013.7.16 - 2013.10.13 서울시립미술관
    • 낙원을 그린 화가-고갱 그리고 그 이후
      품절
      Art Log
      • a
      낙원을 그린 화가-고갱 그리고 그 이후
      Issue 81, Jun 2013
      낙원을 그린 화가-고갱 그리고 그 이후
      2013.6.14 - 2013.9.29 서울시립미술관
    • 야나기 무네요시
      품절
      Art Log
      • a
      야나기 무네요시
      Issue 81, Jun 2013
      야나기 무네요시
      2013.5.25 - 2013.7.21 덕수궁미술관
    • 사물의 함축적 의미
      품절
      Art Log
      • a
      사물의 함축적 의미
      Issue 81, Jun 2013
      사물의 함축적 의미
      2013.5.1 - 2013.7.21 영은미술관
    • 가족이 되고 싶어요-반려동물 이야기
      품절
      Art Log
      • a
      가족이 되고 싶어요-반려동물 이야기
      Issue 81, Jun 2013
      가족이 되고 싶어요-반려동물 이야기
      2013.5.3 - 2013.7.21 경기도미술관
    • 인트로
      품절
      Art Log
      • a
      인트로
      Issue 80, May 2013
      인트로
      2013.3.22 - 2013.5.31 고양창작스튜디오
    • 퍼포밍 필름
      품절
      Art Log
      • a
      퍼포밍 필름
      Issue 80, May 2013
      퍼포밍 필름
      2013.4.11 - 2013.6.15 코리아나미술관
    • 트라우마: 퓰리처상 사진전 &amp; 15분
      품절
      Preview
      • a
      트라우마: 퓰리처상 사진전 &amp; 15분
      Issue 178, Jul 2021
      트라우마: 퓰리처상 사진전 & 15분
      2021.7.6 - 2021.9.26 대전시립미술관
    • 1+1=3 타인들
      품절
      Review
      • a
      1+1=3 타인들
      Issue 178, Jul 2021
      1+1=3 타인들
      2021.6.1 - 2021.6.21 갤러리인덱스
    • 엑소포니
      품절
      Review
      • a
      엑소포니
      Issue 178, Jul 2021
      엑소포니
      2021.4.28 - 2021.5.30 을지로 OF
    • 국립현대미술관 다원예술 2021: 멀티버스
      품절
      Review
      • a
      국립현대미술관 다원예술 2021: 멀티버스
      Issue 178, Jul 2021
      국립현대미술관 다원예술 2021: 멀티버스
      2021.5.14 - 2021.8.1 국립현대미술관 서울박스, 프로젝트 갤러리
    • 김재관_기하학적 추상회화 55년
      품절
      Preview
      • a
      김재관_기하학적 추상회화 55년
      Issue 178, Jul 2021
      김재관_기하학적 추상회화 55년
      2021.7.1 - 2021.9.5 청주시립미술관
    • 이건희 컬렉션_웰컴 홈
      품절
      Art Log
      • a
      이건희 컬렉션_웰컴 홈
      Issue 178, Jul 2021
      이건희 컬렉션_웰컴 홈
      2021.6.29 - 2021.8.29 대구미술관
    • 재난과 치유
      품절
      Art Log
      • a
      재난과 치유
      Issue 178, Jul 2021
      재난과 치유
      2021.5.22 - 2021.8.1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 또 다른 힘
      품절
      Art World
      • a
      또 다른 힘
      Issue 178, Jul 2021
      또 다른 힘
      Japan Another Energy 젠더, 인종, 민족, 신앙 등 아이덴티티의 불균형을 바로잡는 다문화와 다양성을 중시하는 사회적 움직임은 세계 각지에서 끊임없이 계속되고 있다. ‘LGBTQ’라는 구분이 옛말로 느껴질 정도의 글로벌 평등 사회를 우리 모두가 희망한다. ● 김도희 일본통신원 ● 이미지 Mori Art Museum 제공 Suzanne Lacy 'Inevitable Associations' 1976 Performance Biltmore Hotel, Los Angeles Photo: Raúl Vega
    • 미술 글쓰기 레시피
      품절
      Key Work
      • a
      미술 글쓰기 레시피
      Issue 178, Jul 2021
      미술 글쓰기 레시피
    • 윌링앤딜링 현대미술 강연시리즈 10, 현대미술 시스템 이해
      품절
      Key Work
      • a
      윌링앤딜링 현대미술 강연시리즈 10, 현대미술 시스템 이해
      Issue 178, Jul 2021
      윌링앤딜링 현대미술 강연시리즈 10, 현대미술 시스템 이해
    • 이명옥 사비나미술관장, 에콰도르 정부 공로패 수상
      품절
      Key Work
      • a
      이명옥 사비나미술관장, 에콰도르 정부 공로패 수상
      Issue 178, Jul 2021
      이명옥 사비나미술관장, 에콰도르 정부 공로패 수상
    • ‘제22회 단원미술제’ 선정작가 공모 7월 1일부터 11일까지 접수
      품절
      Key Work
      • a
      ‘제22회 단원미술제’ 선정작가 공모 7월 1일부터 11일까지 접수
      Issue 178, Jul 2021
      ‘제22회 단원미술제’ 선정작가 공모 7월 1일부터 11일까지 접수
    • 미술 기증Ⅰ: 국외 편
      품절
      Special Feature
      • a
      미술 기증Ⅰ: 국외 편
      Issue 178, Jul 2021
      미술 기증Ⅰ: 국외 편
      Art Donation 삼성가의 미술품 기증 소식이 전해지며 관련 뉴스가 앞다퉈 보도되고 미술계가 연일 떠들썩하다. 대중은 그간 사적 수장고에 있던 작품을 국공립 미술관에서 마주할 수 있다는 기대를 품는 반면, 이를 정치적 프레임에 대입하며 기증작 수와 가치에 한껏 예민해진 이들도 있다. 그 어느 때보다 미술계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지금, 정작 기증의 과정이나 세제 혜택 등 제도의 면면을 파악하기란 쉽지 않다. 일반 대중은 차치하더라도 기관이나 매체는 이에 대한 인식을 얼마나 확립하고 있는가. 그래서 편집부는 이에 대한 특집을 기획해 총 2부로 나눠 선보인다. 먼저 이달엔 체계적이고 뚜렷한 프로그램을 마련해 이끌어나가고 있는 미술 기증의 국외 상황을 이모저모 살펴본다. 미술 기증의 역사와 문화에서 출발해 체계와 과정을 알아보고 제도를 영민하게 활용하는 이들의 이야기를 담는다. 이는 우리 문화와 인식을 공고하게 다듬는 자료와 기회가 될 것이다. ● 기획 · 진행 정일주 편집장, 김미혜 기자 바티칸 미술관(Musei Vaticani) 내부 전경 이미지 제공: HDRwizardry/Shutterstock.com
    • 에듀케이팅 뮤지엄_미술관 역사교육
      품절
      Public & Tech
      • a
      에듀케이팅 뮤지엄_미술관 역사교육
      Issue 178, Jul 2021
      에듀케이팅 뮤지엄_미술관 역사교육
      Educating Museum 예술은 언제나 그 시대의 모습을 반영하고, 미술관은 사회적인 산물인 예술 작품을 중심으로 역사를 서술한다. 과거의 시간과 오늘의 장소를 기억하는 경험, 말하자면 역사적 배경에 대한 이해는 작품을 입체적으로 읽을 수 있도록 유도한다. 소장품과 아카이브를 주축으로 작품의 역사적 가치를 치열하게 고민하는 장소로서, 미술관은 어떻게 시간을 기록하는가? 이야기 서술자로서 지식 생산의 주체가 될 수 있는가? ● 기획 김미혜 기자 ● 글 이민주 미술비평가 Circuit Unlocks Digital, Cambridge 2016 Wysing and Kettle’s Yard Photo: Catrina Rodriguez
    • 김민정 Kim, Minjung
      품절
      Artist
      • a
      김민정 Kim, Minjung
      Issue 178, Jul 2021
      김민정
      Kim, Minjung
      PUBLIC ART NEW HERO 2021 퍼블릭아트 뉴히어로 대상 시공의 콜라주를 통한 다양체 형성 질 들뢰즈(Gilles Deleuze)와 펠릭스 가타리(Félix Guattari)는 저서 『천개의 고원(A Thousand Plateaus)』(1980)에서 우리 세계는 수목 모델이라는 사고 안에서 벗어나고 있지 못함을 비판한다. 수목 모델은 하나에서 둘에 도달하기 위해서 통일성이 전제되어야 하는 이항적(binary) 논리가 그 근본이 된다. 그들은 이 이항 논리가 모든 사고와 사상, 인문, 과학까지도 지배하고 있다고 보았다. ● 서진석 울산시립미술관 추진단장 ● 이미지 작가 제공 '“레드필터가 철회됩니다.”' 2020 HD 비디오, 컬러+흑백, 스테레오 11분 35초
    • 강 운 Kang Un
      품절
      Artist
      • a
      강 운 Kang Un
      Issue 178, Jul 2021
      강 운
      Kang Un
      천 개의 그림, 마음산책 강운은 100호 크기의 작품으로 제작된 ‘바람소리 그리고 흔적’과 ‘마음산책’ 연작을 지난 2년 동안 170여 점 제작했다. 두텁게 칠해진 물감의 켜켜이 쌓인 흔적. 지우고 그리기를 수없이 반복한다. 압도적 화면의 파스텔톤 색채가 아련히 다가오지만, 산뜻한 단색화이기보다는 표현적 감성이 짙게 깔려있다. 때로는 날카로운 철조망이, 때로는 형체를 알아보기 힘든 글이 화면을 가득 메운다. ● 전승보 광주시립미술관장 ● 이미지 작가 제공 '메이 투데이: 볼 수 있는것과 말할 수 있는 것 사이' [제13회 광주비엔날레] 특별전 구 국군광주병원, 광주 2021 이미지 제공: 광주비엔날레 사진: 박수환
    • Issue 178, Jul 2021
      Issue 178, Jul 2021
      • 12,000원
      • 10,000원
      Issue 178, Jul 2021
      2021년 7월호
      퍼블릭아트 2021년 7월호입니다.
    • 나의 샤갈, 당신의 피카소
      품절
      Art Log
      • a
      나의 샤갈, 당신의 피카소
      Issue 79, Apr 2013
      나의 샤갈, 당신의 피카소
      2013.3.19 - 2013.7.14 제주도립미술관
    • 와유설악
      품절
      Art Log
      • a
      와유설악
      Issue 79, Apr 2013
      와유설악
      2013.2.27 - 2013.5.19 일현미술관
    • 한국-대만 교류전 : 대만현대미술
      품절
      Art Log
      • a
      한국-대만 교류전 : 대만현대미술
      Issue 79, Apr 2013
      한국-대만 교류전 : 대만현대미술
      2013.4.9 - 2013.6.16 서울시립미술관
    • 러브 액츄얼리
      품절
      Art Log
      • a
      러브 액츄얼리
      Issue 79, Apr 2013
      러브 액츄얼리
      2013.3.14 - 2013.6.16 서울미술관
    • 진례다반사
      품절
      Art Log
      • a
      진례다반사
      Issue 79, Apr 2013
      진례다반사
      2013.3.16 - 2013.8.15 클레이아크 김해미술관
    • 부산발
      품절
      Art Log
      • a
      부산발
      Issue 79, Apr 2013
      부산발
      2013.3.1 - 2013.4.28 성곡미술관
    • 탐하다
      품절
      Art Log
      • a
      탐하다
      Issue 78, Mar 2013
      탐하다
      2013.1.24 - 2013.4.24 경남도립미술관
    • 벤 샨
      품절
      Art Log
      • a
      벤 샨
      Issue 77, Feb 2013
      벤 샨
      2012.12.22 - 2013.3.31 광주시립미술관
    • 아프리카, 앞으로
      품절
      Art Log
      • a
      아프리카, 앞으로
      Issue 77, Feb 2013
      아프리카, 앞으로
      2013.1.31 - 2013.4.21 경기도미술관
    • 프라하의 추억과 낭만
      품절
      Art Log
      • a
      프라하의 추억과 낭만
      Issue 77, Feb 2013
      프라하의 추억과 낭만
      2013.1.25 - 2013.4.21 국립현대미술관
    • 스피킹 아티스트
      품절
      Art Log
      • a
      스피킹 아티스트
      Issue 77, Feb 2013
      스피킹 아티스트
      2012.12.22 - 2013.2.17 부산시립미술관
    • 미국미술 300년
      품절
      Art Log
      • a
      미국미술 300년
      Issue 77, Feb 2013
      미국미술 300년
      2013.2.5 - 2013.5.19 국립중앙박물관
    • 미술인생 50년의 길
      품절
      Art Log
      • a
      미술인생 50년의 길
      Issue 76, Jan 2013
      미술인생 50년의 길 <임충섭: 달, 그리고 월인천지>
      2012.12.12 - 2013.2.24 국립현대미술관
    • 오늘의 동시대미술
      품절
      Art Log
      • a
      오늘의 동시대미술
      Issue 76, Jan 2013
      오늘의 동시대미술 <당신의 불확실한 그림자>
      2012.12.11 - 2013.2.24 금호미술관
    • 새해와 함께하는 르네상스 미술  전
      품절
      Art Log
      • a
      새해와 함께하는 르네상스 미술  전
      Issue 76, Jan 2013
      새해와 함께하는 르네상스 미술 <바티칸 박물관> 전
      2012.12.8 - 2013.3.31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 화폭에 서려있는 조상의 얼
      품절
      Art Log
      • a
      화폭에 서려있는 조상의 얼
      Issue 76, Jan 2013
      화폭에 서려있는 조상의 얼 <조선시대의 삶과 풍류>
      2013.1.15 - 2013.2.24 갤러리현대
    • 한국적 모더니티란
      품절
      Art Log
      • a
      한국적 모더니티란
      Issue 76, Jan 2013
      한국적 모더니티란 <한국모더니즘 미술의 사유>
      2012.12.21 - 2013.3.3 포항시립미술관
    • 현대인의 사고, 그 시각적 해석
      품절
      Art Log
      • a
      현대인의 사고, 그 시각적 해석
      Issue 76, Jan 2013
      현대인의 사고, 그 시각적 해석
      2013.1.9 - 2013.2.17 서울대학교 미술관
    • 타락의 에티카
      품절
      Special Feature
      • a
      타락의 에티카
      Issue 99, Dec 2014
      타락의 에티카
      Ethica of Decadence ‘타락하겠다’고 화끈한 결심을 하는 이는 많지 않지만 누구나 ‘타락’에 대한 막연한 로망은 갖고 있다. 굳이 성적인 것이 아니더라도 야릇하고 미묘한 정황을 포괄하는 타락은, 그래서 영화와 문학, 미술에 자주 등장하는 소재이다. 그런가하면 “타락은 죽음에 대한 욕망이다. 타락은 안정적인 질서, 정신분석에서는 쾌락원칙이라는 아이러니한 용어로 불리는 자아 방어적 시스템을 초과하는 충동에 자신을 내맡기는 위험한 행위이다. ● 기획·진행 편집부 폴 매카시(Paul McCarthy) 'WS' 2013 Image courtesy the artist Hauser&Wirth Installation view at Park Avenue Armory Photo: James Ewing
    • 아카이브 충동
      품절
      Special Feature
      • a
      아카이브 충동
      Issue 98, Nov 2014
      아카이브 충동
      Archival Impulse 오쿠이 엔위저는 지난 2008년 뉴욕에서 사진전 '아카이브 열병: 현대미술의 도큐먼트 사용(Archive Fever: Uses of the Document in Contemporary Art)'을 기획하며 자크 데리다의 『아카이브 열병(Archive Fever: A Freudian Impression)』과 할 포스터의 「아카이브적 충동(An Archival Impulse)」, 이 두 글에 영향을 받아 아카이빙의 의의와 시대요구를 강조했다. 그리고 이를 증명이라도 하듯 최근 아카이빙을 접목한 전시 형태가 봇물 터지듯 증가하고 있다. 25년 전 쯤 퐁피두센터에서 열렸던 '지구의 마술사들' 전을 필두로, 올해 개최된 베니스 비엔날레 건축전, 베를린 비엔날레, 세마 비엔날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전시와 행사들이 아카이브를 주요 맥락으로 다루고 있고, 앞으로 다가올 엔위저의 베니스 비엔날레에서도 이러한 경향을 엿볼 수 있을 것으로 예견된다. ● 기획·진행 문선아 기자 '고백:광고와 미술, 대중'(일민미술관, 2012.5.18-8.19) 전시전경. 한국 광고의 역사 120년을 둘러보고, 대중소비 이미지에 내재된 구체적인 욕망과 이념, 가치체계를 파악해 보고자 기획됐던 전시다. 광고에 대한 아카이브를 선보였을 뿐 아니라 내용과 관련된 현대작가들의 작품을 같이 선보이면서 큰 인기를 끌었다.
    • 지금, 광주비엔날레
      품절
      Special Feature
      • a
      지금, 광주비엔날레
      Issue 97, Oct 2014
      지금, 광주비엔날레
      Gwangju Biennale 이토록 뜨거운 관심이 있을까? 올해 광주비엔날레가 시작되는 시점을 전후해, 비엔날레 20주년 특별전이 이슈를 생산하고 주관하는 재단의 실무진은 사퇴했다. 그러자 각 매체들은 필요와 정치색에 맞춰 다양한 뉴스들을 생산해내고 있다. 광주비엔날레의 과거 발굴은 물론 역사를 훑기도 하고, 비엔날레 재단 행정을 탓하거나 반대로 그동안 쌓아온 그들의 업적을 시사하기도 하고 있다. 한국미술계 중요한 사건인 ‘광주비엔날레 현재’를 「퍼블릭아트」도 특집으로 다룬다. 기획 단계에 여러 가지 구성이 존재했고 실제로 많은 전문가와 실무자를 접촉했다. 그러나 현재 진행 중인 사안이고, 첨예한 문제며 무엇보다 지금 당장 공과 과를 구분한다는 것 자체가 의미 없는 일이기에, 2014 광주비엔날레의 면면에 집중해 글과 인터뷰를 모아 소개한다. ● 기획·진행 편집부 ● 사진 광주비엔날레재단 제공 최수앙 '소음(Noise)' 2014 레진에 유채, 자석 195×195×35cm
    • 단색화의 발견
      품절
      Special Feature
      • a
      단색화의 발견
      Issue 96, Sep 2014
      단색화의 발견
      Dansaekhwa 1960년대와 1970년대에 한국에서 발생한 미술 경향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 ‘단색화’, 최근 이 ‘단색화’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이미지를 그리는 대신 단일한 색조로 작업을 반복해 표현하는 이 추상기법은 모노크롬 혹은 회화 자체의 정의와 구분되며 독자적인 영역을 확보해 왔다. 중간 색조의 배경, 반복적인 무늬, 표면 위의 찢겨진 흔적들은 의도적으로 기존의 해석 방식을 피해가는 작품들을 탄생시켰는데, 사물과 회화 사이를 오가는 단색화의 추상성은 평면적이기 보다는 입체적이고, 회화적이기 보다는 실험적이며, 순수하게 미적이기 보다는 개념적이어서 서구는 물론 아시아 내 다른 나라에서도 ‘아직 보지 못한 스타일’이라는 평가를 받아온 것이다. ● 기획·진행 정일주 편집장 국제갤러리 아트바젤2014 설치전경 Image provided by Kukje Gallery Courtesy of the artist and Kukje Gallery
    • 미술관 교육시대
      품절
      Special Feature
      • a
      미술관 교육시대
      Issue 94, Jul 2014
      미술관 교육시대
      Museum Education 미술관 교육은 대중적 관심을 바탕으로 꾸준히 발전하고 있는 분야 중 하나다. 공공미술관에서 교육 프로그램은 이미 필수 사항이 된지 오래고, 사립미술관과 갤러리의 경우에도 꾸준히 증가하는 수요에 부응해 적극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전문 에듀케이터라는 말도 이제는 흔하게 들어볼 수 있는 말이 됐다. 이런 바뀐 상황은 전문적 지식을 연구하고 전시하는 장소로서의 미술관에서 더욱 대중지향적인 미술관으로의 전환을 시사한다. 많은 미술관은 전문가부터 어린이까지 다양한 관객층을 염두에 두고 그에 걸맞는 프로그램을 계발하는 데 몰두하고 있다. 오늘날의 미술관의 역할은 어디까지 확장되는 것일까? 「퍼블릭아트」는 미술관 교육의 모든 것을 담았다. 미술관 교육의 역사적 맥락을 살펴보고 요즘 뜨는 직업인 에듀케이터의 실체를 파헤친다. 그리고 국내 대표적인 미술관 5곳을 선정해 심층 인터뷰를 담았다. ● 기획·진행 안대웅 기자 Giovanni Paolo Pannini 'Gallery of Views of Modern Rome' 1759
    • 미술관의 공간
      품절
      Special Feature
      • a
      미술관의 공간
      Issue 93, Jun 2014
      미술관의 공간
      Space of Art Museum 헤르조그 앤 드 뮈론(Herzog & de Meuron)이 밴쿠버 아트 갤러리(Vancouver Art Gallery)의 디자인을 맡아 다시금 화제다. 테이트 모던의 건축을 맡아 주목을 끈 이 그룹은 현재 홍콩 M+의 건축도 진행 중이다. 폐공간을 전혀 새로운 공간으로 구축해 낸 그들이 또 다시 어떤 현대미술관과 갤러리를 완성해낼지 이목이 쏠려 있다. 물론, 한편으로 이들은 ‘몇몇 스타 건축가들이 여러 미술관의 디자인을 맡는 것이 옳은가’란 비판의 중심에 선 주인공이기도 하다. 글로벌리즘 때문에 미술관 건축이 획일화된다는 우려부터, 일명 스타 건축이 과연 미술관의 소장품을 포용할 수 있는가라는 의문까지 그 목소리는 다양하다. ● 기획·진행 문선아 기자 Zaha Hadid Architects 'Heydar Aliyev Cultural Center' in Baku, Azerbaijan Exterior view
    • 대구미술관의 불안
      품절
      Special Feature
      • a
      대구미술관의 불안
      Issue 92, May 2014
      대구미술관의 불안
      Anxiety of Daegu Art museum 원론적 이야기를 하려는 것이 아니다. 국공립미술관의 행정과 관례를 꼬집는 기획은「퍼블릭아트」뿐 아니라 다른 매체에서도 수없이 보도해 왔다. 허나 그것들은 특별한 반향을 끌어내지 못했다. 어느 순간부터 대한민국 국민들은(더군다나 최근의 참사를 목도한 이들이라면) 정부와 기관에 결코 조건부적인 신뢰조차 보낼 수 없는 상황이 돼 버렸다. 이러한 때, 여러 가지 문제가 한꺼번에 곪아터진 공립미술관이 있으니, 바로 대구미술관이다. ● 기획·진행「퍼블릭아트」편집부
    • 이제는 생태주의다
      품절
      Special Feature
      • a
      이제는 생태주의다
      Issue 90, Mar 2014
      이제는 생태주의다
      The Ecological Art ‘자연 보호’라 하면 너무 오랫동안 들어왔던 말이라 식상하려나. 올해로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4년 째다. 내일은 또 다시 내일의 태양이 뜰 것이라는 자연법적 사상이 유전자 깊숙히 박혀 있기 때문일까? 당시 폭발적이었던 여론과는 달리, 현재 우리는 다시 이것을 삶의 조건처럼 순순히 받아들이고 있는 듯하다. 마찬가지로 자원고갈, 대기오염, 지구온난화 등은 이제 마치 불치병처럼 받아들여지며 관심 밖의 대상이 되었다. 하지만 더 이상 자연은 인간에게 모든 것을 퍼다 주기만 하는 어머니가 아니다. 각종 이상 기후와 그로 인한 자연/인간 재해의 연쇄는 자연의 법이 인간을 더 이상 좌시하지만은 않는다는 증거다. 3월을 맞아 만물이 생동하기 시작하는 이 시기. 「퍼블릭아트」는 생태위기에 대처하는 미술에 대해 다룬다. 생태를 근본적으로 사유하는 존재론적 차원의 미술부터 사회적 참여를 통해 생태 문제를 비판하는 미술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의 미술을 소개한다. 이제 대세는 생태다! ● 기획·진행 안대웅 기자 리차드 롱 'Wood circle' (installation at Van Abbemuseum, 2004) 1977
    • 창의적 창의도시
      품절
      Special Feature
      • a
      창의적 창의도시
      Issue 89, Feb 2014
      창의적 창의도시
      Creative Cities 뜨고 있는 도시들이 있다. 바로 홍콩과 아부다비. 루브르와 구겐하임은 아시아의 거점을 홍콩으로, 아랍·중동권의 거점을 아부다비로 삼아 진입하려 하였다. 홍콩 계획은 진행이 원활하지 않아 중단되었지만 홍콩에 서구룡지구와 같은 새로운 문화지역을 형성하는 계기를 마련했고, 아부다비에서의 오픈은 향후 3~4년 내에 새로운 중동권 미술관과 함께 이루어질 예정이다. 이러한 미술관들의 분점(Branch)설립의 움직임은 도시에서 문화를 이끌어내어 도시를 증진시키려는 창의도시(Creative City)의 개념을 기반으로 한다. ● 기획·진행 문선아 기자 창의도시의 성공적 사례로 들 수 있는 영국의 ‘게이츠헤드.’ 원래 탄광촌이었던 도시는 철저한 연구 끝에 개발이 진행되어 현재 한 해 평균 2천만 명의 관광객이 방문하는 문화도시로 거듭났다. 전시, 공연에 기반 하여 관광으로 벌어들이는 수입이 매년 40억 파운드(약 8조 4천억 원)에 이른다. 사진은 도시의 상징 밀레니엄브리지.
    • 7인으로부터 온 특별한 조언
      품절
      Special Feature
      • a
      7인으로부터 온 특별한 조언
      Issue 88, Jan 2014
      7인으로부터 온 특별한 조언
      Brilliant counsels of seven 꿈이 뒤숭숭하니 오늘 하루 행동거지에 조심해라, 오늘은 운전하지말아라, 남쪽에서 귀인을 만날 것이다... 새해가 되면 굳이 믿지 않더라도 토정 비결과 신년운세를 한 번쯤은 보게 된다. 현재에 대한 불안함을 동반한 미래에 대한 기대가 아마 이들의 공통된 마음일 것이다. 미술계 원로들의 급작스런 사망소식, 전씨 일가 미술품 경매 100%낙찰, 실효성 없는 비엔날레의 창궐, 문화재 부실관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파행 등 2013년 미술계에서 벌어진 다사다망한 사건들을 뒤로 하기엔 입가에 씁쓸한 맛부터 감돌지만, 어쨌든 새해다. 이번 한 해 미술계에선 또 어떤 일들이 펼쳐질까. 누군가에게 물어보고 싶은 기분이 드는 것도 당연할 터다. 신년을 맞아 퍼블릭아트는 세계 각계각층에서 활동하고 있는 저명한 한국 미술계 인사 7인에게 2014년 그들이 몸담고 있는 미술계의 판형을 물었다. 그들의 신년 계획과 비전을 통해 올해 세계 미술계가 어떻게 돌아갈지 각자 점쳐보는 시간을 가져도 좋겠다. 이번 해는 제발 좋은 일만 가득하기를! ● 기획 안대웅 기자 ● 진행·글 편집부 Kimsooja 'To Breathe : Bottari' 2013 Courtesy ARKO Arts Council Korea & Kimsooja Studio Thierry Depagne ⓒ Kimsooja Studio Photo: Jaeho Jeong
    • 한진섭 HAN JIN SUB
      품절
      Artist
      • a
      한진섭 HAN JIN SUB
      Issue 99, Dec 2014
      한진섭
      HAN JIN SUB
      한진섭의 석조각-지상낙원을 실현하고 상처를 보듬는 조각 현실과 가상, 장주의 ‘호접몽(胡蝶夢)’ 우화를 연상시키는 시공간의 이 극명한 대비는 그러나 이제 우리의 현실 속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 장주가 하루는 꿈을 꾸었는데 꿈속에서 내가 나비가 되어 날아다니는 게 아닌가? 그렇다면 꿈속의 나비가 진정한 나인가, 현실에 존재하는 내가 나인가? ● 고충환 미술비평가 ● 사진 작가 제공 '삼위일체' 2014 대리석 77×40×22cm
    • 생트 오를랑 Saint Orlan
      품절
      Artist
      • a
      생트 오를랑 Saint Orlan
      Issue 99, Dec 2014
      생트 오를랑
      Saint Orlan
      오를랑, 성(聖)과 속(俗)을 매개하는 여사제 현실과 가상, 장주의 ‘호접몽(胡蝶夢)’ 우화를 연상시키는 시공간의 이 극명한 대비는 그러나 이제 우리의 현실 속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 장주가 하루는 꿈을 꾸었는데 꿈속에서 내가 나비가 되어 날아다니는 게 아닌가? 그렇다면 꿈속의 나비가 진정한 나인가, 현실에 존재하는 내가 나인가? ● 윤진섭 미술평론가·시드니대학교 미술대학 명예교수 ● 사진 갤러리 세줄·작가 제공 Installation view at Michel Rein Gallery Paris
    • 아니쉬 카푸어 Anish Kapoor
      품절
      Artist
      • a
      아니쉬 카푸어 Anish Kapoor
      Issue 97, Oct 2014
      아니쉬 카푸어
      Anish Kapoor
      아니쉬 카푸어, 친밀한 숭고 아니쉬 카푸어(Anish Kapoor, 1954-)와 그 친구들이 싸이의 ‘강남스타일’에 맞추어 춤을 춘다. 카푸어는 열심히 추기는 하지만, 어색하고 어정쩡하다. 그런 모습이 오히려 더 미술가답고 흥미롭다. 유튜브를 통해 발표된 카푸어의 ‘강남스타일’은 사실은 중국 작가 아이 웨이웨이(Ai Weiwei)의 표현의 자유를 위한 비디오 영상이다. 말을 타듯 두 손을 모아 춤추는 그 유명한 율동이 카푸어의 춤에서는 수갑에 채워 끌려가는 모습처럼 느껴진다. 중국을 비판하는 데 겁내지 않는 용감한 작가를 위해 한국 가수의 노래를 인도 출신의 작가가 사용했다. 아시아 작가들의 예술가다운 근사한 항거이며 변혁이다. 이 변혁은 정치적인 경우뿐 만 아니라, 서양미술 그 자체에서도 깊이 있게 행해지고 있다. ● 심은록 미술비평가 ● 사진 국제갤러리 제공 'Leviathan' 2011 PVC 33.6×99.89×72.23m Installation: Monumenta 2011, Grand Palais, Paris Photo: Dave Morgan Courtesy of the Artist and Kukje Gallery
    • 리킷 Lee Kit
      품절
      Artist
      • a
      리킷 Lee Kit
      Issue 92, May 2014
      리킷
      Lee Kit
      홍콩 키드의 홍콩 라이프 30대의 젊은 작가 리킷(Lee Kit)은 학생 무렵부터 ‘핸드-페인티드 클로드(Hand-painted Cloth)’ 시리즈를 선보이며 주목 받았다. 이 시리즈는 작가가 직접 체크무늬로 칠하여 실생활에서 테이블보나 커튼 등으로 사용되었던 천을 그대로 전시한 것이었다. 사용하다가 묻은 얼룩이나 구김들은 그대로 천에 남아 있었으며, 필요에 의해 세탁되기도 했다. 그렇게 사용되던 물건들은 ‘물건’으로서 역할을 다하던 시기의 사진들과 함께 ‘예술’로서 전시됐다. ● 안민혜 미술이론가 ● 사진 Vitamin Creative Space, WKCDA 제공 Installation View of 'Mobile M+: ‘You.’-Lee Kit' 2013 Courtesy of the artist, WKCDA and HKADC Photos by Cheung Pak Ming
    • 윤진섭 Yoon, Jinsup
      품절
      Artist
      • a
      윤진섭 Yoon, Jinsup
      Issue 90, Mar 2014
      윤진섭
      Yoon, Jinsup
      예술은 삶처럼 불안정하고 불안하고 불편해야 한다 윤진섭은 크리큐라티스트다. 크리틱과 큐레이터 그리고 아티스트의 합성어로서 동시에 비평가이며 전시기획자이고 작가이다. 그리고 윤진섭은 동시에 왕치이고 한큐이고 지족거사이며 뒤죽박죽이고 천둥치는 이 밤에, 이다. 이 외에도 그를 호명하는 이름은 많으며, 앞으로도 계속 새로운 이름이 지어질 것이다. 이 무슨 시추에이션인가. 윤진섭은 개인의 정체성이 고정돼 있지 않다고 본다. 그리고 그렇게 다른 개인들이 있을 것이므로 그들 각각을 호명하는 이름도 달라져야 한다고 본다. ● 고충환 미술비평가 ● 사진 서지연 '사물은 초즈의 치즈를 골랐다(4)' 설치 전경, 아트스페이스 휴
    • 이배 lee bae
      품절
      Artist
      • a
      이배 lee bae
      Issue 88, Jan 2014
      이배
      lee bae
      숯, 시간의 계열을 가로지르다 작가/예술가는 다양한 층위의 시간/계열이 교차하여 뚫고 지나가는 자리이다. 거기가 항상 현재인 존재가 화가이다. 이배는 숯으로 그림을 그린다. 이것은 신화적이다. 미술로서 회화에 대한 기원을 떠오르게 하기 때문이다. 또 전설을 낳기도 한다. 유년기 숯으로 그림을 그렸던 이가 솔거인가? 그는 화가로는 정사의 본전에 오른 드문 사람이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족성도 없는 미천한 출신으로, 어느 시기에 나서 활동하였는지조차 명백치 않게 기록되어 있으나, 진주 단속사의 유마상을 그렸다 하였으므로 단속사가 창건되는 8세기 중엽 이후의 인물”이라고 최완수는 적고 있다. ● 김병수 미술평론가 ● 사진 서지연 '무제' 1997 종이 위에 숯 114×146cm
    • 박서보_단색의 비밀과 그리기의 영도
      품절
      Art World
      • a
      박서보_단색의 비밀과 그리기의 영도
      Issue 99, Dec 2014
      박서보_단색의 비밀과 그리기의 영도
      China Park, Seo-bo Ecriture 2014.11.6-12.20 파리, 페로댕 갤러리 “에크리튀르(ecriture, 묘법), 그건 롤랑 바르트에게서 차용한 것입니다!” 박서보는 그의 작품 제목 ‘묘법’이 ‘에크리튀르’라는 불어 낱말의 번역이며, 프랑스 사상가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의 저서 『글쓰기의 영도(Le Degré zéro de l'écriture, Paris 1953)』에서 차용했다고 밝힌다. ● 심은록 미술비평가 Exhibition view of 'Ecriture' Galerie Perrotin, Paris November 6-December 20, 2014 Photo : Claire Dorn Courtesy Galerie Perrotin
    • 이 시대의 반영, 허쉬혼 미술관 40주년 기념전
      품절
      Art World
      • a
      이 시대의 반영, 허쉬혼 미술관 40주년 기념전
      Issue 99, Dec 2014
      이 시대의 반영, 허쉬혼 미술관 40주년 기념전
      U.S. The 40th Anniversary of Hirshhorn Museum 2014.10.16-2015.4.12 워싱턴 D.C, 허쉬혼 미술관 지금으로부터 40년 전 워싱턴의 스미소니언 박물관 내에 현대미술관이 탄생했다. 워싱턴을 기반으로 활동한 콜렉터 죠셉 허쉬혼(Joseph H. Hirshhorn)이 오랜 기간 열정적으로 수집해 온 현대 미술 작품들을 미국 국가에 기증했고, 이를 기반으로 한 미술관이 설립된 것이다. 현대미술관으로서의 포부를 증명이라도 하듯, 건축 형태 역시 콘크리트를 사용해 동그란 도넛 형상으로 지어 이목을 끌었다. 그리고 40년이 지난 지금, 미술관은 장년인 40주년을 맞이하여 우리시대를 반영하는 두 개의 특별전을 선보인다. ● 곽수 미국통신원 Bruce Nauman 'South Americ Triangle' 1981 Steel and iron
    • 미술관이 살아있다! 달콤한 뉴뮤지엄식 오단케이크
      품절
      Art World
      • a
      미술관이 살아있다! 달콤한 뉴뮤지엄식 오단케이크
      Issue 94, Jul 2014
      미술관이 살아있다! 달콤한 뉴뮤지엄식 오단케이크
      U.S.A. Five-tiered cake in New Museum “내가 하고 싶었던 건 예술작품의 품위에 대해 의구심을 불러일으키는 것, 즉 대중을 끌어들여 그들이 스스로 좋은 것과 나쁜 것을 결정할 수 있도록 독려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었다. 대부분의 미술관들은 작품을 판단한다. 그들은 대중에게 자신들이 선택하면 좋은 것이며, 배제하면 그렇지 않은 것이라고 말한다.” -마샤 터커 ● 이나연 미국통신원 Installation view 'Ragnar Kjartansson: Me, My Mother, My Father, and I' New Museum 2014 Courtesy New Museum New York Photo: Benoit Pailley
    • 동시대 예술이 박물관을 마주할 때
      품절
      Art World
      • a
      동시대 예술이 박물관을 마주할 때
      Issue 94, Jul 2014
      동시대 예술이 박물관을 마주할 때
      Germany When Contemporary Art faces Museum 유럽엔 수많은 비엔날레가 존재하고, 속속 생겨나고 있다. 그 중 올해 비중 있는 비엔날레를 꼽자면, 독일 베를린 비엔날레(2014)와 이탈리아 베니스 건축비엔날레(2014)를 들 수 있다. 지난 2년간 독일의 카셀 도쿠멘타(2012)와 베니스 비엔날레(2013)의 관심사는 예술적 문맥을 부각하는 학제적 접근의 동시대 문화 연구에 있었다. 그리고 동시대의 예술성이 역사·문화적 맥락에서 이해돼야 한다는 점을 전제로 삼았다. 예술의 전통과 개혁, 예술성과 실천의 조화와 균형을 보여주는 전시 과정은 관객과의 소통을 열어줬다. 지난 행사에서, 동시대 예술이 정치와 첨예하게 마주하는 관점을 제공하며 여타 비엔날레와 차별성을 지녔던 베를린 비엔날레가 올해는 좀 달라졌다. 박물관을 중심으로 동시대성을 실험하기 때문이다. 동시대의 리얼리티 경계에서 보이는 ‘예술성’은 베를린 국립미술관연합(Staatliche Museen zu Berlin)의 박물관 컬렉션에 도입된 실험적인 큐레이팅에 초점이 맞춰져있다. ● 김서영 독일통신원 Otobong Nkanga 'In Pursuit of Bling: The Coalition' 2014 KW Berlin Photo: Seoyoung Kim
    • 컬렉션 온 디스플레이
      품절
      Art World
      • a
      컬렉션 온 디스플레이
      Issue 92, May 2014
      컬렉션 온 디스플레이
      Swithzerland Collection on Display 미그로 현대미술관은 ‘설치된 소장품(Coll ection on Display)’이라는 제목 하에 컬렉션의 일부를 현대미술 속의 공간과 인테리어의 기능, 가능성, 모델과 해석이란 주제로 설정하여 8월 말부터 3번의 주기를 나누어 전시를 진행하고 있다. 그간 현대미술 작업들은 사적 공간과 공적 공간의 경계, 사회적 기능에 따른 공간의 정체성의 형성, 공간과 심리의 관계 등에 대한 질문을 던지면서 공간의 형태나 기능을 모티브로 삼아왔다. 미그로 현대미술관은 세 번의 전시를 통해 이에 대한 주제들을 역사적으로 다룰 뿐 아니라, 전시의 형태에 관한 박물관학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현대미술의 추세를 반영해왔다. 기존의 화이트 박스나 블랙박스를 벗어나, 박물관 공간자체가 미술과 관람객이 만나는 프레임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는 사고를 보여준 장기간의 전시를 지금 만나보자. ● 김유진 스위스통신원 Cady Noland 'Ohne Titel' 1999 Collectionofthe Migros Museum fur Gegenwartskunst Costa Vece 'Videolounge I' 1998/2013 Collection of the Migros Museum fur Gegenwartskunst Alicia Framis 'Contemplation Room' 1998 Collection of the Migros Museum fur Gegenwartskunst Collection on Display, Exhibitionsview Photo: FBM studio
    • 작가를 위한, 작가에 의한, 휘트니 비엔날레
      품절
      Art World
      • a
      작가를 위한, 작가에 의한, 휘트니 비엔날레
      Issue 92, May 2014
      작가를 위한, 작가에 의한, 휘트니 비엔날레
      U.S.A. Whitney Biennial 2014 2014 휘트니 비엔날레는 입구에서부터 분주한 인상을 준다. 2012년에 비해 참여 작가는 2배로 늘어, 총 103명이 참여했다. 특히 이번 전시는 내년 봄, 렌조 피아노가 설계한 다운타운의 허드슨가 근처 새 건물로 옮겨가기 전에 열리는 마지막 비엔날레이다. 따라서 2달 남짓 전시되는 업타운에서의 마지막 비엔날레를 보기위해 몰려든 관객들 사이를 헤치고 작업을 집중해서 보는 일이 쉽지만은 않았다. 그러나 “푸짐하다”는 이번 비엔날레에 대한 인상은 단지 물리적인 차원에 그치지 않는다. ● 고동연 미술사 공공소유자들 '말라시 리처의 개인적인 오브제들' 2014 Photo Courtesy of Jerry L. Thompson
    • 잉크 아트: 현대 중국의 과거와 현재
      품절
      Art World
      • a
      잉크 아트: 현대 중국의 과거와 현재
      Issue 91, Apr 2014
      잉크 아트: 현대 중국의 과거와 현재
      U.S.A. Ink Art: Past as Present in Contemporary China 둥그런 지구를 평면화시킨 관념상 평범하고도 흔한 지도를 반쪽으로 나눠보자. 지도상 동쪽에 위치한 땅에서 발생되고 향유된 미술을, 서쪽에 위치한 땅에서 자라고 교육받은 사람들은 어떻게 이해하고 있을까. 반대로 소위 오리엔탈리즘적 시각을 동쪽의 나라들이 대다수 포함된 아시아에선 어떻게 역이용하고 있을까. 질문을 던지면서 이미 하품이 나버리는 철지난 화두를, 비슷한 시기에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이하 메트)에서 열리고 있는 두 개의 전시를 보며 되새김질 하게 된다. 두 개의 전시는 다름 아닌 와 . ● 이나연 미국통신원 Zhang Huan 'Family Tree' 2001 Nine chromogenic prints Sheet(each): 53.3×41.9cm Photo: ⓒ Yale University Art Gallery
    • 중동, 아랍 그곳의 미술
      품절
      Art World
      • a
      중동, 아랍 그곳의 미술
      Issue 91, Apr 2014
      중동, 아랍 그곳의 미술
      UAE Sharjah March Meeting 2014 19세기 처음 등장한 사진은 서구 근대사회와 그 시대적 가치를 대변하는 산물이다. 카메라의 눈을 관통한 빛이 남긴 흔적에서 우리는 이제껏 회화에서는 경험하지 못한 사실성과 순간성이라는 새로운 가치를 발견해냈다. 르네상스 시대 이래, 수많은 예술가들이 그토록 갈망했던 원근법적 재현은 마침내 카메라를 통해 이루어졌고, 리얼리즘에 기반한 재현적 회화가 점차 사라져가게 되는 계기가 됐다. 당시, 산업혁명이라는 거대한 흐름을 따라 기계들이 인간의 노동을 대신했듯, 카메라의 눈이 인간의 눈을 자연스레 대체하기 시작했다. ● 구정원 JW STELLA Arts Collectives 디렉터 Installation view of Susan Hefuna's solo exhibition 'Another Place' Image courtesy of Sharjah Art Foundation
    • 이사 겐즈켄
      품절
      Art World
      • a
      이사 겐즈켄
      Issue 90, Mar 2014
      이사 겐즈켄
      U.S.A Isa Genzken 올해로 65세가 되는 이사 겐즈켄(Isa Genzken)이 미국에서 최초로 여는 회고전이 뉴욕현대미술관(MoMA)에서 열린다. 전시는 겐즈켄이 지난 40여 년간 사진, 회화, 콜라주, 드로잉, 책, 영화, 공공미술 등 다양한 매체를 넘나들며 꾸준히 작업해온 결과물 200여 점을 소개한다. 지난 2012년 뉴뮤지엄에서 회고전을 가진 로즈마리 트로켈(Rosemary Trockel)의 경우처럼 최근 뉴욕은 과소평가돼 온 유럽의 원로 격 여류작가를 발굴하는 데 공을 들이고 있다. 성별을 향한 미술계의 시선이 많이 나란해졌다고는 하나, 미술관에서 여성작가의 회고전을 보기란 여전히 어렵기 때문에 공을 들여 봐야하는 현실이 안타깝긴 하다. ● 이나연 미국통신원 Installation view of the exhibition 'Isa Genzken: Retrospective' ⓒ 2014 The Museum of Modern Art New York Photograph: Jonathan Muzikar
    • 부케, 정저우에서 활짝 꽃피다
      품절
      Art World
      • a
      부케, 정저우에서 활짝 꽃피다
      Issue 89, Feb 2014
      부케, 정저우에서 활짝 꽃피다
      China CHOI TAE HOON: BOUQUET 중국에서 공공미술은 아직 생소한 단어다. 유구한 전통과 역사를 자랑하는 정저우에는 현대식 첨단건물이 속속 들어서고 있지만 공공미술 개념은 아직 정착 단계에 이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공공단체 또는 개인이 건물이나 빌딩을 지으면서 중국 조각가의 작품을 설치하거나 회화작가의 작품을 벽에 걸어두는 사례는 종종 있었지만 우리나라처럼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작품이 들어가는 경우는 드물다. 지난해 12월 28일, 어둠이 깔리고 건물에 조명이 들어오자 분수대 광장 가운데에 설치된 작품이 환하게 빛났다. 높이 12m의 작품 위에 달린 꽃 모형들이 건물조명을 받아 활짝 피어나는 모습을 드러내자 이곳에 몰려든 사람들이 환호와 박수를 보냈다. 정저우 시내 중심에 위치한 30층짜리 복합건물 슈허 센터에 들어선 한국 조각가 최태훈의 작품은 정저우뿐만 아니라 중국 전체에 걸쳐 ‘공공미술 프로젝트’ 제1호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 이광형 국민일보 선임기자 '起舞' 설치 전경 2013 사진제공: 작가
    • 85 그리고 예술학부
      품절
      Art World
      • a
      85 그리고 예술학부
      Issue 88, Jan 2014
      85 그리고 예술학부
      China ‘85 & an Art Academy 1980년대 중국은 문학, 음악, 영화, 무용, 그리고 시각예술에 이르기까지 모든 예술 분야가 활기차게 움직이며 소위 현대 예술로의 전환점을 맞이한 시기이다. 문화혁명이 끝나고, 개혁·개방 정책으로 서양의 철학과 문학 서적들이 물밀듯이 쏟아져 들어왔고, 대학가 안팎에서 관련 심포지엄이 꼬리를 물고 이어졌다. 1985년에서 1987년까지 전국적으로 87개가 넘는 비공식 시각예술 그룹들이 조직되었고, 약 150여 차례의 퍼포먼스, 이벤트 등이 선보였으며, 여기에 참여한 작가 수만 최소 2,250여 명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들은 공산주의 체제 문화에 대한 비판의식을 탑재하고, 개인주의와 표현의 자유 그리고 미학을 온몸으로 탐구하고 옹호했다. 당시 그들의 작품에서 초현실주의, 다다이즘, 팝 아트, 개념미술 등 서양의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을 모두 찾아 볼 수 있다. 1980년대 중반, 베이징, 상하이, 항조우, 쿤밍, 난징 등 중국 전역을 강타한 이러한 움직임을 “85 미술 운동”(혹은 “85 신조”)이라고 부른다. 이는 1989년 베이징, 중국미술관에서 297명의 작가의 작품으로 구성된 전으로 일단락되었고, 중국 동시대 미술의 또 하나의 전환점으로 자리매김 했다. ● 권은영 중국통신원 '자오우지 유화 강습반 재현' 전시 전경
    • 현대를 살아가고 있는 사상가(Artist)
      품절
      Art World
      • a
      현대를 살아가고 있는 사상가(Artist)
      Issue 88, Jan 2014
      현대를 살아가고 있는 사상가(Artist)
      Japan oppongi Crossing 2013: OUT OF DOUBT 다가오는 풍경, 우리 눈에는 무엇이 비춰지는가. 20세기 초, 다다이즘은 따분한 일상과 갑갑한 사회구조를 순식간에 붕괴시키고, 매력적이고 파워풀한 형태를 재구축해 선보였다. 또, 러시안 아방가르드(Russian Avant garde)는 혁명 후 불안 속 흩어진 사회에 새로운 형태를 재구성해 보였다. 예술은 전쟁과 변혁의 긴장 속에 직면할 때마다 ‘예술의 역할은 무엇인가’라는 물음과 함께 새로운 가치관을 제시해 왔다. 비교적 최근에 일어난 동일본대지진과 후쿠시마 원전의 방사능 유출은 차갑고 냉철한 일본인들의 가치관을 크게 뒤흔들었고, 이는 내적 불안과 공포, 미래에 대한 불확신을 야기 시켰다. 다시 예술가들은 불안정한 시대 속 날카로운 감성으로 미래의 방향을 탐구하는 사상가가 되어 우리가 서 있는 시대의 이야기들을 하나씩 풀어나가고 있다. ● 강선영 일본통신원 Tajima Mika 'The Extras' 2010 Wood, canvas, acrylic paint, silkscreen, mirrored aluminum, wood, paper, plexiglas, MDF, spray enamel, video monitor, formica, glass, lights 152.4×243.8×213.4cm Photo: Jason Mandella Courtesy: Sculpture Center New York
    • 반사적 바깥
      품절
      Review
      • a
      반사적 바깥
      Issue 99, Dec 2014
      반사적 바깥
      2014.11.1 – 2014.11.29 KT&G 상상마당 갤러리
    • Man-Made
      품절
      Review
      • a
      Man-Made
      Issue 99, Dec 2014
      Man-Made
      2014.10.15 – 2014.11.15 Thomas Park
    • LEE KIYOUNG
      품절
      Review
      • a
      LEE KIYOUNG
      Issue 98, Nov 2014
      LEE KIYOUNG
      2014.9.17 – 2014.10.11 갤러리 플래닛
    • 최정화_총천연색
      품절
      Review
      • a
      최정화_총천연색
      Issue 98, Nov 2014
      최정화_총천연색
      2014.9.4 – 2014.10.19 문화역서울 284
    • 아시아 민주주의의 거울과 모니터
      품절
      Review
      • a
      아시아 민주주의의 거울과 모니터
      Issue 98, Nov 2014
      아시아 민주주의의 거울과 모니터
      2014.8.22 – 2014.9.28 광주시립미술관 상록전시관
    • 캐릭터 없는 캐릭터들-김하영
      품절
      Review
      • a
      캐릭터 없는 캐릭터들-김하영
      Issue 97, Oct 2014
      캐릭터 없는 캐릭터들-김하영
      2014.9.3 – 2014.9.25 갤러리압생트
    • 네 가지 언어 The Omnibus-임승천
      품절
      Review
      • a
      네 가지 언어 The Omnibus-임승천
      Issue 97, Oct 2014
      네 가지 언어 The Omnibus-임승천
      2014.5.2 – 2014.7.27 성곡미술관
    • 징후 : 徵候─한기창
      품절
      Review
      • a
      징후 : 徵候─한기창
      Issue 96, Sep 2014
      징후 : 徵候─한기창
      2014.8.2 – 2014.8.31 영은미술관
    • The Masterpieces 한미사진미술관 소장품
      품절
      Review
      • a
      The Masterpieces 한미사진미술관 소장품
      Issue 96, Sep 2014
      The Masterpieces 한미사진미술관 소장품
      2014.7.5 – 2014.8.30 한미사진미술관
    • 공공의 장소─우리가 함께하는 그곳
      품절
      Review
      • a
      공공의 장소─우리가 함께하는 그곳
      Issue 96, Sep 2014
      공공의 장소─우리가 함께하는 그곳
      2014.3.29 – 2014.8.17 김해클레이아크미술관
    • 올해의 작가상 2014
      품절
      Review
      • a
      올해의 작가상 2014
      Issue 96, Sep 2014
      올해의 작가상 2014
      2014.8.5 – 2014.11.9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 생명수업: 세상에게
      품절
      Review
      • a
      생명수업: 세상에게
      Issue 95, Aug 2014
      생명수업: 세상에게
      2014.7.8 – 2014.8.10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관 프로젝트갤러리
    • 두 번 반 매어진─이윤희
      품절
      Review
      • a
      두 번 반 매어진─이윤희
      Issue 95, Aug 2014
      두 번 반 매어진─이윤희
      2014.6.20 – 2014.7.1 인사미술공간
    • 다음 문장을 읽으시오
      품절
      Review
      • a
      다음 문장을 읽으시오
      Issue 95, Aug 2014
      다음 문장을 읽으시오
      2014.6.26 – 2014.9.21 일민미술관
    • 스펙터클의 여백─홍순명
      품절
      Review
      • a
      스펙터클의 여백─홍순명
      Issue 95, Aug 2014
      스펙터클의 여백─홍순명
      2014.6.28 – 2014.8.28 미메시스미술관
    • 햇빛, 공기, 물─티엔리밍
      품절
      Review
      • a
      햇빛, 공기, 물─티엔리밍
      Issue 94, Jul 2014
      햇빛, 공기, 물─티엔리밍
      2014.5.23 – 2014.6.15 학고재갤러리 본관
    • Walking in The Dark─박광수
      품절
      Review
      • a
      Walking in The Dark─박광수
      Issue 94, Jul 2014
      Walking in The Dark─박광수
      2014.6.14 – 2014.6.26 쿤스트독 갤러리
    • 깊은 호흡─이현진
      품절
      Review
      • a
      깊은 호흡─이현진
      Issue 94, Jul 2014
      깊은 호흡─이현진
      2014.6.6 – 2014.6.29 자하미술관
    • 박흥용 만화 : 펜 아래 운율, 길 위의 서사
      품절
      Review
      • a
      박흥용 만화 : 펜 아래 운율, 길 위의 서사
      Issue 94, Jul 2014
      박흥용 만화 : 펜 아래 운율, 길 위의 서사
      2014.5.30 – 2014.8.4 아르코미술관
    • WAS IT A CAT I SAW?─배윤환
      품절
      Review
      • a
      WAS IT A CAT I SAW?─배윤환
      Issue 93, Jun 2014
      WAS IT A CAT I SAW?─배윤환
      2014.5.9 – 2014.6.5 인사미술공간
    • 숨을 참는 법─구동희, 양정욱, 정지현
      품절
      Review
      • a
      숨을 참는 법─구동희, 양정욱, 정지현
      Issue 93, Jun 2014
      숨을 참는 법─구동희, 양정욱, 정지현
      2014.4.23 – 2014.5.31 두산갤러리
    • 이제 ─ 온기
      품절
      Review
      • a
      이제 ─ 온기
      Issue 92, May 2014
      이제 ─ 온기
      2014.3.12 – 2014.4.18 갤러리조선
    • 양마오웬 ─ Trace of Time
      품절
      Review
      • a
      양마오웬 ─ Trace of Time
      Issue 92, May 2014
      양마오웬 ─ Trace of Time
      2014.4.3 – 2014.5.10 갤러리 인
    • 장리석-백수(白壽)의 화필
      품절
      Review
      • a
      장리석-백수(白壽)의 화필
      Issue 91, Apr 2014
      장리석-백수(白壽)의 화필
      2014.3.4 – 2014.5.11 제주도립미술관
    • 클로즈-업: 유승호, 함진
      품절
      Review
      • a
      클로즈-업: 유승호, 함진
      Issue 91, Apr 2014
      클로즈-업: 유승호, 함진
      2014.3.5 – 2014.4.12 두산갤러리
    • 노바디: 민영순, 윤진미, 조숙진
      품절
      Review
      • a
      노바디: 민영순, 윤진미, 조숙진
      Issue 91, Apr 2014
      노바디: 민영순, 윤진미, 조숙진
      2014.3.11 – 2014.5.18 서울시립미술관
    • 메타버스 그리고
      품절
      Special Feature
      • a
      메타버스 그리고
      Issue 177, Jun 2021
      메타버스 그리고
      Metaverse and “고개를 들어 하늘의 별을 올려다보라. 당신이 보는 것이 무엇인지 이해하고 무엇이 우주를 존재하게 하는지 궁금해하라. 호기심을 가져라.” 영국의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Stephen Hawking)의 말처럼 우리는 더 이상 우주의 세계를 궁금해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비대면의 생활화는 가상과 초월의 세계로 확장되어 갔고, 꿈이 현실 같고 현실이 꿈같은 세상이 삶의 전반에 공존하고 있다. 편집부는 궁금해졌다. 우리의 미래가 어떻게 변하고 또 어떤 모습으로 기다리고 있을지. 그래서 이에 대한 특집을 마련했다.먼저 미래 삶의 화두로 거론되는 메타버스, 멀티버스의 개념이 무엇인지, 그것을 인식하는 것이 지금 우리에게 왜 중요한지 알아본다. 그리고 이러한 개념이 예술계에서는 어떻게 확장되고 비전을 형성하는지 살피며 인식의 폭을 확장해나간다. 끝으론 미술계의 새로운 수익 모델로 떠오르고 있는 대체 불가능 토큰(NFT)의 강점과 효과가 무엇인지, 과연 NFT가 미술시장에 혁신을 가져올 수 있을지 구체적으로 톺아본다. 그저 막연하고 어렴풋하게만 느껴졌던 다중우주의 세계, 지금 함께 떠나볼 시간이다. ● 기획 · 진행 정일주 편집장, 김미혜 기자 잔 왕(Zhan Wang) 'My Personal Universe' Installation view at Ullens Center for Contemporary Art, Beijing 2011 Photo: Yang Yuguang
    • 신미경 Shin Meekyoung
      품절
      Artist
      • a
      신미경 Shin Meekyoung
      Issue 177, Jun 2021
      신미경
      Shin Meekyoung
      조각적 질료의 흔적들 일제히 벽에 붙어 있는 여러 색의 질료들(matters)을 내보았을 때, 나는 이렇게 시작하는 서사의 첫 장면의 내막을 알기 위해 이것의 전편은 어떻게 끝났던가를 다시 기억해보려 했다. 신미경의 개인전 '앱스트랙트 매터스(Abstract Matters)'는 그에게서 한 번도 본 적 없던 (하지만 그리 낯설지만은 않은) 새로운 장면의 전개를 보여준다. 크기며 형태며 색채까지 다양한 비정형의 평면 작업들이 유독 각각의 표면을 과시하면서, 마치 일련의 질료로서 완결되어버린 듯한 제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낸다. 이는 2018년 전시 '사라지고도 존재하는'의 마지막 장면에서 예고되었던 조각의 질료와 그것이 드러내는 조각의 표면을 새롭게 전개시킬 반전을 보여준다. ● 안소연 미술비평가 ● 이미지 작가 제공 '앱스트랙트 매터스' 전시 전경 2021 씨알콜렉티브
    • 솔리드 시티
      품절
      Art Log
      • a
      솔리드 시티
      Issue 177, Jun 2021
      솔리드 시티
      2021.4.21 - 2021.8.31 세화미술관
    • 젊은모색 2021
      품절
      Art Log
      • a
      젊은모색 2021
      Issue 177, Jun 2021
      젊은모색 2021
      2021.5.28 - 2021.9.22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 리암 길릭_워크 라이프 이펙트
      품절
      Review
      • a
      리암 길릭_워크 라이프 이펙트
      Issue 177, Jun 2021
      리암 길릭_워크 라이프 이펙트
      2021.2.26 - 2021.6.27 광주시립미술관
    • 김종영의 통찰과 초월, 그 여정
      품절
      Preview
      • a
      김종영의 통찰과 초월, 그 여정
      Issue 177, Jun 2021
      김종영의 통찰과 초월, 그 여정
      2021.5.7 - 2021.6.27 김종영미술관
    • 이이남_생기를 그 코에 불어넣다
      품절
      Preview
      • a
      이이남_생기를 그 코에 불어넣다
      Issue 177, Jun 2021
      이이남_생기를 그 코에 불어넣다
      2021.6.16 - 2021.8.31 사비나미술관
    • 로컬 프로젝트 2021: 박진명_잔상의 기록
      품절
      Preview
      • a
      로컬 프로젝트 2021: 박진명_잔상의 기록
      Issue 177, J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