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1. Exhibitions
  2. Review
현재 위치
  1. Exhibitions
  2. Review

Review

올해의 작가상 2014

a

2014.8.5 – 2014.11.9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SHOPPING GUIDE

배송 안내

배송은 입금 확인 후 주말 공휴일 제외, 3~5 일 정도 소요됩니다. 제주도나 산간 벽지, 도서 지방은 별도 추가금액을 지불하셔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배송비는 6만원 이상 무료배송, 6만원 이하일 경우 3,000원입니다.


교환 및 반품이 가능한 경우

- 주문된 상품 불량/파손 및 주문 내역과 다른 상품이 오배송 되었을 경우 교환 및 반품 비용은 당사 부담입니다.

- 시판이나 전화를 통한 교환 & 반품 승인 후 하자 부분에 대한 간단한 메모를 작성하여 택배를 이용하여 착불로 보내주세요.


교환 및 반품이 불가능한 경우

- 반품 기간(7일 이내) 경과 이후 단순 변심에 한 교환 및 반품은 불가합니다.

- 고객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멸실 또는 훼손된 경우, 포장을 개봉 하였거나 포장이 훼손되어 상품 가치가 상실된 경우,

  고객님 사용 또는 일부 소비에 하여 상품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 포장을 훼손한 경우 교환 및 반품 불가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화 상담 혹은 게시판을 이용해 주세요.)


※ 교환/반품 배송비 유사항 ※
- 동봉이나 입금 확인이 안될 시 교환/반품이 지연됩니다. 반드시 주문하신 분 성함으로 입금해주시기 바랍니다.

- 반품 경우 배송비 미처리 시 예고 없이 차감 환불 될 수 있으며, 교환 경우 발송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 상품 반입 후 영업일 기준 3~4일 검수기간이 소요되며 검수가 종료된 상품은 순차적으로 환불이 진행 됩니다.

- 초기 결제된 방법으로만 환불이 가능하며, 본인 계좌가 아니면 환불은 불가합니다.(다른 명 계좌로 환불 불가)
- 포장 훼손, 사용 흔적이 있을 경우 기타 추가 비용 발생 및 재반송될 수 있습니다.


환 및 반품 주소

04554 서울시 중구 충무로 9 미르내빌딩 6 02-2274-9597 (내선1)

상품 정보
Maker Art in Post
Origin Made in Korea
Buy NowRESERVE
상품 옵션
배송
Review
down up
상품 목록
TOTAL 0
Buy NowRESERVE

예술가와 그의 활동에 대한 인상적인 우열 또는 평가는 가능하다. 한때의 제한적 평가 말이다. 그러나 당대의 작가들과 활동에 대한 미술사적 또는 미학적 평가는 쉽지 않은 일이기도 하고 많은 경우 오류를 품기 마련이다. 작가의 마음을 헤아리고 작품의 의미와 맥락을 재구성해내는 일은 작가의 진솔한 고백에도 불구하고 이런 일은 반복된다. 이번 2014년 <올해의 작가상 (Korea Artist Prize)>의 선정위원들이 구동희, 김신일, 노순택, 장지아 작가를 선정 했다는 데 나는 어떠한 불만이나 우려도 없다. 이들 후보작가들 중 누가 1등이 되어도 상관없는 정도로 한국현대미술계 작가들은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에 도달해 있기 때문이다. 외부 요인이 더 중요할 수 있다. 무엇보다 전문가들의 인식이 모여 하나의 이슈 또는 인식지평을 만들어내는 시스템, 그것이 중요하다. 


후보 작가들을 살펴보면 먼저 구동희 작가는 <재생길(Way of Replay)>을 제목의 75m의 터널 모양의 설치영상 작품을 과천 국립현대미술관과 붙어 있는 서울대공원의 롤러코스터에서 착안했다. 작가는 촬영팀과 함께 실제 다양한 롤러코스터를 타고 기록하면서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경험하는 시각상, 운동감 등을 전시에서 구현되도록 설계했다. 작가는 주변에서 발생하는 사건들에 관심을 가지고 TV, 인터넷 등 각종 매체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면서, 일상의 우연한 상황을 영상, 설치 등의 작업으로 풀어나간다. 작품 제작 과정의 한계 상황과 처음 의도와는 다르게 변화되어 가는 과정을 흔쾌히 수용하고 즐긴다. 또한 설명적인 요소를 가능한 배제하여 관객에게 비록 혼란스러울 지라도 그 과정을 통해 또 다른 해석의 여지를 남기려고 한다. 


김신일 작가는 <이미 알고 있는>이란 제목으로 ‘본다’는 시각적 행위를 통해 일상적 관념의 경계를 해체시키는 시도를 연출한다. 작가는 정보 과부하(過負荷)와 세상의 범주화가 인간을 수동적으로 만든다 여기고 시각적 창조물을 통해 ‘이미 알고 있는(Ready-known)’ 관념을 해체시키려 한다. 읽을 수 없이 겹쳐진 문자 구조물을 ‘보는’ 행위에 의해 문자의 의미는 유보되고 직관에 의한 감각적 측면이 대두된다. 시지각에 대한 실험을 드로잉, 조각, 영상을 폭넓게 사용하며 언어와 현대미술의 관계를 통해 인간 이해의 영역을 확장시키길 기대한다.  


                                          


김신일 <마음, 믿음, 이념> 

2014 무명실 구조물 240×180×63cm




노순택 작가는 정치적 사회적으로 뜨거운 이슈의 현장을 누비며 기록해왔다. 처음으로 사진가가 올해의 작가 후보에 들었다. 작가는 평택 대추리부터 제주 강정마을까지, 용산 참사에서 세월호 참사까지 지난 10여 년 간 한국 사회의 다양한 계층과 이해집단 간의 갈등의 현장을 기록해 왔다. 이번 전시는 <무능한 풍경의 젊은 뱀>이란 의미심장한 제목으로 우리 사회의 오래된 문제들인 분단 현실, 노동자 투쟁, 촛불시위 등을 사진매체롤 통해 보편적인 인간의 문제, 미학적 태도로 다가가고 있다. 그는 다큐멘터리 보도사진에서 출발하여, 『분단의 향기』(2005), 『얄읏한 공』(2006), 『붉은 틀』(2007), 『비상국가』(2008) 등 다수의 책들을 출간해 왔다. 관통하는 주제는 분단 이데올로기가 한국사회에서 어떻게 작동되고 있는가에 관한 것이다. 


장지아 작가는 <금기는 숨겨진 욕망을 자극한다>는 제목으로 그동안 진행했던 작품과 함께 신작 <아름다운 도구들 3>을 연출했다. 이는 전시장에 흰 천을 드리운 성소를 설치하고 깃털과 큐빅으로 장식한 수레바퀴 12개를 설치하고 그 위에 얹힌 바퀴 안장에 여자들이 앉아서 바퀴를 돌린다. 퇴폐적이라고 서양 중세의 성가에서 금지했던 프리지안 음계의 노래를 부르며 힘들게, 깃털이 음부를 스칠 때마다 쾌감을 느끼도록 설계되었다. 작가는 그동안 일관되게 사회적으로 금기시된 것을 몸을 통해 다루는 작가로 퍼포먼스, 영상, 설치, 사진을 통해 구현한다. 이 4명의 후보 작가들의 전시를 보면 사회현실, 비판, 갈등, 폭력, 모순, 타자, 계급, 국가와 개인, 소외, 금기, 여성, 신체, 자아, 고립, 무의식, 가상체험, 인지실험, 시각, 태도, 환경, 부조리함, 언어, 의미, 개념, 의사소통, 기호 등 다양한 언어가 머리를 헤집어 놓는다. 그러므로 이번 전시처럼 작품을 전시하는 것 이상으로 작가의 구술이나 대화, 다양한 기록을 소개하는 아카이브가 중요해진다.


오늘날 우리는 마치 롤러코스터를 타듯 과거의 사람들과는 전혀 다른 경험과 세계 속에 있다. 우리의 세상은 어떤 사건에도 이야기에도 조형적 형식에도 충격을 받거나 놀라워하지 않는다. 무한한 다원의 세계에서 태어나고 성장한 존재는 더 이상 외부에서 들어오는 자극이나 힘으로부터 긴장하거나 불안해하지 않는다. 당대의 현대미술은 이 사건과 경험의 무감각과 무감동에서 출발한다. 일종의 경험과 문화의 중독 상태이다. 이 중독 몰입의 영속화로 생겨난 심리적 상태가 오늘날 현대미술의 무의식이며 구조이며 분위기이다. 모든 것이 새롭지 않은 상태, 모든 사물과 경험이 재빨리 과거로 밀려가면서 형성되는 무감각한 피로감. 이런 감정들이 현대 미술가들의 작업 이면에 잠복하고 있다. 일상은 다른 일상으로, 사건은 다른 사건으로, 예술은 다른 예술에 의해 밀려나고 망각되어 희미해진다. 그러므로 만물은 결국 무의미하고 무의미하다. 예술 활동은 이러한 망각과 허무의 바다를 그 파도를 한 번에 한 번씩 넘어가는 행위이다. 언젠가 침몰하거나 또는 미지의 섬이나 대륙에 도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노순택 <무능한 풍경의 젊은 뱀 #P-XIII050101> 

2013 파인아트 용지에 피그먼트 100×75.5cm




현대미술은 자신의 역사를 스스로 생성하고 기초하는 하나의 계보학이 될 수밖에 없다. 상징을 잃은 세대의 계보학이며 그러기에 20세기 이후의 현대미술은 그 스스로 의미를 내부에서 만들어내는 개념과 이론의 역사이자 기술(description)의 재료가 되었다. 그런 식으로 현대 미술가들의 작업은 개념 또는 정신의 기호를 만들고 재배열하는 것이고, 작가 스스로 하나의 내재하는 개념과 의미의 계보를 만들어 가는 과정이다. 이번 <올해의 작가>전 후보 작가들은 서로 다른 지점을 향해 하나의 이야기, 가설, 계보를 만들어간다고 볼 수 있다. 이들이 만들어내는 이야기는 일종의 의사역사로서 가상과 실재를 부분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역사가 사건들의 집합이라고 볼 때 사건들은 착각을 내포하고 있거나 그 자체로 착각의 원인이라는 생각을 포함하고 있다. 


사건을 기억하고 기록하는 것이 인간인 이상 당연하다. 사건은 목격자의 인식범위 안에서 구성된다. 그것을 벗어날 수는 없다. 따라서 이렇게 제한되고 굴절된 기억과 기록이 역사를 구성하는 재료이다. 후보 작가들이 만들어내는 것 또한 의미와 해석의 확대이자 동시에 굴절된 것이다. 작가들, 관객들, 매개자들, 나 또는 우리는 내러티브의 한 요소나 재료가 될 수 있다. 역사가 되고 해석과 묘사(기술)의 대상이 된다. 모든 것을 과거롤 밀어내는 운동이 기록되고 담론의 재료가 된다. 현대미술이라는 당대의 보편적인 문화현상에서 존재와 인식의 중첩된 지점, 우리가 머뭇거리는 문턱이 있다는 것을 느낀다. <오늘의 작가>전에서도 발견할 수 있는 문턱이자 소통의 경계이다. 


우리 시대의 의미 있는 예술 활동과 예술가를 주목하고 인정하는 것은 이론의 여지없이 매우 중요하면서도 시급한 기획이다. 인정 문제를 철학의 영역 한가운데로 불러들인 사람은 근대 독일의 관념 철학의 완성자인 게오르크 헤겔(Georg Wilhelm Friedrich Hegel)이다. 헤겔은 인간들 사이의 모든 갈등은 인정받고자 하는 욕망에서 비롯한다 생각했다. 인정 욕망을 충족시킴으로써 자기 정체성을 확립한다고 보았다. 헤겔을 프랑스 사상계에 소개한 알렉상드르 코제브(Alexandre Kojeve)를 통해 샤르트르, 푸코, 들뢰즈, 라캉 등 당대 프랑스 지성들에게 헤겔의 ‘인정투쟁’이 소개되었다. 




구동희 <재생길> 2014 혼합재료 설치, 가변크기




근래 독일 사회철학자 호네트(Axel Honneth)가 푸코와 하버마스를 화해시키며 ‘인정’과 ‘인정투쟁’을 중요한 사회철학의 주제로 제시했다. 인간이 자신의 삶을 성공적으로 실현시킬 수 있는 사회적 조건이자 개인들이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관계, 곧 긍정적 자기의식을 찾아낼 수 있는 심리적 조건이기도 하다. 인정받지 못하는 사람은 특히 사회적으로 ‘모욕’이나 ‘무시’를 받을 경우 분노라는 심리적 반작용을 일으키고 이 분노는 사회적 투쟁에 나서는 심리적 동기가 된다. 인정 욕망을 둘러싼 투쟁은 상호 인정에 이를 때까지 계속된다. 모욕이나 무시가 불의한 것이라면, 인정투쟁은 도덕적인 일이 된다. 비록 이상적이지는 않을 지라도 상식적이며 현실적인 ‘인정’은 한 사회의 도덕적 동력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예술적 동력이기도 하다. 만일 ‘인정’ 문화가 전무했다면 한국을 대표하는 작가 백남준은 고국과 화해하지 못하고 해외를 떠돌고 있었을 것이다. 


나는 <올해의 작가상>을 통해 대한민국을 대표할 역량 있는 작가를 발굴해 세계적인 작가로 성장하도록 지원한다는 취지를 전전으로 신뢰한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그 기획과 행위 자체에는 동의한다. 혹자들은 이러한 방식의 작가 지원이나 예술 활동의 진흥을 의심의 눈으로 바라보곤 하는데, 거대하고 복잡한 사회에 이미 진입한 시대에 하나의 시상제도 또는 인정제도를 놓고 그것의 타당성 또는 부당성을 논의하는 것은 흥미로울 수는 있으나 그것이 그 제도들을 운용하는 것과는 별개의 문제일 것이다. 우리 사회에서 기획된 수많은 인정제도를 모두 동의할 수는 없으나 적어도 지상파방송국의 문화재단과 국립기관인 국립현대미술관이 협업하여 진행하는 기획은 신뢰를 전제로 비판을 전개해야 할 것이며, 본격적인 예술활동에 대한 사회일반의 이러한 인정제도는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 어쨌든 올해의 작가는 내년이면 작년의 작가가 될 테니, 쉬지 않고 잘 기획되고 운영되는 인정형식들을 만들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 장지아 퍼포먼스 중

게시물이 없습니다


메모 입력
뉴스레터 신청 시, 퍼블릭아트의 소식을 빠르게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이메일 주소를 남겨주시면 뉴스레터 구독에 자동 동의됩니다.
Your E-mail Send

왼쪽의 문자를 공백없이 입력하세요.(대소문자구분)